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소녀
다이 시지에 지음, 이원희 옮김 / 현대문학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지된, 책과 문학을 욕망한 두 소녀 이야기

소설 <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 소녀>

 

문화대혁명은 문화를 위한 운동일까? 오히려 그 반대다. 마오쩌둥이 추진한 사회주의 운동으로 1966년부터 10년간 지속된 문화대혁명은 자본주의적 사상과 문화를 몰아내자는 기치아래 추진되었다. , 사회주의가 아닌 모든 것을 배척, 각종 문화재와 예술품을 파괴하고 지식인과 학자들은 비판과 모욕 끝에 목숨을 잃거나 자살을 하곤 했다. 소설 <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 소녀>는 문화대혁명 시기, 지식인의 자식으로 재교육을 받기 위해 두메산골로 보내진 의 이야기다.

 

재교육에 관해 몇 마디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1968년 말 어느 날,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자이자 혁명의 기수인 마오쩌둥 주석은 나라를 일대 변혁하는 운동을 벌였다. 모든 대학이 휴교했고 젊은 지식인들’, 다시 말해 중등교육을 마친 학생들은 가난한 농민들에게 재교육을 받기 위해서 농촌으로 추방되었다. (13p)”

하늘긴꼬리닭이라 불리는 산으로 보내진 뤄와 나는 주로 똥물을 나르거나 탄광 일을 한다. 가끔 농민들에게 바이올린을 연주해주거나 영화를 보고와 재연하기도 한다. 산 생활에 적응할 때 즈음, 소년들은 재봉사의 딸 바느질하는 소녀와 고향친구 안경잡이를 만난다. 똥통과 석탄 먼지만 가득하리라 여겨졌던 소년들의 재교육 생활에 사랑과 문학이 파고들기 시작한다.

 

문학이 사상통제의 일환으로 금지되던 시기, 허락된 책들은 오직 마오쩌둥 주석을 찬양하는 이야기 뿐 이다. 주인공들은 말한다. “서양문학에 대해 들어본 적 있어? - 지금 그 책들은 어디 있는데? -...(중략)...- 문학이야기가 나를 몹시 우울하게 했다. 우리에게는 행운이 없기 때문이었다. 우리가 마침내 술술 책을 읽을 수 있는 나이가 되니까 이제는 읽을 만한 책이 하나도 없었다. (72p)” 그때 마침 그들 눈에 들어온 게 있었으니, 바로 안경잡이의 녹색 가방이었다. 작가 아버지와 시인 어머니를 둔 안경잡이. 그의 노동을 대신해준 대가로 주인공들은 한 권의 낡은 책을 얻는다. 바로 발자크의 소설이다. 문화적 정서와 감정을 억압받던 열일곱 소년들에게 발자크는 이야기는 충격에 가까웠으리라.

 

소년들은 책을 아껴 읽으며 다른 세상에 눈을 떠간다. 뤄는 바느질하는 소녀에게 소설이야기를 영화처럼 재연한다. 그 애에게 반했냐는 질문에 뤄가 대답한다. “아직 개화가 덜 됐어. 아무튼 나한테 썩 어울리는 여자는 아냐!”(40p) 도시에서 온 뤄의 눈에 산골에서 바느질 외의 것은 꿈꾸지 않는 소녀는 그저 예뻐서 관심 가는 아이에 불과했다. 뤄는 그녀를 개화시키기로 마음먹는다. 이후 두 소년은 또 다른 책들을 얻어내는 데 골몰하고 소녀와의 감정은 점점 깊어진다.

 

책에서 그려지는 두 소년의 문학에 대한 열망의 근원은 무엇일까. 이는 저자 다이 시지에의 이력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작가는 1971년부터 1974년까지 실제로 산골에서 재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부르주아 지식인으로 지목됐기 때문. 그의 문학에 대한 욕구가 뤄와 나에게 투영된 건 아닐까. 재교육이 마오쩌둥의 죽음으로 마감된 후 저자는 프랑스의 영화학교에 들어가 공부한다. 캐릭터를 창작하고 영상과 미디어로 꾸며지는 문화의 범주로 향한 그에게 (다양한 문학적)책은 꿈이자 삶의 시작이었을지 모른다.

 

소설은 바느질 하는 중국소녀의 변신으로 마무리된다. 중국도 마오쩌둥의 사망 후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덩샤오핑 주석이 추대되며 1980년 중국식 시장경제 흑묘백묘론이 등장한다. 색깔과 상관없이 고양이만 잘 잡으면 된다는 이 말은 곧, 자본주의 혹은 공산주의와 상관없이 중국 인민을 잘 살게 하면 된다는 걸 의미한다. 댕기 머리를 단발로 자르고 하늘긴꼬리닭 산을 벗어나 도시로 향한 중국소녀는 이런 말을 남긴다. “발자크 때문에 한 가지 사실을 깨달았다는 거야. 여자의 아름다움은 비할 데 없을 만큼 값진 보물이라는 걸.(252p)” 문학의 힘을 믿고 있는 작가의 마지막 메시지 아닐까.

 

미디어는 <발자크와 바느질하는 중국 소녀>중국스럽지않은 책이라고 한다. 프랑스에서 공부한 저자의 배경을 빗대 프랑스 문학에 가깝다고도 한다. 하지만 이 소설은 지극히 중국적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대륙 , 최대 국민 수라는 타이틀을 안고 있다. 허나 그 빛나는 수식어는 문화대혁명이라는 곡진 세월을 보낸 결과다. 우리나라와의 지리적 여건으로 중국은 남다른 의미의 관계를 갖는 나라다. 중국을 알고 싶다면 읽어볼 만하지 않을까? 마침 여름휴가 시즌을 맞이해 가볍고 유쾌하게 읽을 책으로 여러 미디어에서 추천을 받고 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