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로지Coco Rosie의      황병승

                     유령

 

 

 

 

 

 

                      지금은 거울 속 수염을 들여다보며 비밀을 가질 시기

                      지붕위의 새끼 고양이들은

                      모두 저마다의 슬픔을 가지고 있다

                      희고 깨끗한 물고기들이 죽어가는 겨울

                      얼어붙은 호수의 빙판 위로

                      부러진 나뭇가지들이 이리저리 뒹굴고

                      나는 어른으로서의 이 시간을 견뎌야 한다 어른으로서

                      봄이 되면 지붕 위가 조금 시끄러워질 것이고

                      죽은 물고기들을 닮은 예쁜 꽃들을 볼 수 있어

                      봄이 되면 나는 비밀을 가진 세상의 여느 아이들처럼

                      소리치며 공원을 숲길을 달릴 수 있겠지

                      하지만 보시다시피, 지금은 겨울

                      주전자의 물 끓는 소리를 들으며 부끄러움을 가질 시간  (P.56 )

 

 

 

 

 

 

 

                      겨울. 눈. 나무. 숲     기형도

 

 

 

 

 

                        눈(雪)은

                        숲을 다 빠져나가지 못하고

                        여기 저기 쌓여 있다.

                       '자네인가,

                        서둘지 말아.'

                        쿵, 그가 쓰러진다

                        날카로운 날()을 받으며.

                        나는 나무를 끌고

                        집으로 돌아온다.

                        홀로 잔가지를 치며

                        나무의 침묵(沈默)을 듣는다

                        '나는 여기 있다.

                        죽음이란

                        가면(假面)을 벗은 삶인 것.

                        우리도, 우리의 겨울도 그와 같은 것'

                        우리는

                        서로 닮은 아픔을 향()하여

                        불을 지피었다

                        창()너머 숲속의 밤은

                        더욱 깊은 고요를 위하여 몸을 뒤채인다.

                        내 청결(淸潔)한 죽음을 확인(確認)할 때까지

                        나는 부재(不在)할 것이다.

                        타오르는 그의 아름다운 거리(距離)를 두고

                        그래. 심장(心臟)을 조금씩 덥혀가면서.

                        늦겨울 태어나는 아침은

                        가장 완벽(完璧)한 자연(自然)을 만들기 위하여 오는 것.

                        그 후()에

                        눈 녹아 흐르는 방향을 거슬러

                        우리의 봄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P.138 )

 

 

 

 

 

 

 

                        화가 최북에게            신광수

                        그림을 그리게 하고

 

 

 

 

 

 

                          서울에 사는 최북은

                          그림을 팔아서 살아가는데,

                          지내는 곳 쓰러진 초가집에는

                          네 벽에서 찬바람이 나는구나.

                          나무로 된 필통에다

                          유리로 된 안경을 쓰고,

                          문 닫은 채 하루 내내

                          산수도를 그린다네.

                          아침에 한 폭을 팔아선

                          아침 끼니를 얻고,

                          저녁에 한폭을 팔아선

                          저녁거리를 얻는다네.

                          추운 겨울날 떨어진 방석 위에

                          손님을 앉혀 놓았는데

                          문 밖 조그만 다리 위에는

                          눈이 세 치나 쌓였구나

                          여보게! 내가 올 적에

                          눈 덮인 강이나 그려서 주오.

                          두미와 월계에

                          다리 저는 나귀를 타고서,

                          환하게 물든 청산을

                          둘레둘레 돌아다보네.

                          고기잡이의 집은 눈에 눌리고

                          낚시배만 외로이 떴는 데,

                          어찌 반드시 패릉교의 맹호연과

                          고산의 임포만 그릴 건가.

                          내 그대와 더불어 복사꽃 물 위에서

                          함께 배를 타리니,

                          설화지 위에다 봄날의 산 모습도

                          다시금 그려 주게나.  (P.177 )

 

 

 

 

 

 

 

                        카페 마리안느   황인숙

 

 

 

 

 

 

                             "누군 저 나이에 안 예뻤나!"

                              스무 살짜리들을 보며 중년들이 입을 모았다

                              난,

                              나는 지금이 제일 예쁜 거라고 했다

                              다들 하하하 웃었지만

                              농담 아니다

                              눈앞이 캄캄하고 앞날이 훠언한

                              못 생긴 내 청춘이었다.  (P.54 )

 

 

 

 

 

                                               -< 그 어떤 위로보다 당신에게 시>-에서

 

 

 

 

 

 

 

 

 

 

 

 

내 인생에 안부를 물어준 고마운 시 76편

나무 그늘에 앉아
다른 사람의 눈물을 닦아주는 사람의 모습은
그 얼마나 고요한 아름다움인가
- 정호승 「내가 사랑하는 사람」 중에서

시의 수많은 역할 중에서 박형준 시인이 주목한 것은 '위로'다. 정호승 시인의 말처럼 다른 사람의 눈물을 닦아주는 일이야말로 시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기 때문이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특히 위로받아야 할 일이 많다. 삶은 힘들고 외롭다. 하지만 위로의 말을 건네주는 이는 많지 않다. 이렇듯 위로받지 못하는 우리의 쓸쓸한 인생에 박형준 시인이 안부를 묻는다.
릴케의 「서시」에서 시작되는 시인의 이야기는 황동규의 「더딘 슬픔」과 정호승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거쳐, 사랑을 함으로 인해 더 슬픈 우리의 마음을 읽어내고, 삶의 뜨거운 열정을 돌이키고픈 이들에겐 황인숙의 「카페 마리안느」, 정현종의 「창천」, 마리나 츠베타예바의 「헌시」를 들려주며 한번 미친 듯이 살아봐도 괜찮지 않냐고, 인생은 원래 달고 시고 쓰디쓴 과정 아니냐며 부추기기도 한다. 지금 가난해서 아프고 병들어 더 아픈 이들에겐 가장 뜨거운 삶의 순간들을 잡아내어 보여준다. 함민복의 「눈물은 왜 짠가」, 백석의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이성복의 「강」을 지나, 허수경의 「폐병쟁이 내 사내」에 이르면, 결국 삶이란 어둠의 바탕에 돋아나는 별빛 같은 것이라는 시인의 말에 가슴이 먹먹해짐을 경험하게 된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3-12-14 02:27   좋아요 0 | URL
밤하늘 빛나는 별은 그야말로 고운 빛 되어
온누리를 포근하게 감싸는구나 싶어요.
시골도 도시도 별빛 가득한 밤 누리기를 빌어요.

appletreeje 2013-12-16 21:59   좋아요 0 | URL
예~함께살기님께서도 오늘밤도
별빛 가득한 밤 누리시길 빕니다~

2013-12-14 09: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6 2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4 2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6 2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착한시경 2013-12-15 15:24   좋아요 0 | URL
일요일 오후,,, 트리제님이 올리신 시를 읽고 있자니 저두 시집 한권 사고 싶어지네요^^ 좀 있다가 서점에 가야겠어요~

appletreeje 2013-12-16 22:06   좋아요 0 | URL
즐거운 시간 보내셨겠지요~?^^

2013-12-15 16: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6 22: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5 18: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6 2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7 16: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6 17: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2-16 2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녀고양이 2013-12-18 16:43   좋아요 0 | URL
기형도님의 시, 참 좋군요...
잿빛 구름이 간간히 걸린 오늘, 참 어울려요.

appletreeje 2013-12-19 11:42   좋아요 0 | URL
예...기형도님의 저 시, 참 좋지요~?....^^
비로소 '겨울'을 잘 만나게 해주는 그런.

마녀고양이님! 오늘도 눈빛처럼, 환한 좋은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