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적 글쓰기 - 열등감에서 자신감으로, 삶을 바꾼 쓰기의 힘
서민 지음 / 생각정원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민 교수의 글을 처음 본 건 경향신문에서다. 이완구 전 총리가 고 성환종 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것으로 추정돼 총리직을 사퇴하고 그 후임자로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지목을 받은 때였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성환종리스트 사건을 이총리의 사퇴로 갈무리하는 것에 어안이 벙벙했고, 병역비리라는 흑역사를 가진 황장관이 그나마 깨끗하다는 이유로 총리로 임명된 데 분개했다. 서민교수는 이런 정황을 <황교안 총리를 지지한다>라는 글로 역설했다.

 

*경향, ‘15.5.26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5261406351&code=990100 

 

서민을 검색했다. 서민금융나들목, 서민경제가 연관검색어로 등장한다. 한 포털은 그를 대한민국의 기생충 학자이자 칼럼니스트, 방송인라고 설명한다. 책은 그 중에서 글쓰는 사람서민에 집중했다. 1부는 저자가 글을 쓰게 된 이유, 2부는 (그가 체득한)잘 쓰는 법, 글쓰기 노하우 등을 담았다.

 

서민 교수가 글을 쓰게 된 이유는 부제(열등감에서 자신감으로, 삶을 바꾼 쓰기의 힘!)를 통해 알 수 있다. 눈이 작고 못생겨 외모지상주의가 판치는 세상에서 고개를 들 수 없었다는 저자. 소심함과 외모를 극복하기 위해 글을 시작했다고 한다. 대학시절 동아리 편집부장을 맡아 회지를 자신의 글로 도배하고, 급기야 후배로부터 서민 칼럼을 고정적으로 써달라는 부탁을 받기에 이른다. 이를 지지대 삼아 <소설 마태우스>도 펴낸다. 그 후 한겨레를 거쳐 경향신문 칼럼니스트로 자리매김. 어디 그뿐이랴. ‘글쓰기가 배우자의 미모를 좌우한다고 당당하게 말할 만큼 아름다운 아내도 글로써얻는다.

 

책은 저자의 솔직함을 부각시킨다. 1부에서 저자는 스스로를 못났다’, 처녀작을 쓰레기라 말하는 등 폄하에 가까운 자기비하 태도를 보인다. 하여 글을 쓰게 된 동기, 무작정 쓰고 보는 추진력에 어느 정도 수긍이 간다. 반면, 2부는 분량 채우기의 느낌이 강하다. 구성의 문제로 보이는데 어떻게 쓸 것인가라는 소제목에서 볼 수 있듯 그가 터득한 글쓰기 노하우를 담으려고 했다. 그 방법은 이렇다. 쓰는 건 쉽게, 경험은 솔직하게, 시작은 인용으로, 구성은 기승전결로. 인용과 예시가 주를 이뤄 이해는 쉽지만 흐름이 산만하다. 저자가 언급한 글쓰기 방법 또한 여느 글쓰기 책과 콘텐츠 면에서 차별성이 떨어진다.

 

두 가지 관점에서 구성을 바꿔보면 어떨까. 그의 열등감을 분석해 전반부로, 극복기를 후반부에 담는다면? 모든 사람은 일종의 장애를 지니고 산다. 학벌, 가정사, 경제력 등 자신만의 콤플렉스로 위축되는 내적 장애 말이다. 저자 특유의 솔직함으로 열등감의 근원을 깊이 파고들었다면, 독자들도 본인의 장애열등의식을 반추하고, 더 나아가 장애를 극복하는 동력을 얻는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에만 집중했어도 괜찮은 구성이 될 수 있었으리라. 독자들은 칼럼이 어떤 생태계 안에서 생성되는지 알지 못한다. 신문 고유의 색체를 담은 가이드라인 안에서 칼럼니스트들이 글을 쓰는지, 투고로 들어온 글 안에서 언론사가 글을 선별하는지. 여러 신문사를 종횡무진하며 글을 써온 저자인 만큼 칼럼쓰기에 초점을 맞춘 글도 좋은 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더 나아가, 그가 적은 칼럼, 에세이 등 장르별 성격, 각 글을 대하는 태도와 하나의 글을 낳기까지의 분투를 녹인다면 더 많은 독자를 끌어당길 수 있을 터.

 

여러 가지 면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생충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글 세상에서 명성을 떨치게 된 역사를 알게 된 건 큰 소득이다. 글쓰기가 곧 PR인 시대. 140자로 영화 대사를 남기든, 원고지 10매로 블로그에 글을 쓰든, 생각을 누군가에게 알리는글쓰기가 주목받는 세상이다. 이런 시대에 글과 좀 먼 분야에서 공부하거나 일하고 있는 사람에게 글과 친해질 수 있는 방법을 알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