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 도시 - 서울에서 경기도까지, 시민의 도시에서 벌어지는 전쟁들 서울 선언 2
김시덕 지음 / 열린책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등 도시>의 저자 김시덕은 문헌학자로 꽤 이름을 알린 모양이다. 그전까지는 몰랐는데 읽고 나니 여기저기서 그의 이름이 눈에 띈다. 문헌학자가 무슨 일을 하는가 보니, 글을 읽는 직업이었다. 특이한 건 '책'이 아니라 '글'이라는 것이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을 무너지기 직전의 건물 머릿돌에서 가게 간판, 버려진 비석까지. 단 한 글자, 단 하나의 초성만 쓰여있어도 이 문헌학자에겐 소중한 해석의 재료가 된다.


쓰인 글에서 쓴 사람의 내력, 쓰일 당시의 상황, 쓴 이유까지 알아낸다는 건 놀라운 일이다. 마치 셜록 홈즈라도 된 느낌. 글에선 60-70대의 노 교수가 떠오르는데 실제론 75년생에 불과한 젊은 사람이라는 게 신기하다. 옛것을 가까이하면 말과 행동도 같이 늙나 보다.


<갈등 도시>는 저자가 서울과 주변의 위성 도시들을 걸으며 기록한 답사기다. 그는 부천, 인천, 안양을 비롯하여 일산, 고양, 파주 그리고 의정부, 남양주, 분당까지 서울에 인접한 도시들을 한데 묶어 '대서울'로 지칭한다. 이 '대서울'이란 말엔 듣는 사람에 따라 거북함이 있을 것이다. 이 말속에선 각 도시가 가진 고유성이 사라지고 그저 서울이 되고 싶은, 혹은 서울의 아류 도시들만 남기 때문이다.


물론 저자의 기준은 명확하다. 인간 사회는 물질이라는 토대 위에 지어졌기에 경제적 연관성으로 묶인 거대 권역을 통째로 읽지 않으면 서울과 그 주변 도시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확실히 분당과 일산은 서울의 거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도시고 인천은 서울을 바다로 연결해주는 공업 도시임을 부정하기 쉽지 않다. 이 밖에 다른 도시들도 버스나 지하철의 차고지, 하수 처리 시설 등 서울 내에 있긴 힘든 비선호 시설들을 품으며 이 거대 도시를 유지하는 일익을 담당한다. 저자의 생각을 찬찬히 더듬다 보면 그 논리나 근거에 대해 상담 부분 수긍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 모든 게 서울을 유지하기 위한 인위적 정책의 결과라고 생각하면, 주변 도시들의 희생이 눈에 띄면서 반발감이 들끓는다. 불필요한 걸 억지로 떠넘겨 놓고 관계를 운운하며 하나로 묶다니. 이 논리라면 대외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은 한국, 그러니까 중국과 미국과 사실상 하나처럼 움직이는 대한민국도 대중국 혹은 대 미국의 일부로 생각해야 하는 게 아닐까? 대한민국은 중국에 양질의 공산품을 제공하는 공업 성(province)이자 미국의 극동아시아 방어 요충지인 군사 주로(state)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생각을 좀 더 밀고 나가다 보면 일제 시절 침략에 당위를 제공하던 대동아공영권까지 떠오른다.


저자는 양반 및 왕가, 즉 지배층의 문화를 중심으로 보존되는 역사에 격렬한 거부감을 느낀다. 궁궐이나 왕릉만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이냐? 양반들이 살던 99칸 기와집은 중요하고 서민의 기와집은 중요하지 않은 것이냐? 대한민국의 힘은 조선을 망국으로 이끈 지배층의 사상과 문화를 극복하면서 탄생한 것인데, 이제 와서 다시 그것을 보존하고 숭배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것 아니냐? 나도 이 생각엔 상당히 공감한다. 하지만 이런 철학을 가진 사람이 서울을 중심으로 한 대서울 서사를 만들어내는 건 어딘지 모르게 위화감이 느껴진다. 다시 한번 말하자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위성 도시들의 연계는 인위적 선택에 따른 결과일 뿐이다. 대서울 이라는 것은 단지 그 현상을 쉽게 파악하려는 생각의 틀에 불과한 걸까? 저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그 틀이 서울의 확장을 긍정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도구로 사용될 여지는 없을까?


<갈등 도시>는 엄밀한 사회 과학서가 아니다. 지은이가 직접 발로 걸어 다닌 길들을 기록한 탐사기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 담긴 내용들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사실 저자가 유년 시절을 보냈던 곳이 나의 유년시절과 겹치고 책에서 많은 부분을 할애한 강남, 인천, 일산, 분당, 파주, 의정부, 남양주 지역이 나와 무관하지 않은 탓에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흥미롭게 읽었다. 살던 동네의 옛 지명과 탄생 과정을 확인하는 미시 역사는 그야말로 우리 같은 사람들, 평범한 보통 사람들의 역사임에 큰 의미를 지닌다. 그럼에도 어딘지 모르게 뒤통수가 댕기는 이유는 뭘까? 흥미와 의심 사이를 시종일관 오락가락한 책. 김시덕의 <갈등 도시>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0-02-03 17: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문헌학....
덕분에 좋은 책 소개 받아 감사합니다

한깨짱 2020-02-05 14:04   좋아요 0 | URL
방문에, 긴 글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