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고전 독서법 진경문고
정민 지음 / 보림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의 독서는 직접 자신이 책 속의 내용을

경험하며 산 것처럼 진한 흔적을 남기곤 하지.

책은 우리의 영혼에 늘 뭔가를 깊이 새겨 놓는다. (p.51)

 

언제였을까. 여행에서 돌아오는 길에 남편과 독서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인생 책 있어? 가장 인상 깊게 읽은 책은 뭐야? 지금은 뭐 읽어? 다른 사람과 제법 나눴던 질문인데 최측근인 남편과는 처음인 것 같아 새삼 놀랐다. 나는 대학생이 된 후부터 책을 읽어왔다고 답한다. 책을 직접 샀고 그때 처음으로 서평단에 참여해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어릴 적 어떤 제약이 있었던 것도 아닌데 책을 읽지 않았고 가족 중에도 책읽는 사람이 없었음을 고백한다.

어릴 때 책을 많이 읽지 못한 아쉬움은 지식의 짧음이 아니다. 당시의 ‘나’가 느꼈을 '그 때의 감정'을 전혀 알지 못하는 데 있다. 2018년 여성의 글쓰기를 공부하면서 소설 <폭풍의 언덕>을 처음 접했다. 당시 강사는 브론테 작품을 '언제 읽는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소설이라 설명했고 그 해 나는 <폭풍의 언덕>에 빠져 종이가 닳도록 읽고 또 읽었다. 삼십대인 내게 소설은 '광적인 사랑과 집착'으로 읽혔다. 만약 사랑은 어른이 되어야만 할 수 있다고 믿었던 초등학생 때 읽었다면 어땠을까? 사랑을 정의내리기에 바빴던 고등학생때 브론테 소설을 접했다면 어땠을까? 영원히 알 수 없는 답이지만 너무 궁금하고 한편으로는 아쉽다.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고전독서법>은 한양대학교 국문과 정민 교수의 책으로 아들에게 책 읽기를 권하는 내용이다. "좋은 책을 읽고 나면 나는 더 이상 책을 읽기 전의 내가 아니지. 눈빛이 달라지고 마음속에 무언가 뿌듯한 것이 들어앉게 된다.(p.6)"고 말하는 정민 교수는 조상들에게 책은 어떤 존재였는지,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책을 넘어서 모든 것을 배움이라 여겼던 삶의 지혜를 설명한다. 그 근거는 과거 조상들의 책읽기와 글쓰기로,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고 친근한 어투로 전달한다.

책은 조상들도 '독서'에 대해 오늘날 독서가들과 유사한 고민해왔다는 걸 알려준다. 정독과 통독의 방법에 대해 중국 진목이란 자는 소가 되새김질하듯 읽는 독서법과 통독은 고래가 큰 입을 벌려 새우를 삼키듯 읽는 독서법으로 설명한다. 되씹고 찬찬히 읽어야 하는 경우와 어마어마한 양으로 뱃속을 가득 채워야 하는 경우를 나눠 설명하며 "책의 성격에 따라, 또 나의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p.54)고 말한다. 매년 독서계획을 세우며 '많이 읽느냐'와 '제대로 읽느냐'를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되는 얘기다. 또 책을 언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말한다. 연암 박지원은 "책 읽는 방법은 날마다 일과를 정해서 읽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고, 읽다 말다 하는 것보다 더 나쁜 것이 없다."(p.61)며 많이 읽거나 빨리 읽으려는 욕심은 불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대신 몇 줄씩 읽을지 정하고 횟수로 제한해서 날마다 꾸준히 읽는다면 뜻이 정밀해지고 의미가 분명해진다고 조언한다. 이밖에도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지, 고전은 무엇을 말하는지, 책이 왜 좋은지와 같은 '책'과 관련한 '거의 모든' 이야기를 들려준다.

어렸을 때 내가 이런 책을 읽어봤다면 어땠을까. 남편에게 시기별 나의 인생 책을 말할 수 있지 았았을까? 책의 소중함을 아는 것도, 책을 통해 배움을 이어나갈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정민 교수처럼 가족중에 책을 읽고 책을 권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도 한 사람의 성장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고전독서법>은 2012년에 발매된 책이다. 7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벼리는 어떤 사람으로 살아가고 있을까. 아버지 정민의 뜻처럼 책을 읽으며 지혜를 키우며 성장했을까. 정민 교수처럼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고 싶은 부모님들이 읽어보고 실천해볼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