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은 거꾸로 간다 - 마흔에 시작한 운동은 어떻게 행복이 되었나
이지 지음 / 프롬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편과 종종 언쟁을 한다. 동반휴직으로 24시간을 붙어 지내니 늘어난 건 분쟁이요, 줄어든 건 통장잔고다. 돌이켜보면 다툼의 원인도 기억나지 않는다. 보통 너도 피곤하냐, 나도 그렇다 종류니까. 수레바퀴 같은 일상속에서 각성이 일었다. '몸이 피곤해서구나'라고. 저자 이지가 말한 '몸과 마음은 암수한몸'(p.256)을 통감하는 순간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다니는 워킹맘 이지영(필명 '이지')은 운동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삶을 살고 있다. 신경차단술과 물리치료, 경락마사지로 30대를 '연명'(p.4)했다던 그녀는 마흔에 운동을 시작한다. 척추협착증과 골감소증을 진단받고, 통증과 매일 붙어 살았단다. 약을 그렇게 먹고 병도 티 안나게 앓았는데, 식구들도 병 한가득이었다고. '내가 기운 차리지 않으면 도미노가 될 판'(p.20)이라는 자각으로, 그녀는 '운동'을 결심한다. 오기였다. 웨이트 트레이닝부터 폴댄스, 클라이밍, 플라잉요가, 필라테스 까지 섭렵한다. 운동을 하니, 쓰지 말라던 부위가 나았고, 근육 쓰는 재미를 붙이니, 정신이 맑아졌고 몸도 좋아지고 일도 잘되고 결국 운동전도사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그 스토리가 책 <내 몸은 거꾸로 간다>에 담겨있다.

책은 총 4부, 겨울, 봄, 여름, 가을로 구분된다. 춥고 아팠던 시절 '겨울'을 시작으로, 몸을 데우는 '봄', 근육에 꽃을 피우는 '여름', 삶이 선선해지는 '가을'로 이어진다. 운동으로 만들어지는 삶의 곡선들을 어쩜 이렇게 사계절로 맞춤하게 구분해놓았는지. 재치와 센스가 구성에서도 느껴진다. 글도 대단하다. 운동 얘기인가 싶지만 성공담이고, 자격증 획득 스토리인가 싶으면 회사 이야기다. 이지영이라는 사람을 둘러싼 모든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유기체라고나 할까? '하드웨어적인 변화도 그렇거니와 운동이 기억력과 집중력, 감각과 사고 체계도 뒤바꿔놓아 자연스레 글쓰기로 바통이 어어졌다.'(p.274)며 그녀가 고백한 운동의 효과일테다.

책을 읽으며 여러 지점에서 불끈불끈했다. (저자를)닮고 싶어서, (운동을)하고 싶어서. 책에 등장하는 사례가 있다. 아이 유치원 행사로 내일 연가를 쓰겠다는 직원에게 팀장으로서 했다는 "그래요. 물개박수 힘차게 치고 오세요."(p.259)라는 대답. 늘 고민하는, 하고싶지만 잘 되지 않는, 긍정적 반응의 예로 읽혔다. 저자는 이전같았으면 '이런 상황에 혼자 일을 다 해?'라며 발을 동동굴렀을거란다. 바로 내 모습이다. 남 탓하느라 바쁜. 저자는 몸과 마음이 존재의 중심을 잡으니 '입은 침묵을, 몸은 행동을' 보여주게 되었다고 말한다. 몸을 써 잡념을 비우는 원리일 터.

책에서는 운동의 효과 뿐 아니라 사람 이지영도 읽힌다. 근성이 참 대단하다. 폴댄스를 하다가 갈비뼈가 골절되는 사례가 등장한다. 나였다면? 이때다 싶어 일도, 운동을 쉬었을 것 같다. 아마 폴댄스는 나와 맞지 않다며 그만두었을지도 모르겠다. 저자는 '(못하니)더 그립고 더 만나고 싶어졌다'(p.186)며 골절된 지 6주만에 공중에서 뒤집기를 다시 시도한다. 초심자로 돌아가 예전보다 더 뜨겁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다니는 회사원 이지영은, 환자에서 (운동)회원으로, (운동을 가르치는)선생님으로, 그리고 (책의)저자가 되었다. 몸을 쓰니 정신이 서고 마음이 서는 선순환의 대표주자다. 또, (책)읽고, (글)쓰는 활자중독자로다. 책에는 수많은 운동 관련 저서들이 등장한다. 서울에서 원주로 출퇴근하고, 퇴근하면 운동하고 살림하며 아이들 돌봤을텐데 언제 그리 많은 책을 읽었을지. 폴댄스 하다 살포시 착지해 핸드폰 메모를 보며 업무처리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러한 틈새 시간들을 활용한 역량인걸까. 감탄이 절로 나온다. 역시 하나를 잘 하면 다 잘하는 법인가.

출산한지 6개월이 지났다. 굳어진 몸에 기름칠을 마음으로 생각에 이번주부터 번지 피트니스를 시작했다. 생활에 활력을 주려고, 동적인 운동을 찾았다. 크게 울리는 음악에 맞춰, 스프링 탄성에 의지해, 방방 뛰어다니고 있다. 탁월한 선택이다. 저자처럼 선생님, 운동 전도사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기회에 그저 남편과의 언쟁 횟수만 줄어도 좋겠다. 그렇게 될 것 같다. 역시 운동은 삶의 뼈대요, 삶을 더 사랑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