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투(花鬪)

 

 

 

 

                           하루종일 비온다

                           삼월 사꾸라 삼광으로 홍단 때리다

                           밖을 보면 비오고

                           비띠로 비광 때리며

                           밖을 보면 비가 오고

                           열끗짜리 팔월공산을 피로 때리며

                           밖을 보면 공산에 비가 온다.

                           비 온다.

                           처마 밑에 낙숫물 소리

                           영산가락 느린 삼채 중중모리

                           궁굴체 열채 휘모리로

                           당 다다다 따르르르 따,

                           눈 떴다 감았다.

                           하루종일 비 온다.

                           푸르딩딩 물오른 장독 뒤에

                           파랑새 앉은 이월 매조 꽃가지에

                           꽃 피겠다.

                           정 이월 지나

                           일월이 코앞이다.

                           따뜻하면 꽃도 기어나온다.

                           에라, 모르겠다. 뛰는 놈 때리라더라.

                           죽을 놈이 먼 짓을 못하겄냐.

                           쌀라면 싸라, 먼저 먹는 놈이 장땡이다.

                           포르릉 새 날겠다.  (P.24 )

 

 

 

 

 

 

 

 

                       키스를 원하지 않는 입술

 

 

 

 

 

 

                             내 입술은 식었다.

                             키스를 원하지 않는 입술,

                             내가 사라진 너의 텅빈 눈동자를

                             내 손등을 떠난 너의 손길을

                             다시 데려올 수 없다.

                             달 아래 누우면

                             너를 찾아 먼 길을 가는

                             발소리를 나는 들었다.

                             초저녁을 걷는 발소리를 따라

                             새벽까지

                             푸른 달빛 아래 개구리가 울고,

                             이슬 젖은 풀잎 위에서 작은 여치가 젖은 날개를 비비며

                          울어도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길이 있다.

                             미련 없는 사랑이 어디 있으랴. 그러나 마음은 떠났다.

                             봄이다.

                             봄이 온다.

                             새 풀잎이 돋아나기 전

                             따뜻한 양지쪽

                             마른 풀잎들이

                             일어날 수 없는 몸을 햇살 위에 누이고

                             노란 햇살로 얼굴을 덮을 때

                             아직도 어머니의 식은 젖꼭지를 물고 징징거리는 구차한

                          문학적 가난이,

                             자라다 만 시대적 응석이 나는 싫다.

                             이별을 모르니 사랑을 알리 없다.

                             보수(補修)와 수선(修繕)은 보수(保守)를 낳고

                             철없는 아집과 미숙은 타락한 수구가 된다.

                             시인의 꿈은 욕이다.

                             사랑이 떠난 불쌍한 어머니의 젖꼭지를 놓아라.

                             키스를 원하지 않는 너의 입술을,

                             내가 떠난 너의 눈동자를.

                             나는

                             이제 싫다. 네가, 뜻없는 네 슬픈 구도가 싫다.

                             새 풀잎이 돋아나기 전

                             나는 경남 거창 가조를 지나고 있다.

                             빈 논과 밭을 끌고 날아오르는 독수리 같은 가조읍 뒷산

                          아래

                             하늘을 보고

                             반듯하게 눕는 풀잎처럼

                             햇살을 품고 바스락 소리도 없이 말라 죽고 싶다.

                             바람이 나를 가져가리라

                             햇살이 나를 나누어 가리라

                             봄비가 나를 데리고 가리라

                             아니면 또 어떤가.

                             키스를 원하지 않는 입술,

                             돌아앉아버린 식은 사랑의 얼굴을 보았기에

                             나는 더 나아가지 않으련다.

                             오오, 사랑이여! 이제 나를 끌어안아다오.  (P.35 )

 

 

 

 

                                                  -김용택 詩集, <키스를 원하지 않는 입술>-에서

 

 

 

 

 

 

 

 

 

   화투(花鬪)를 못 친다.

   할매들도 신나게 치는 그 정다운 유희,를 못 노는 빙충이다.

   한때는 배워보려고 나름 학습을 한 적도 있었지만, 머리가 나빠서

   인지 처음에 각인이 안된 것은 끝까지 인식을 못하는 자폐적인

   성향때문인지 어쨌든, 화투는 내가 함께 놀지 못하는 애석한 동무.

   김용택 시인의 '화투(花鬪)'를 읽으며, 오늘 비도 오신다 하니

   그 어여쁜 꽃들의 전쟁을...중중모리 휘모리,로 신나게 즐길 작정이

   다.  화투를, 詩로 배웠습니다..

   김용택 시인의 이 <키스를 원하지 않는 입술>은, 여전히 변모의

   지속이다.  처음처럼 수줍다-는 시인의 말처럼.

   詩集의 題目이기도 한 '키스를 부르지 않는 입술'의 '너'는,

   내게 오늘 많은 意味로 다가온다.

                                           든든하고 아름다운 詩集 덕분에, 오늘도 또 좋은 날이로구나,

 

 

 

 

 

 

 

               어느날

 

 

 

 

               나는

               어느날이라는 말이 좋다.

 

 

               어느날 나는 태어났고

               어느날 당신도 만났으니까.

 

 

               그리고

               오늘도 어느날이니까.

 

 

               나의 시는

               어느날의 일이고

               어느날에 썼다.  (P.10 )

 

 

 

 

 

 

 

                유일한 계획

 

 

 

 

 

               이사를 가면

               개를 키우겠다.

 

 

               큰물이 나가면

               물가에 나란히 앉아

               물구경하다가

 

 

               아내가 마당에 서서

               밥 먹자고 부르면

 

 

               귀를 쫑긋 세우고

               나보다 먼저 일어서는

               개를 한마리 키우겠다.  (P.14 )

 

 

 

 

 

 

 

 

               낭만주의 시대

 

 

 

 

 

               외상으로 책을 샀다.

               책을 외상으로 사들고

               서점 문을 나서는

               나는 가난하였다.

               가난이 달았다.

 

 

               책을 외상으로 사들고

               서점 문을 나서서

               한시간 오십분 동안 완행버스를 타고

               책을 보다가

               차에서 내려 삼십분 동안

               밤길을 걸어 집으로 왔다.

 

 

               어떤날은 헌책을 샀다.

               지게로 한짐이었다.

 

 

               책을 짊어진 나는

               밤나락을 짊어진 농부처럼

               성큼성큼 들길을 걸어

               집으로 왔다.  (P. 26 )

 

 

 

 

 

 

 

                    울고 들어온 너에게

 

 

 

 

 

                     따뜻한 아랫목에 앉아 엉덩이 밑으로 두 손 넣고 엉덩이

                   를 들었다 놨다 되작거리다보면 손도 마음도 따뜻해진다.

                   그러면 나는 꽝꽝 언 들을 헤매다 들어온 네 얼굴을 두 손

                   으로 감싼다.  (P.42 )

 

 

 

 

 

 

 

                     쉬는 날

 

 

 

 

 

                      사느라고 애들 쓴다.

 

 

                      오늘은 시도 읽지 말고 모두 그냥 쉬어라.

 

 

                      맑은 하늘가에 서서

 

 

                      시드는 햇볕이나 발로 톡톡 차며 놀아라.  (P.60 )

 

 

 

 

 

 

 

                       처음

 

 

 

 

                        새 길 없다.

                        생각해보면

                        어제도 갔던 길이다.

                        다만,

                        이 생각이 처음이다.

                        말하자면,

                        피해가던 진실을

                        만났을 뿐이다.  (P.72 )

 

 

 

 

 

 

 

                        포의(布衣)

 

 

 

 

 

                         바람 같은 것들이 사립문 근처에다가 마른 감잎이나 끌

                      어다 놓고

                         인사도 없이 간다.

                        마당에 떨어져 얽힌 감나무 실가지 그림자들을

                        풀어주고

                        내 방에

                        반듯하게 앉아

                        시를 쓰다.  (P.74 )

 

 

 

 

 

 

                         산문(散文)

 

 

 

 

 

                            닭들이 장태로 들어가면 나는 닭을 세고 장태 문울 닫

                         았다.

                            우리들은 마당을 쓸어놓고 아버지가 돌아오실 때까지

                         놀았다.

                            아버지는 지게 위에서 칡잎에 싼 산딸기를 뜰방에 내려

                         놓으며

                            땀에 젖은 소매로 얼굴을 닦았다.

                            아버지를 본 소가 여물을 먹다가 고개를 크게 흔들었다.

                            강에서는 물고기들이 개밥바라기별을 향해 별빛 속으로

                            뛰어들고

                            우리들은 마루에 둘러앉아

                            밥을 먹었다.

                            어떤 날은 거지가 우리 밥상에 앉아 같이 밥을 먹었다.  (P.75 )

 

 

 

 

 

 

 

 

                              나무

 

 

 

 

 

                             나는 창을

                             등지고 앉아

                             책을 보고

                             글을 쓴다.

                             책을 보다가,

                             글을 쓰다가.

                             문득 뒤돌아보면

                             날이 밝아 있다.

                             나무들이 서 있다.  (P.77 )

 

 

 

 

 

 

                              -김용택 詩集, <울고 들어온 너에게>-에서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13-05-09 14:17   좋아요 0 | URL
화투(花鬪)시가 너무 재밌습니다~!!ㅎㅎ
읽으면서 웃었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appletreeje 2013-05-09 19:25   좋아요 0 | URL
저도 읽으며 웃었어요.~^^
화투의 오묘함을 詩로 확실히, 만났습니다. ㅎㅎ
후애님께서는 화투를 치실 줄 아시나요~?
옆지기님이랑 한 판 치시면..ㅋㅋ
후애님! 좋은 밤 되세요.~^^

후애(厚愛) 2013-05-11 19:05   좋아요 0 | URL
저 화투 고수에요. 낄낄낄 ㅋㅋㅋㅋ
어릴 적에 할머니랑 치다가 초등학교 6학년 때는 고모랑 쳤는데 고모돈을 다 따 버렸어요.
집에 갈 차비가 없어서 저한테 빌려 가셨지요.ㅎㅎ
고모가 할머니한테 엄마는 손녀한테 화투를 어떻게 가르쳤어? 그랬답니다.^^

appletreeje 2013-05-12 07:39   좋아요 0 | URL
엄마는 손녀한테 화투를 어떻게 가르쳤어? ㅎㅎㅎ
오우~후애님께서는 화투고수였군요.! 부러워요~^^

보슬비 2013-05-09 17:22   좋아요 0 | URL
전 시어머니께 화투 배웠어요.
그리고 엄마랑 화투치다가 어느지역 룰이냐고 엄청 욕 먹어서, 울 시어머니께서 가르쳐주셨는데..하고 엄마랑 투닥투닥했었지요. ㅋㅋ

원래 부모님들과 화투하면 약간 용돈드리는 심정으로 하는데, 제가 눈치 없이 열심히 제 용돈을 만드니라...ㅋㅋ 동생에게도 욕 엄청 먹었어요. 뭐, 막판에는 제돈이 다 나갔지만... ㅎㅎ

appletreeje 2013-05-09 19:26   좋아요 0 | URL
ㅎㅎ 넘 부럽습니당.!! 시어머니께 화투를 배우시다니~^^
글구, 어머니께서 어느지역 룰이냐고..? ㅋㅋㅋ
정말 시어머님과도 친정 어머님과도 정겹고 예쁜 며느리, 따님이세요.~^^
흐흐..어른들과의 화투는, 져드리는 게 룰이라고 알고 있습니다.~ㅎㅎ
시인의 詩, 덕분에 비오는 날 한바탕 즐거운 이야기가 꽃피네요.^^
보슬비님! 좋은 밤 되시구요.~*^^*

이진 2013-05-10 14:43   좋아요 0 | URL
할머니를 따라다니다보니 어느새 화투 인생 14년 차 접어들고 있습니다. 어제도 쳤고, 그제도 쳤고, 그끄제도 쳤어요. 사실 평소에 화투 칠 일이 없는데 친구네 부모님이 어디 가셔서 사흘밤을 제 집에서 묵고 갔거든요. 총 예닐곱 시간 신나게 논 거 같네요.

꽃들의 전쟁. 오늘 화투의 의미를 새롭게 새기고 가요. 꽃들의 전쟁. 아 예쁘다. 꽃들의 전쟁이었다니. 그런데 그것보다는 김용택 시인의 시집 제목이 더 끌리는 걸요. 저는 김용택 시인의 손가락에서 '키스' 라는 단어가 나올 줄이라곤... 생각도 못했어요. 제가 많이 읽지 않은 까닭일까요. 희희

appletreeje 2013-05-10 19:50   좋아요 0 | URL
화투 인생 14년 차, 어제도 쳤고, 그제도 쳤고, 그끄제도 쳤어...ㅋㅋ,
정말로 깊이 인사를 드립니다..못 치는 사람의 입장에서요..ㅎㅎㅎ
시인의 손가락에서 나온 키스,는 너무 깊은 키스라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소이진님! 굿밤,

프레이야 2013-05-11 15:58   좋아요 0 | URL
ㅎㅎ화투, 재미난 시네요. 전 시집 식구들과 고스톱 처음 배웠어요. 친정엄마는못하셔요. 옛날 육백인가 하는 그거만 알기만 하시구요. 명절이면 음식 해놓고 시동생과 시엄니랑 치는데 용돈벌이쬐끔ㅎㅎ 김용택의 지속적인 변모, 좋아보여요. 행복한주말 보내세요^^

appletreeje 2013-05-12 07:44   좋아요 0 | URL
보슬비님께서도 시어머니께 화투를 배우셨다 하셨는데,
명절날 음식 해놓고 시어머니랑 시동생과 화투 치는 며느리, 정겨워 보여요. ^^
이상하게 저희는 친정도 시댁도 화투를 치는 걸 못 봤어요..^^;;;
프레이야님! 좋은 주말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