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아웃 - 나는 왜 민주당을 탈출했나
캔디스 오웬스 지음, 반지현 옮김 / 반지나무 / 2022년 3월
평점 :
품절


미국 '정치', 특히 '민주당'을 심도있게 분석한 책이 출간됐다. 미국의 정치 평론가이자 작가인 캔디스 오웬스의 책 <블랙아웃>이다. 미국 내 흑인들이 민주당 지지를 철회해야 한다는 운동 블랙시트(Blexit)를 이끌고 있는, 미국 정치계의 아이콘 캔디스 오웬스다. 책에서 그녀는 왜 흑인들이 민주당을 지지하면 안되는지, 그 생각의 뿌리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저자는 흑인 사회의 구심점은 ‘공화당’이라고 말한다. 남북전쟁 당시 할아버지의 일화, 고등학생 시절 자신이 겪었던 증오범죄와 이에 대한 언론의 태도, 할머니의 죽음 등이 그 근거다. 또, 처음으로 흑인을 – 노예가 아닌 - 국민으로 받아들여 '흑인 노예 해방'을 이끈 링컨 대통령 역시 공화당원이었음을 강조한다. 반대로, 좌익들(민주당)이 만들어낸 ‘흑인’은 “죽을 때까지 민주당에만 투표해야 구원 받을 수 있는 영원한 하층 계급”이며 피해자 대 압제자라는 프레임 안에서 “자신들의 정책이 실현되도록 돕는 장기말에 불과하다”(p.71)고 꼬집는다. 즉, 민주당은 흑인을 선거에서의 승리를 위한 표로 활용할 뿐이라는 것이다.


캔디스는 ‘리버럴’도 꼬집는다. 옮긴이는 책에서의 ‘리버럴’은 ‘미국 사회 내 좌익 성향의 사람들, 사회주의와 민주당 어젠다에 기반한 여러 사회적 가치 등을 지지하는 사람들’(p.16)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여 ‘자유주의자’로 번역돼 의미상 오해를 일으킬 수 있어 ‘리버럴’로 적는다고) 그녀는 ‘리버럴’이 흑인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흑인이기 때문에’라는 ‘피해자 내러티브’(p.43)를 활용한다고 지적한다. 복지, 교육, 가정 등의 문제에서 흑인들이 그것들을 ‘어쩔 수 없는 일’로 받아들이고 결국 민주당을 ‘지지하게 만드는’ 상황으로 연결시킨다는 것이다. 그 예로 저자는 힐러리 클린턴이 도널드 트럼프에게 패배했던 2016년 미국 대선을 언급한다. 당시 여성과 유색인종 등에게 지지를 받았던 힐러리가 근소 하게 패하자 민주당은 그 화살을 ‘이탈한 흑인들’에게 돌렸다는 것.


우리에겐 종식시켜야 할 세계 대전도 없고 지지해야 할 민권 운동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리를 쟁취하고자 하는 열망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우리는 비주류의 이야기를 너무 좋아하기 때문에, 불필요할 정도로 우리 자신을 비주류, 약자(Underdog)로 몰아세우고 있다. (p.131)





캔디스는 책에서 보수주의, 가정, 페미니즘, 미디어, 문화, 노예제 등 다양한 각도에서 민주당과 리버럴을 깨부순다. 그 중심에는 ‘백인 특권’과 ‘흑인에 대한 억압’같은 ‘결함투성이의 개념’(p.176)이 있다. 토크쇼의 한 장면이 떠오른다. 미국 작가 헤더 맥도날드가 “부르주아적 가치(시민의식, 권위, 존경 등)는 곧 백인특권(white privileges)이다.”라고 말하자 웬디스가 응수한다. “그것은 백인 특권이 아닌 그냥 특권이다, 그것은 인종과 무관하다. 모든 것은 부모의 선택이다.”라고. “흑인들의 진짜 문제는 첫째 아버지 없는 아이들, 둘째 교육문제와 문맹률”이라고 말하던 청문회의 한 장면도 스쳐간다.


I’m not far-right. I’m free. (난 극우가 아니다. 난 그저 자유롭다)





흑인이므로 응당 따르고 동의해야 할 것 같은 문제들을 캔디스는 '인간'의 관점으로 환기시킨다. 문제는 피부색이 아니며 제도와 이를 활용하는 정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캔디스의 말들은 ‘흑인이기 때문에’로 점철되는 피해자 코스프레는 물론, ‘흑인이므로’ 마땅히 무엇을 더 누려야 한다는 생각을 깨부수며, 피부색으로 점철된 모든 것들을 전복시킨다. <백인우월주의 청문회>를 다룬 영상에서 캔디스라는 미국인을 처음 알게됐다. 그녀는 그곳에서 백인들만 앉혀놓고 흑인문제를 다루는거냐 비난함과 동시에 '백인우월주의와 백인민족주의는 흑인들이 직면한 문제 가운데 순위를 매긴다면 100위에도 오르지 못할 것'이라고 일침을 날린다. 자신의 목소리로 당차게 한 정당을 무참히 쓰러트리는 캔디스의 태도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책도 그 발언과 맥락을 같이 한다. 캔디스는 정치적으로 활용되는 여러 개념들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설득력있게 풀어낸다. 역사적 사실에 다양한 예시를 들고 있어 이해가 쉬워 마치 강의를 듣는 것 같은 느낌이다. 번역자의 수고도 한몫 했으리라.


책을 읽으며 우리 정치가 수차례 오버랩됐다. 일부 대선 후보들도 거부했던 ‘양당 체제’는 더욱 공고해지는 형국이다. 또 우리의 정치권은 여러 목소리를 수렴하며 건강한 정치 지형을 만들기 보다 자신들의 이권에 골몰하고 있는 듯 하다. 대선 때, 과연 한 당에 속한 국회의원들이 그 당의 대선후보를 '진심으로 지지하는지' 궁금했다. 필요에 의해 '지지할 것이다’가 내가 내린 답이었다. 소속 정당의 우위가 무엇보다 중요할 테니까. 캔디스는 정당과 그 당의 주장을 우선시하지 않는다. 자신의 생각이 근거요 논리다. 정치 평론가지만 가장 정치인답게 보인다고나 할까? 현재의 정치 지형에 반기를 들고 사회를 구성하는 개념들에 의문을 던지는 캔디스와 같은 인물이 국내 정치계에서 많이 보였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우리는 제2의 대선이라 불리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다. 과연 미국 정치는 어떤 모습일지, 지금 시점에서 한번쯤 알아봐도 좋지 않을까? 캔디스 오웬스의 책 <블랙아웃>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