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의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3월
평점 :
처음 읽은 건 대학 때 였던 것 같다. 그 땐 책을 사본 다는 엄두를 못내던 시절이니 이 책이 내 책장에 꽂혀 있는 이유는 회사를 다닐 때 구입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나에게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은 이번이 벌써 세 번째.
김훈이 말했던가, "노동은 신성하다"고. 하지만 또 누군가 이런 얘길 했던 것 같다. 진짜 신성한 건 "놀이"라고.
사람들은 돌이킬 수 없을 만큼 헝클어진 세상을 근거로 신을 부정한다. 신이 있다면 세상을 이대로 놔두지는 않았을 거라고. 나는 이 대목에서 사람들이 얼마나 신성을 오해하는지 깨닫는다. '신'이 '성'스러운 이유는 '아무 것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힌두교의 소(신)는 어떠한 노동에도 기여하지 않음으로써 신성을 획득한다. 양반과 귀족의 조건은 '땀 흘리지 않는' 것 이었다.
혹자는 그럼 창세기에 신이 한 행동은 뭐냐고 물을 것이다. 좋은 지적이다. 하지만 좀 더 멀리 봤으면 한다. 신은 어둠 속에서 깨어나 세상을 만들었고 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순간 되려 손을 떼고 질서가 무너지는 것을 바라보기만 했다. 이유가 뭘까?
창조는 '놀이'지만 관리는 '노동'이기 때문이다.
신이 칠흑같은 어둠 속에서 진행한 창조는 노동이 아니라 놀이였다. 축제가 모두 끝나고 나자 뒤도 돌아보지 않고 놀이 공원을 떠난 것이다. 신이 한 실수라면 놀이 공원을 나서면서 불을 끄지 않았다는 것. 그렇게 이 세계는 방치됐다.
아! 무료해진 신이 다시 놀이공원을 찾은 적이 꼭 두 번 있다. 한 번은 줄기차게 비를 뿌려 세상을 물바다로 만들었고 또 한 번은 자기가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려 만든 '인간의 탑'을 무너뜨린 것이다. 이건 노동이 아니냐고? 천만에. 재미로 오줌을 싸 개미굴을 무너뜨리는 아이를 떠올려 보자. 도미노를 쌓기 보다 무너뜨릴 때 손뼉을 치며 황홀해하는 아이를 떠올려보자. 창조가 놀이라면,
파괴는 더 큰 놀이다.
진실을 알고 나니 화가 나는가? 없으면 그냥 없어서 그렇겠거니 하고 말 일이지만 있다면 탓하고 싶은 게 인지상정이다. 없는 줄 알았는데 있었다니, 다 보고 있으면서 그 따위로 행동하다니! 이 무책임한 신을 모욕하고 싶다면 부정하는 걸로는 부족하다. 부정은 그저 도피일 뿐, 현실을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방법은 두 가지. 그를 죽이거나 우리 모두,
신이 되거나.
신이 되는 법은 간단하다. 그가 칠흑같은 어둠 속에서 했던 것을 그대로 하는 것. 그러니까 우리, 힘 없고 비굴하고 미천한 인간들아 놀자. 노는 것만이 우리를 '신'으로 만들지니, 놀고 놀고 또 놀아, 우리 스스로,
우리를 구원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