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부르며 살았다 - 마종기 시작詩作 에세이
마종기 지음 / 비채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와 관련한 책을 산 건 이번이 두번째이다. 처음은 선물하려고 파블로 네루다의 시집을 샀고, 두 번째는 마종기의  

     '당신을 부르며 살았다'이다.  검색을 하다 광고를 보고 클릭해서 본문을 보았는데, 그 때 본 시가 <정신과 병동>이었다. 

     시에서 풍기는 쓸쓸한 분위기가 좋고 그 뒤에 시를 쓰면서 하고 싶었던 이야기, 작가의 에세이가 붙어있어서 이 책을  

     사서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시집의 특성상 소설처럼 쭉쭉 읽으면 안된다는 걸 알았지만, 마종기란 시인이 해주는 이야기때문에 계속 볼 수밖에 없 

     었다. 시를 읽기 위해서보다, 시 뒤에 있는 그의 이야기가 듣고 싶어서 책을 읽었다. 그가 쓸쓸해하며 쓴 시들, 인생을 더 

     많이 살면서 겪은 경험들을 난 쏙쏙 흡수하고 싶었다. (그래서 시를 제대로 이해하려고 하는 데에는 충실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시대적 상황때문에 타국에서 평생의 대부분을 보내야 했던 사람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조국, 한국에 대한 그리움이  

     묻어난다. 시를 쓰고, 쓰고 난 뒤에 눈물을 흘린적이 많았다는 그를 상상하면서 그가 느꼈을 쓸쓸함을 조금이나마 추측 

     해본다. 전반적으로 쓸쓸하기보다는 따뜻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삶을 대하는 자세가 진실된 사람인 듯한 느낌이..   

     후배들의 헌사가 4편이나 실려있어 마종기란 시인이 얼마나 사랑을 받고 있는지 느낄 수 있어 더 좋았다.

 

      읽다보며 가장 아쉬웠던 점은 문학교과서에 실려서 학생들의 감성을 자극해줄 수 있을 만한 작품이 있음에도, 그렇지  

      못한 것이었다. 사실 문학교과서에서 접하는 시들은 그 구성이 진부하고 진부해서 더 이상 학생들에게 감동을 전해줄  

      수 있을 거라 보이지 않는다. (그게 학교에서 해석하고, 외우는 방식때문에 그렇기는 해도) 나는 마종기 라는 시인을  

     이 책을 보면서 알게 되었다.  그를 학교 교과서에서 본 적도, 들은 적도 없었다.  

 

      시를 보면서 시가 마냥 어려운 건 아니구나 라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물론 학생때 버릇때문에 이 시는 이미지즘적이 

      고, 종교적이고, 주된 정서는 쓸쓸함, 그리움이다 라는 식으로 머릿속에 정리?해보기도 했지만 말이다. 여태까지 시를  

      거의 읽지 않고 살았는데, 앞으로 시도 읽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지니아 2010-07-18 1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오고 쓸쓸할때 읽으니 더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