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인간은 기억하지 않는다 - 창의적인 삶을 만드는 뇌과학자의 생각법
모기 겐이치로 지음, 이진원 옮김 / 샘터사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억'이 지금처럼 푸대접 받을 때가 있었을까? 스마트폰을 활용한 검색이 생활화되면서 '어떤 정보'를 기억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줄어드는 것 같다. 심지어 가족의 전화번호까지. 일본의 뇌과학자 모기 게이치로는 책 <생각하는 인간은 기억하지 않는다>에서 '기억'과 관련한 뇌의 작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기억하는 뇌'에 머무르지 말고 '생각하는 뇌'로 전환하라고 강조한다.


받아들이기만을 중시하면 기억의 세 과정에서 저장과 보존에 관련된 두 가지 기능밖에 활용할 수 없다. 이는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하면 우리의 뇌는 단순히 기억하는 뇌에 머무른다. 지식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한계가 드러나는 것이다.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미래에는 입력만 해서는 살아남기가 어렵다. (p.7)

그는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경쟁력을 '뇌의 활용'에 둔다. 인공지능이 보급되어 간단한 인간의 일을 기계가 대체하는 세상에서 인간으로서의 역할은 '생각하는 기능'에 있다고 말한다. 현대인은 정보를 얻는 데는 능숙하지만, 자기안에 있는 무엇을 생각해내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들을 더 이상 '나이'나 '지위'로 규정하지 말자 말한다. 나이 드는 일을 '부정적'으로 간주하고 이런 생각때문에 시간이 지나 나이가 들수록 점점 스스로를 '비참'하게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회사를 비롯해 특정 조직에서 나이가 곧 '연륜'이며 '정보나 스킬의 보고' 정도로 생각하는 일반의 사고를 뒤트는 부분이다.

책은 '뇌과학'을 중심으로 '삶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를 설명한 인문서다. 생물학적 뇌의 구조를 설명하거나, 미지의 세계인 두뇌를 과학적으로 탐구한다고 여긴다면 오해다. 오히려 '기억'을 중심으로 뇌의 본질을 이해하고 뇌를 잘 '활용'하자 권하는 책이다. 특이한 점은 뇌를 일종의 '도구'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뇌의 지배를 받아 로봇처럼 움직이는 대신, 뇌의 특성을 알고 잘 활용해야 한다는 포인트다. 그것은 "생각해내기는 자신의 인생을 개발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힘이 된다. (p.234)"는 말에 함축되어 있다.

뇌는 보통 미지의 영역으로 일컬어진다.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을 인간의 의지로 조종해 예측 가능한 반면, 생물학적 뇌의 살아있음은 우리의 의지만으로 통제할 수 없어 생기는 편견일 것이다. 하지만 책은 '기억'의 속성을 알고 '기억을 통해 자신의 흥미를 알고 영원히 배울 수 있는 뇌'를 만들자고 강조한다. 모기 겐이치로에 따르면 뇌는 욕구와 생각을 가진 유기체다. 책을 통해 그 뇌를 활용한 몸과 마음에 지식과 지혜와 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