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의 고백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
미시마 유키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미시마 유키오. 본명 하라오카 기미타케. '금각사'의 저자. 극우파 민족주의자. 원자폭탄 두 방에 가까스로 제 정신을 차린 일본을 다시금 폭력의 핏물 속에 빠뜨리기 위해 안달하다 스스로 배를 갈라 새빨간 선혈로 생의 마지막을 장식한 정신병자.


난 이 사람이 싫다. 우파를 증오하니까. 그냥 우파만해도 치가 떨리는데, 극우파라니. 이런 남자가 쓰는 소설은 그 단어 하나, 문장 한 줄, 아무런 의미없는 구둣점조차 심기를 거스를게 분명하다. 세상에, 극우파의 소설이라니!





그럼 왜 나는 미시마 유키오를 펼쳐 들었나? 싫어하려면 그 만큼 더 잘 알아야 한다는 유치한 집념은 아니었다. 그렇다면 왜? 미시마 유키오, 고작 31세에 문학 인생의 절정을 맞은 천재, 당대 최고의 소설가. '금각사'라는 이름은, 그래 소설을 읽기 시작한 이래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 보았지. 그러니 어쩔 수 없잖아. 정치적 견해 때문에 하나의 기념비가 될 수도 있는 문학을 놓쳐 버릴 수는 없어. 나는 그 정도로 참을성이 있는 사람은 아니지. 궁금해 미칠 지경, 도대체 어떤 작품이길래 사람들은 이 정신병자에게 그토록 환호하는가. 나는 이런 호기심에 걸려든 평범한 독자인거야. 그리하여 펼쳐든 작품이 바로 이 '가면의 고백'. 





첫 장을 읽는 순간 죽음의 냄새를 맡았다. 의외였다. 이 소설은 미시마 유키오가 자신의 젊은 시절을 자전에 가깝도록 써낸 소설이다. 그러니 이 소설에 묘사되는 소년은 미시마 유키오 자신일 것이다. 그런데 글 속에 근육질의 일본도를 든 극우 꼴통의 중년 아저씨는 없었다. 허약하고 창백한, 말라 비틀어진 소년이 하나 있었을 뿐이다. 그는 어린 시절 자가 중독으로 죽을 고비를 넘겼다. 고비를 넘겼다고는 하지만 죽음은 언제나 소년의 옆을 지키는 빚쟁이였던 것 같다. 죽음과 함께하는 사람들에게서 보이는 허무와 죽음에 대한 무의식적인 찬미를, 이 병약한 소년도 지니고 있었다.


소년은 죽음을 사랑했다. 총알이 심장을 뚫고 지나가 분수처럼 피를 쏟으며 바닥에 쓰러지는 병사를, 뜨거운 장작 위에서 갈기 갈기 태워져버리고 마는 잔다르크를, 소년은 사랑했다. 죽음에 대한 찬미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갈망과 비례한다. 무서운건 죽음이 아니다. 그것은 주머니 속에서 반짝반짝 빛나는 보석이다. 더럽고 무례하고 혐오스러운건 고통이다. 소년은 고통이라는 더러운 오물을 뒤집어쓰고 죽음을 찾아 떠나는 탐험가다. 끝없이 고통스러울 바에야 차라리 죽는 것이 낫다라는 생각은 지극히 합리적인 생긱이다. 고통을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사람에겐 죽음이 황홀할 수 있는 것이다.


소년은 끝내 고통의 열매를 얻지는 못했다. 삶이 지속되자 그는 남성을 욕망했다. 그것은 아마 강함에 대한 갈망이었을 것이다. 허약한 자신에 대한 증오가 커질수록 덩달아 커지는 생명력에의 갈망. 그것은 사춘기 소년에게 남성을 사랑할 기회를 안겨줬다. 또래의 친구들이 나체의 여자를 떠올리며 은밀한 습관을 문지를 때, 소년은 벌거벗은 남성의 육체를 상상하며 자위했다.


죽음과 비정상적 사랑의 근처에서 우물쭈물하다 소년은 성인이 되었다. 그 때는 전쟁이 한창이었다. '너는 20세에 죽을거야'라는 말에 당혹감보다는 우쭐한 쾌감에 젖었던 청년은 막상 그것과 마주하고 나자 공포에 몸을 떤다. 공습 경보가 울리면 누구보다도 빨리 방공호로 대피했던 것이다. 모든게 정상이 되가고 있다는 신호였을까? 청년에겐 사랑하는 '것 같은 여자'까지 생겼다. 청년은 여자와 함께 잔디밭에 앉아 키스를 나눈다. 그러자 모든 것이 원래대로 돌아갔다. 청년에 따르면, 임시로 고용해 몸에 달고 있었던 '정상성'이 키스 후에 찾아온 무감각과 서글픔에 산산조각나고 말았던 것이다. 여자는 결혼을 원했다. 청년은 정중히 거절했다. 





자전적 소설이라고는 하나, 그 말에서도 드러나듯 이것은 엄연히 소설이다. 가면의 고백에  쏟아지는 모든 고백들이 미시마 유키오를 그대로 재현한다고 생각해선 안되는 것이다. 소설은 허구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생각한다면 소설은 허구이기에 그 속에 과감한 고백을 담을 수도 있는 것이며, 그로 인해서 대부분의 소설은 작가 자신의 내면적 고백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257p, 해설 중)


나는 이 소설을 미시마 유키오의 고해성사로 받아 들이고자한다. 그는 이 소설을 통해 자신도 정확히 헤아릴 수 없는 자기 본연의 모습을 진지하게 탐구하려 했던 것 같다. 작가로 다시 태어나는 순간, 그래 그 새로운 출발을 위해 미시마는 그 무엇보다도 먼저 자기 자신을 정의하고 싶었던 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정의가 단단히 뿌리 내리지 않으면 인간은 결코 자신의 세계를 구축할 수 없다. 그러니 작가라는 위대한 첫발을 내딛는 바로 그 순간 그가 행할 수 있는 일은 과감히 자기를 고백하는 것 말고 무엇이 있겠는가.


p.s - 미시마 유키오의 예술 세계는 이후의 작품을 더 탐독하고 나서야 말할 자격이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의 문장 만큼은 아니다. 그 위력은 '가면의 고백'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눈 앞의 글자가 그대로 향기가 되어 하늘하늘 피어오르는 것처럼 황홀한 언어의 춤. 굳이 소설로 묶여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문장 하나하나가 각각의 문학 작품이 될 수도 있을 정도다. 이 정도의 경지를 24살에 보여줬다니. 천재적 예술성이란, 어쩌면 죽음을 껴안은 자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인지도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류연 2012-07-11 00: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봤습니다.^^

한깨짱 2012-07-11 13:17   좋아요 0 | URL
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