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은 예쁘다 - 무엇이든 새로 시작할 수 있는 나이
김신회 지음 / 미호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아직 20대이다. 왜인진 몰라도 나는 작년부터 30살에 관한 책을 찾아보기 시작했다. 올 것이 두려워서인지, 모르는 것에 대한 기대감인지 모른다. 하지만 나는 그 나이대에 매력을 느낀다. 내가 생각하는 삼십대란, 드라마에서 30대 주인공과 다르지 않다. 경제적인 자립을 하고, 직장을 가졌다. 때때로, 친구들을 만나고 연애를 한다. 회사를 다니다가 문득, 창업을 해볼까 라는 생각도 하는 삼십대. 결혼을 고민하는 삼십대. 전반적으로 20대보다 훨씬 성숙해져있어야 한다고 상상한다. 


그렇게 서른에 관한 탐색을 하다 만난 책이다. ‘서른은 예쁘다’는 34살 여자의 이야기이다. 난 김신회 작가를 ‘가장 보통의 날들’로 접했다. 그 때는 그냥 보통의 여행작가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서른은 예쁘다’를 읽고, 반해버렸다.  그런 김신회 작가의 책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서른은 예쁘다’에 대해 말해보겠다.


이 책이 좋은 이유는 많다. 소재가 구체적이고 다양하다. 친한 언니가 카페에 앉아 들려주는 이야기 같다. 자기 이야기를 안 하고 두루뭉술하게 이야기하는 에세이와 다르다. 자기 이야기에,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까지 더하니 책이 더 풍성하다. 작가의 유머감각도 나와 어느 정도 통한다. 삼십대의 미혼 여성이 무엇을 고민하는지 미리 들여다 볼 수 있다. 가르치려 들지 않는다. 이런 점들이 내가 이 책을 좋아하는 이유이다. 책에서 다루는 주제는 크게 사랑, 결혼, 직장, 여행이다. 작가는 이 카테고리를 갖고 30대 여성이 가진 심리를 이리저리 잘 풀어낸다.


아무래도 결혼하지 않은 삼십대 여자에게 가장 큰 일은 결혼이다. 부모님이 알아온 선 자리. 작가는 자연스럽게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한다. 그러면서 부모님이 주선한 선도 보러 간다. 그게 아무래도 부모님에게 적당히 구박받으면서 빠져나갈 틈을 만드는 방법이지 싶다. 나한테는 이제 40대 미혼인 친척 언니가 있다. 예전에는 친가 어른들이 결혼 언제 하냐고 물어보았지만, 이젠 그러지도 않는다. 작가도 그렇게 되면 어떡하지? 걱정하면서도, 정말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고 싶다는 그녀의 마음을 이해한다. 결혼은 아무하고나 해서는 안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는 나이 들어감에 대한 고민이다. 결혼식장에서 만난 옛 선배가 던진 “야, 너 삭았다!”라는 말에 가슴이 덜컹한 작가. 화장실로 달려가 거울을 보고, 친구들에게 문자를 보냈다. “나 늙었어?” 그녀는 아니라는 대답을 듣고 싶었다고 한다. 사실이 무엇이든 간에, 아니라는 대답을 듣고 싶었던 것. 친구 한 명이 무슨 소리냐며 분개해준다. 나이 들어가는 것에 작가는 무작정 긍정적이진 않다. 다만, 한 살 더 들기 전에 조금 더 예쁘게 꾸며보고 자신의 외적 장점을 극대화 시키자고 한다. 나는 작가의 이 말을 듣고, 올해 나의 옷 입는 스타일에 변화를 주었다. 어색해서 잘 안 입는 치마도 입고 유행이라는 맥시스커트도 입어본다. 지금이 내 인생 최대로 젊을 때라면, 시도해보는 게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옷차림이 다양해진 만큼, 나는 조금 유연해진 느낌이다.


책을 읽으면 그런 생각이 든다. 내가 30대를 생각하는 수준은 고등학생 때 대학생활을 상상하는 것과 같다고. 막상 입학하고 나면 별것 없지만, 닥치기 전에는 몰라서 더 매력적인. 지금 30대인 사람과, 내가 30대가 될 때의 30대가 같을까? 그런 생각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