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

 

                                     김해자

 

 

 

 

 

                               너덜너덜한 걸레

                               쓰레기통에 넣으려다 또 망설인다

                               이번에 버려야지, 이번엔 버려야지, 하다

                               삶고 말리기를 반복하는 사이

                               또 한 살을 먹은 이 물건은 1980년 생

                               연한 황금색과 주황빛이 만나 줄을 이루고

                               무늬 새기어 제법 그럴사한 타올로 팔려 온 이놈은

                               의정부에서 조카 둘 안아주고 닦아 주며 잘 살다

                               인천 셋방으로 이사온 이래

                               목욕한 딸아이 알몸을 뽀송뽀송 감싸 주며

                               수천 번 젖고 다시 마르면서

                               서울까지 따라와 두 토막 걸레가 되었던

                               20년의 생애,

                               더럽혀진 채로는 버릴 수 없어

                               거덜 난 생 위에 비누칠을 하고 또 삶는다

                               화엄 속에서 어느덧 화엄에 든 물건

                               쓰다 쓰다 놓아 버릴 이 몸뚱이   (P.18 )

 

 

 

 

 

 

 

                             옛날의 그 집

 

                                          박경리

 

 

 

 

 

                                 빗자루병에 걸린 대추나무 수십그루가

                                 어느 날 일시에 죽어 자빠진 그 집

                                 십오 년을 살았다

 

                                 빈 창고같이 휭덩그레한 큰 집에

                                 밤이 오면 소쩍새와 쑥국새가 울었고

                                 연못의 맹꽁이는 목이 터져라 소리 지르던

                                 이른 봄

                                 그 집에서 나는 혼자 살았다

 

                                 다행이 뜰은 넓어서

                                 배추 심고 고추 심고 상추 심고 파 심고

                                 고양이들과 함께

                                 정붙이고 살았다

 

                                 달빛이 스며드는 차가운 밤에는

                                 이세상 끝의 끝으로 온 것같이

                                 무섭기도 했지만

                                 책상 하나 원고지, 펜 하나가

                                 나를 지탱해 주었고

                                 사마천을 생각하며 살았다

 

                                 그 세월, 옛날의 그 집

                                 나를 지켜 주는 것은

                                 오로지 적막뿐이었다

                                 그랬지 그랬었지

                                 대문 밖에서는

                                 늘

                                 짐승들이 으르렁거렸다

                                 늑대도 있었고 여우도 있었고

                                 까치독사 하이에나도 있었지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리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P.54 )

 

 

 

 

 

 

                               함승현 옷수선집

 

                                             이사라

 

 

 

 

 

                                 동네에는 항상 뒷길이 있다

                                 뒷길에는 햇빛도 비스듬히 내려와 앉는다

 

                                 낡아서 보풀이 일어나는 옷처럼

                                 흑백의 그림자로 앉아 있는 사람

                                 바닥에 뒤엉켜 무늬가 된 실밥들이 그 사람의 생이다

 

                                 달콤한 것들은 늘 같은 배경으로 물러서 있고

                                 뽀얀 국물 한 그릇이 눈물보다 진한

                                 그곳을

                                 사람의 냄새로 당신이 다가 간다면

                                 자기 이름을 건 옷 고치는 집

                                 함승현 옷수선집의

                                 무수한 실밥들이

                                 이팝나무에서 떨어지는 꽃뭉치처럼

                                 한바탕 골목을 뒤흔드는 걸 보게 될 것이다

 

                                 오래 쓴 도시락이 창가에서 졸고

                                 외짝문 앞에서 흠뻑 물먹어 탐스러운

                                 작은 화분 몇 개가 나른하고

                                 가끔씩 그 사람 마저 조는 오후라 해도

                                 사람 마음마저 수선하면서

                                 이제는 버릴 것들 과감히 버리라는 조용한 충고도 듣게 될 것이다

 

                                 한 평 반의 실낙원에서

                                 혼자된 몸으로 오랫동안 효녀였던

                                 돋보기쓴 사람 하나가

                                 신의 이름을 빌려

                                 시간을 늘리고 줄이고 꿰매고 있는 걸 알게 될 것이다

 

                                 평소에는 침묵에 익숙한

                                 그 사람이

                                 동네 뒷길에서는 오래된 뒷심이다  (P.140 )

 

 

 

 

 

 

                             가을의 소원

 

                                            안도현

 

 

 

 

 

                                    적막의 포로가 되는 것

 

                                    궁금한 게 없이 게을러지는 것

 

                                    아무 이유 없이 걷는 것

 

                                    햇볕에 슬어 놓은 나락 냄새 맡는 것

 

                                    마른 풀처럼 더 이상 뻗지 않는 것

 

                                    가끔 소낙비 흠씬 맞는 것

 

                                    혼자 우는 것

 

                                    울다가 잠자리처럼 임종하는 것

 

                                    초록을 그리워하지 않는 것  (P.102 )

 

 

 

 

 

 

 

                               선술집

 

                                    고은

 

 

 

 

 

                                     기원전 이천 년쯤의 수메르 서사시 '길가메시'에는

                                     주인공께서

                                     불사의 비결을 찾아 나서서

                                     사자를 맨손으로 때려잡고

                                     하늘에서 내려온

                                     터무니없는 황소도 때려잡고

                                     땅끝까지 가고 갔는데

 

                                     그 땅끝에

                                     하필이면 선술집 하나 있다니!

 

                                     그 선술집 주모 씨두리 가라사대

 

                                     손님 술이나 한잔 드셔라오

                                     비결은 무슨 비결

                                     술이나 한잔 더 드시굴랑은 돌아가셔라오

 

                                     정작 그 땅끝에서

                                     바다는 아령칙하게 시작하고 있었다

 

                                     어쩌냐  (P.156 )

 

 

 

 

 

 

 

                                                 -문학집배원 나희덕의 <유리병 편지>-에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의 '문학집배원' 꼭지에서 도종환, 안도현 시인에 이어 세 번째 문학집배원으로 선정된 나희덕 시인이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주마다 한 편씩 독자들에게 배달한 시 편지를 한데 묶은 책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나눔사업추진반은 독자들이 문학을 좀 더 쉽고 가깝게 만나고 삶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2006년부터 지금까지 1년에 시인 한 명을 '문학집배원'으로 위촉해 매주 월요일에 시 편지를 온라인으로 배달하는 사업을 펼쳐오고 있다.

이 책에는 김춘수, 박경리 선생과 같은 작고 문인부터 우리 시단의 어른인 정현종, 신경림, 정희성, 이시영 시인, 그리고 김행숙, 박진성, 이근화 등의 젊은 시인까지 세대와 시 형식을 구분 짓지 않고 좋은 시를 쓰는 시인들의 시를 담았다. 생의 경륜과 유려한 시어로 깊이를 더하는 시부터 톡톡 튀는 상상력으로 발랄함을 뽐내는 시까지, 여러 시인들의 다양한 시세계를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10-01 14: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0-01 22: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0-01 16: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10-01 22: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3-10-01 20:11   좋아요 0 | URL
시편지 받아 읽는 분들
언제나 즐거운 넋 되겠지요.

박경리 할매 시에 묻어나는
흙내음은 언제 들어도
고소합니다.

appletreeje 2013-10-01 22:56   좋아요 0 | URL
예~저도 전에 받아서 읽었는데 참 좋았습니다~

박경리 선생님의 시,를 읽을때마다
저도 무척 좋습니다~*^^*

비로그인 2013-10-02 09:07   좋아요 0 | URL
음반으로 치면 예전 우리때(?)의 그 믹싱테잎 같은 시집이네요.
라디오 들으면서 공테잎에 녹음 버튼 누르고 그 지직거리는 소리가 섞인 곡들을 들으며 감성을 관리하던 그 시절이 문득 그리워지는 아침입니다.
트리제님이 선곡한 노래를 특별히 나만 선물받았다 치고(?) 저는 괜히 줄행랑을 치겠습니당.(갑자기 도망자) 이유는? 정말 급한 일이 생겼기 때문..

appletreeje 2013-10-02 22:30   좋아요 0 | URL
ㅋㅋ 컨디션님 말씀을 들으니 정말 그렇네요~
컨디션님 덕분에 저도 공테잎에 녹음 버튼 누르던 그 시간들이 애절하게
떠오르고 무진장 그립네요..흑흑..
그런데 그 급하게 생긴 일이 무엇인지..엄청, 궁금합니다. ㅎㅎ

[그장소] 2015-01-05 09:44   좋아요 0 | URL
고운시 잘 걷어가요..

비가오나..하늘 한번 보고
걸레라도 비맞음 삭지..
먼지나게 쓰도록 낡은것을
손에 익어
안성맞춤
그러면서 고집스레 그 시커먼
걸레를
안버리던 그이.
먼지로 닦아대면 뭘라고
청소를 쓸고 닦고 해.
흐흐..거미줄 치지말라고.
그러는 거지.
깔끔 유난떨며 쫓아다니며
다음 자리를 바로 정리
하는 그이를
아..저, 못된 성미를 나도
꼭 닮아서는..
그런데
나는 그이에 대면 아직 멀었다.

삶은..걸레..남루하고 쓰다 남는건
올 빠진 성근 쪼가리 먼지의 뭉치.

삶은 달걀 알맞다 싶을때 노른자위는
꼭 덜 익어 낭패를 보는..반숙 보다 더 한
비린 것..날 것이면 아직 더 뭘 해볼 여지
있을건데 이미 까버린 껍질에 뭉게진
너를 어쩌면 좋아..삶은 그런
숨겨진 비의..아무리 비결 알려줘도 그날
뭔가에 홀린듯 때때로 약올리는 부활절 달걀 같은것..

......주말은 어떠셨나요? 지나간 시에
안부를 물어요.저..유리병 편지의 그림.
제 중.고 은사님..저를 그림으로 한 시기 견디게 해주신 그런 분.^^

appletreeje 2015-01-07 22:54   좋아요 0 | URL
고맙습니다~^^
어느덧, 내일이면 또 주말을 향해 달려가네요!
그장소님께서도, 편안하고 즐거운 이번 주말 되시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