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애들이 느긋하게 널부러져 자는 모습을 보면, 고양이의 평균 수면 시간이 하루 열여섯 시간이라는데 바깥 아이들은 한시인들 어디서  편히 잠을 잘까 생각하게 된다.

 우리 애들이 신나게 장난치는 걸 보면, 다 큰 고양이도 얼마나 장난을 좋아하는데 바깥 아이들은 아기때부터 늘 긴장 속에 살고 있구나 생각하게 된다.

 우리 애들을 행복하게 지내게 하고 싶으면서 그때마다 바깥 아이들의 불행이 떠올라 가슴을 찌른다.

 동물은 원래 바깥에서 제 힘으로 사는 거라고, 그렇게 살다가 힘이 부치면 죽게 내버려두는 게 순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럴지도 모른다고 나도 생각했는데, <고양이 탐구생활>이란 책을 보고 그렇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현재의 개와 고양이는 인간이 제 필요에 의해 인간에 의탁해서나 생명을 유지하도록 개량했기 때문에 인간이 책임져야 한다는 것. 인류는 길들였던 동물들에게 빚이 있다. 극소수 사람이 그 큰 빚을 갚자니 캣맘들이 거의 도산 지경일 밖에.

 집 애들 사료는 꽤 비싼 걸 먹이면서 바깥 아이들에게는 아주 싼 걸 먹이고 있다. 두 가격을 합해서 머릿수 대로 나눠 맞춘 사료를 양쪽에 제공하는 게 공평하겠지만, 바깥 아이수가 너무 많으니 그 애들이 얻을 것은 아주 적고 집 애들이 잃을 것은 아주 많다는 계산으로 나를 변호한다. 바깥에 사는 애들은 추위 등 아주 열악한 환경에 있으니 더 잘 먹여야한다 생각하고 그를 실행하는 이들이 있는데 존경스럽다. 그들은 진짜 휴머니스트다. 자기 친자식들보다 원아들을 더 챙기는 고아원 원장 같은 분들이다.

 바깥고양이들한테 싸구려 사료를 먹이는 고뇌를 토로하자 한 친구가 위로의 말을 했다.

 "걔들은 그 대신 자유를 누리잖아."

 "우리 애들은 (나랑) 평등을 누리고."

 자유라....글쎄...그러기라도 했으면 좋겠다. 바깥도 바깥 나름이지. 고양이한테는 죽을 자유밖에 없는 대한민국!

 밥과 잠자리와 화장실만 확보되면 고양이들은 더 원하는게 없다고 한다. 고양이들이 쏘다니는 건 그 세가지를 구하기 위해서지 자유를 구가하는 게 아니란다. 그러니까 좁은 원룸에서 키워지는 고양이를 가련해할 이유가 없다. 거기서도 고양이는 충분히 자유롭다.

 오늘의 깨달음. 진정한 자유는 진정한 평등에서 온다. (P. 96~99 )

 

 

 

 

 불출산

 

 

 

 고양이친구들을 집에 초대했다. 저마다 자기 고양이 자랑에 정신이 없다. 평소 과묵한 번역가 권경희도 고양이얘기만 나오면 수다스러워진다. 그 집 고양이 네 마리는 세상에서 제일 똑똑한 고양이, 세상에서 제일 예쁜 고양이, 세상에서 제일 웃기는 고양이, 세상에서 제일 착한 고양이가 된다. 뭐 아무도 귀담아 듣지 않는다. 고양이친구들이 남의 고양이 얘기를 경청하는 건 아픈 고양이 경우 뿐이다. 뭐 그때도 어느샌가 자기 고양이 아팠을 때 얘기로 빠지지만. 아픈 것도 자랑, 멍청한 것도 자랑. 자랑, 자랑, 자랑.

 고양이 자랑을 우리끼리는 '불출산(어원은 팔불출)에 오른다'고 말한다. 저마다 불출산에 등장해 제 고양이 예쁘다고 야호! 소리를 지를 때, 아무 소리 않고 듣던 소설가 김숨이 특유의 나직하고 순정한 목소리로 짐짓 풀 죽은 척 한마디 했다.

 "우리 '장자'만 인물이 빠지나 봐요."

 킬킬 웃었지만 살짝 미안하고 새삼 김숨 부부에게 고맙다. 장자는 덩치 커다랗고, 내가 보기에도 얼굴이 좀 빠지는 검정 얼룩 젖소 고양이다. 한파 몰아칠 때 우리 동네에 나타난 애를 김숨네서 받아줬다. 김숨 부부로서는 생애 첫 고양이인데 예쁜 새끼고양이였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어쨌든 다 장자의 복이다. 김숨네는 조막만한 요크셔테리아 한 쌍, '포그'와 '포아('포그의 아내'라는 뜻이란다)'가 있다. 포그와 포아가 장자를 무서워한다니 더 미안하다. 사람한테는 유순하기 짝이 없는 장자인데 자꾸 포그와 포아 따귀를 때린단다. 야, 인마, 굴러온 돌이 그러면 못쓰지! 그래도 고양이와 개가 함께 사는 집에서 고양이 기가 센 게 낫다. 아내가 남편보다 목소리 큰 집이 그 반대 경우보다 화평한 거와 같은 이치다. (P.184~185 )

 

 

                                                                        -황인숙, <우다다, 삼냥이>-에서

 

 

 

 

 

 

                           그 참 견고한 외계

 

 

 

                                         새끼 고양이가 움직이네

                               송사리처럼 매끄럽게

                               송사리처럼 소리없이

                               멈출 때도 송사리처럼 멈추네

 

                               접어서 벽에 기대 놓은 빨래건조대를

                               송사리처럼 오르내리네

                               노란 빨래집게를 재빨리

                               물었다 뱉었다 희롱하네

                               어디서 왔니, 새끼고양이?

 

                               새끼고양이, 아무 소리도 못 들은 듯

                               내가 흘깃도 보이지 않는 듯

                               그러나 손을 뻗자

                               송사리처럼 재빨리 달아나네

                               물 속의 송사리처럼 새끼 고양이

                               아무것과도 섞이지 않네   (P.19 )

 

 

 

 

 

                                            -황인숙 詩集, <리스본行 야간열차>-에서

 

 

 

 

 

 황인숙 작가새로운 고양이 산문집, <우다다, 삼냥이>를 읽었다.

 어제는 가까운 사람들에게 아픈 일들이 많아서 침울했고, 저녁모임에서도 그 여파로 술을 많이 마셔서인지 몸도 마음도 오늘까지 힘들었다. 그래서 좀 즐거운 책으로 회복을 하고자 펼쳐 읽은 책이다.

 황인숙 작가는 신뢰하고 애정하는 작가이고 이번에 나온 신간, '우다다, 삼냥이'라는 제목만 보아도 우다다, 할 것 같아서.

 2010년에 나온 산문집, <해방촌 고양이>. 그리고 2011년에 나온 장편소설 <도둑괭이 공주> 이후, 세 번째로 나온 고양이를 주제로 한 산문집이다.

 그런데 이 책은 황인숙 작가의 밝고 쾌활한 고양이사랑의 비중만큼, 무겁기도 한 책이었다.

 이 책에선 고양이와,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들과 고양이를 싫어하는 사람들, 그리고 이 나라에서 고양이가 살아가는 이야기들이 가감없이 따뜻하게도 아프게도 그려져 있다.

 작가가 옥탑집에서 애지중지 키우는 란아, 보꼬, 명랑이라는 세 고양이와, 캣맘이 되어 사람들의 차가운 눈길을 피해 길고양이들의 밥을 챙겨주며 만나고 느낀 이야기다. 

 나도 아주 늙은 고양이 로미와 도도를 키우지만, 내 고양이말고도 길고양이들을 만나며 느끼는 안스럽고도 안타까운 이야기가 많아 즐거우면서도 조금 무거운 마음으로 이 책을 읽었다.

 결국은, 이 우주에서 나라는 존재가 나 아닌 다르면서도 개별적인 삶을 사는 다른 존재들을 받아들이고, 사랑하고 함께 책임감을 갖고 공존해야 한다는 정직하고 따뜻한 시선의 책이다.

 염성순님의 그림으로 더욱 글의 질감이 와 닿았다.

 그래서 이 책에 대해 더욱 신뢰와 기쁨을 만났던 그런 봄날의 어느 하루,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3-27 20: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3-27 22: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13-03-28 00:42   좋아요 0 | URL
저희 집에는 마을고양이 여러 마리 얹혀서 살아요.
우리 집에는 밥찌꺼기 그닥 나오지 않는데에도
이럭저럭 붙어서 지낸답니다.
요새는 옆밭자락에서 뒹굴던데,
얼마나 조심성 없는지, 돌울타리 위를 걷다가
돌울타리를 우르르 넘어뜨리기도 합니다.

마을 어르신들 농약 참 많이 치는데에도
아직 잘 살아가요.

한국에서 고양이가 누리는 자유란,
한국에서 한국사람 스스로 누리는 자유하고 비슷하리라 느껴요.
평화롭지 못한 바깥이라면
고양이들도 바깥에서 살기 어렵겠지요.

appletreeje 2013-03-28 10:19   좋아요 0 | URL
'이럭저럭 붙어서 지낸답니다.'라는 말씀에 정겨워 웃음이 방긋 나와요. ^^
도시의 고양이들은 죄 지은 일도 없으면서..잔뜩 조심조심..ㅠ.ㅠ

수이 2013-03-28 09:10   좋아요 0 | URL
술자리에서 우연히 황인숙 시인과 마주친 적 있는데 직접 시인을 마주하고 나니 시가 훨씬 더 졍겹고 가깝게 다가오더라구요. 음, 그 자리에서도 계속 고양이 이야기만 하셨는데 ㅎㅎ 드디어 고양이 산문집도 내셨네요. :)

appletreeje 2013-03-28 10:20   좋아요 0 | URL
후욱, 술자리에서 황인숙 시인과. ㅎㅎㅎ
고양이책을 많이 읽는 편인데, 가장 공감되고 피부로 와닿은 책이었어요.
흐흑..우리나라의 냥이들은 너무 힘겨운 삶을 살고 있지요.
그래서 때론 일본이나 그리스가 부러울 때도 있어요.

2013-03-28 11:41   좋아요 0 | URL
맞아요 어린 왕자에도 나오는 말이지만 길들인 모든 것에는 책임이 있죠ㅠㅠ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어머니에게 선물해드려야겠어요 저희 어머니도 고양이 다섯마리를 키우는
위풍당당 캣맘이십니다^^

appletreeje 2013-03-28 17:09   좋아요 0 | URL
위풍당당 캣맘이신 멋진 어머님께서도 좋아하셨으면 참 좋겠어요~^^
단팥빵님! 좋은 저녁 되세요.!^^

보슬비 2013-04-01 10:24   좋아요 0 | URL
나무늘보님 고양이 키우시는 군요. 언제 사진 한번 올려주세요.
저는 강아지를 키우지만, 고양이도 키우고 싶어서 항상 고양이에게 눈길이 가요.
예전에 가끔 집에 놀러와서 다리 비벼주던 고양이도 귀여웠는데, 토토가 짖어서 도망가고 그랬어요. -.-;; 산책하고 집앞에서 문 열어달라고 기다리는 옆집 고양이도 보고 싶네요. 외국에서는 고양이 키우는 이웃이 더 많았는데, 한국에서는 고양이 키우는 분들일 잘 못 보네요.

appletreeje 2013-04-01 21:19   좋아요 0 | URL
늙어서 그런지 주로 잠만 자요. ^^;;;
그래도 늘 예뻐요.~^^

초보집사아줌마 2013-04-07 13:57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저도 이번에 캣맘을 알아 그분을 계속 지원해드릴 생각이예요.알면 알수록 캣맘들 너무 고생하세요... 화이팅

appletreeje 2013-04-07 15:02   좋아요 0 | URL
아유~정말 감사한 일이세요.
초보집사아줌마님! ㅎㅎ 같은 아줌마끼리 아줌마님이라 부르려니...
방문 감사드리며,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