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곡류(別曲類)
-아그네스 발차*를 위하여
그대가 CD속에 들어가 부르는 노래는
고려적 <청산별곡>과도 같이
제가 맘속 깊이 사랑의 고통을 느끼게 합니다
그래요,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기다리고 희망하는 영혼의 큰 갈망'을
지금 그 노래를 듣는 저로 하여금 알게도 해줍니다
"기차는 왜 여덟 시에 떠났나요?"
지금도 그 노래를 듣고 있는 내 눈가에
그대의 옛모습이 꿈 그림자처럼 보일 듯 합니다
내가 떠나온 뒤 그대의 삶의 애처로움이
이젠, 죽어도 애처로움이 아니기를 빕니다
슬픔을 이기고, 그대여 울지 않기를 빕니다
그대 '기다리는 사랑'을 끝내 완수하고 완성하기를
나는 기원하고 기도합니다 (P.79 )
* <기차는 여덟시에 떠나네>를 부른 아이리쉬계 가수
-이정우 詩集, <마음의 길>-에서
다시 월요일이다.
그렇지만, 왠지 마음이 차분한 편안함으로 가만히
앉아 이정우시인의 시집,을 읽는 그런 월요일 아침.
아침에 문득, 여러 권의 책들을 마음에 두고 펼쳐보다가
이 책들을 드리고 싶은 분의 얼굴을 생각하고 이 책을
읽으시며 어떤 마음의 웃음이나, 혹은 저 마음 안쪽에서
저절로 피어나는 기쁨이나 즐거움을 느끼실 수 있을까,
조금 걱정도 해보며 이리 저리, 자꾸만 책들의 얼굴만 빤히
들여다 보았다.
오늘은 비님이 오신다 하니, 왠지 안심이 된다.
그런데 왜 오늘은 아침부터 이리도 고운 사람들의 얼굴이
눈에 선한가, 말이다.
멀리 있는 아름다운 사람도 그립고, 가까이 있는 친구도 그립고
지난 주, 사소한 틈새로 서먹해져 버린 너도 그립고, 신학교의 신부님도 그립고, 주말에
이사를 한 고운 벗도 그립고...요즘 건강이 안 좋아서 잘 안 보이시는 그 분들도 그립구나. 어제
저녁미사때 할아버지 신부님의 강론중, '겸손'이란 말의 한자는 '흙'에서 왔다는
겸손이란, 흙처럼 모든 것을 가만히 다 끌어안는 것이란 말씀이 떠오르는 시간, 마음의 길로
아그네스 발차의 '기차는 여덟 시에 떠나네'를 찾아 들어야 겠다. 비록 아침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