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부

 

 

 

 

                               잘 지냅니다

                               바위는 아직 잠을 자고

                               산골 물도 그대로 흐릅니다

                               새들도 몰려와

                               온 골짜기를 뒤집어

                               하늘 높이 흩어져서

                               구름 속으로 박힙니다

                               바람이 다녀가는지

                               나뭇잎은 말없이

                               손을 흔듭니다

                               버리고 가신

                               산도 잘 있습니다  (P.17 )

 

 

 

 

 

 

                          뼈아픈 소리

 

 

 

 

                                 시골에 산다지만

                                 농부가 아닌데

                                 땅을 알겠는가

                                 하늘을 알겠는가

 

                                 한양 시인들에게

                                 詩를 보이면

                                 고개만 끄덕끄덕

                                 소주나 마시다가

 

                                 아내를 향하여-

                                 김치 맛이 일품이라

                                 잘 먹고 간다는

                                 그런 소리뿐이다  (P.18 )

 

 

 

 

 

                              윤회

 

 

 

 

                                   천둥에 부서진 구름

                                   빗물 되어 눈물 되어

                                   풀잎 아래 숨었다가

                                   천둥소리 새소리 함께 녹아

                                   산골짜기 타고 내리며 이름 부르면

                                   귀가 열리는 오리나무 진달래

                                   지난해 제 모습 기억해내곤

                                   꽃눈을 뜬다

                                   잎눈을 뜬다  (P.30 )

 

 

 

 

 

                             목어木魚

 

 

 

 

                                    누가 그리 하였는지

                                    마구 잘린 나뭇가지

 

                                    집으로 데불고 온 뒤에도

                                    아직 살아 물이 흐른다

 

                                    마음을 가다듬어

                                    물고기 한 마리 만들었다

 

                                    눈, 입 그려 넣고

                                    비늘 새겼더니

 

                                    손가락 마디에서

                                    비린내가 난다  (P.31 )

 

 

 

 

 

 

                              밥

 

 

 

 

                                    할머니는 평생

                                    밥 밖에 몰랐다

                                    아가 밥 먹어라-

                                    밥 먹다가

                                    동냥치 밥 주고

                                    설거지 끝나면

                                    개 밥 주고

                                    벽시계 밥 먹이고

                                    성냥골로 귓밥 파다가

                                    감나무에 남은

                                    까치밥 쳐다보다가

                                    대처로 나간

                                    큰 아들 생각한다

                                    (밥이나 먹었는지...)  (P.74 )

 

 

 

 

 

                                                        -양동식 詩集, <뼈아픈 소리>-에서

 

 

 

 

 

 

 

 

 

 

 

전통적 서정을 다양하게 개척한 양동식 시인의 간결한 시 언어
고단한 삶과 닫힌 마음, 지친 영혼을 다독이는 푸른 서정시


저자 양동식은 전통적 서정의 시세계를 다양하게 실험적으로 개척해 온 시인이다. 그의 시가 특징적으로 삼고 있는 전아(典雅)함과 단아함은 기품 있는 언어로 구사되어 그대로 드러난다. 그의 짧은 시어에 무어라 감상을 다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저 스며들도록 마음으로 읽고 영혼에 울리는 긴 여운을 그대로 깊이 느낀다. 삶의 단상을 담담한 어조로 그려내고 발표한 작품 중 66편을 골라 시인의 나이 일흔에 ‘뼈아픈 소리’로 평생의 시 작품을, 그리고 인생을 담아냈다.

병원을 개업한 날부터 나는 줄곧 입원해 있다. 언제 퇴원할 지 아무도 모른다. 가끔 세상 소식을 싸가지고 와서 커피잔에 가득 위로의 말을 따라주는 다방아가씨 말고는 문병 오는 사람도 없다.……아내는 나더러 다른 환자들처럼 술 담배를 끊으라고 윽박지르지만 선천적인 무슨 결핍증인지 그것도 되질 않는다. 날이 밝으면 온갖 환자들의 모든 病을 함께 앓으면서 내 병은 더 더치고 밤이면 또 잠을 이루지 못해 겨울 긴긴 밤 담배연기로 기다란 내장을 그슬리면서 아픈 곳마다 알콜 소독을 하면서 뾰족한 처방도 없이 퇴원 날짜만 손꼽아 기다린다.
- 서문 중에서

산을 버리고 간 이들, 자연과 더불어 살기를 거부하고 떠나간 이들, 세속적인 명리와 물질적 풍요를 찾아간 이들에게 시인은 ‘마른 꽃잎’ 하나 건넨다.
저자의 평생의 실험적 행보로 자신의 시적 진로를 모색하고 발표한 시어들 중에서 66편을 모았다.
1부 ‘안부’, 2부 ‘나는 시를 밴다’, 3부 ‘바람 불면’의 3부로 나누어 저자의 다양한 시성의 세계를 만난다.

 



   마른 꽃잎으로
   베갯속 넣었더니
   기러기 한 마리
   머리맡에 기댄다
   -1부 중 「들국화」

   하늘은
   넓고 넓어서
   한 눈에
   다 볼 수 없다
   -2부 중 「하늘」

   섬돌 밑
   작은 방 빌어
   이슬에 씻은 악기
   줄 한 번 더 고르고
   ……
   영겁에 전할 가락으로
   세속의
   내 귀 뚫어주는가
   -3부 중 「귀뚜라미」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4-01-11 16:48   좋아요 0 | URL
흙을 알면서 시를 노래하고,
시를 노래하면서 사랑을 알고,
사랑을 알면서 삶을 노래하는
하루 아름답게 흐르리라 느껴요.

appletreeje 2014-01-13 16:06   좋아요 0 | URL
예~시인께서도 그런 분 일 듯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다 그렇게 살았으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들구요~*^^*

2014-01-11 18: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13 16: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14-01-12 15:07   좋아요 0 | URL
출판사 이름이 참 예쁘네요. '시와'

평소엔 그냥 트리제님 올린 시들만 읽고 가는 편인데 오늘은 '도서검색'까지 하는 성실함(?)을 보이며 목차까지 살펴보고 나왔어요. 양동석 시인의 시는 제목이 모두 짧네요. 한글자 아니면 두 글자가 제일 많고, 길어야 일곱글자? 맨 앞에 소개하신 <안부>는 도종환의 <산경>과는 분명 다르지만 왠지 비슷한 분위기가 느껴지구요.

appletreeje 2014-01-13 16:35   좋아요 0 | URL
역시! 컨디션님께서는 '섬세한' 분이십니다~
시와,라는 출판사 이름은
'시와 더불어(with)' '시와 누워(lie)' 시여 오라(come)'의 의미라네요~

예~ 시 제목들도, 시들도, 시집의 판형도 다 짧습니다.^^
보통의 시집들(가령, 문지의 경우 206*128mm) 정도인데, 이 시집은
190*123mm로 아주 작고 얇아서 손에 들어오는 느낌이 詩들만큼, 좋아요~
시인의 <나비>는 우리나라 시집 발간 사상 가장 작은 시집으로 기록되고
있다 하네요. '작은 것이 아름답다'를 본래 좋아하시는 분인가 봅니다..^^

컨디션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정말 그렇군요~
'안부'와 '산경'의 분위기가요. 덕분에 <해인으로 가는 길>을 꺼내 다시
'산경'을 비롯한 시들을 읽는 그런 오후가 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컨디션님!^^
평온하고 좋은 오후 되세요~*^^*

2014-01-13 16: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13 17: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13 19: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1-14 1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늘바람 2014-02-12 02:05   좋아요 0 | URL
이상하네요 안부를 읽으니 눈물이 나네요 에잇 도망갑니다

appletreeje 2014-02-13 10:33   좋아요 0 | URL
오..하늘바람님!!^^
저도 왠지 그렇네요 에잇 도망가지마세요...
조금만 더 계시다가세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