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의 그 집

 

 

                   빗자루병에 걸린 대추나무 수십 그루가

                   어느날 일시에 죽어 자빠진 그 집

                   십오 년을 살았다

 

                   빈 창고같이 횡덩그레한 큰 집에

                   밤이 오면 소쩍새와 쑥꾹새가 울었고

                   연못의 맹꽁이는 목이 터져라 소리 지르던

                   이른 봄

                   그 집에서 나는 혼자 살았다

 

                   다행히 뜰은 넓어서

                   배추 심고 고추 심고 상추 심고 파 심고

                   고양이들과 함께

                   정붙이고 살았다

 

                   달빛이 스며드는 차거운 밤에는

                   이 세상 끝의 끝으로 온 것 같이

                   무섭기도 했지만

                   책상 하나 원고지, 펜 하나가

                   나를 지탱해 주었고

                   사마천을 생각하며 살았다

 

                   그 세월, 옛날의 그 집

                   나를 지켜 주는 것은

                   오로지 적막뿐이었다

                   그랬지 그랬었지

                   대문 밖에서는

                   늘

                   짐승들이 으르렁거렸다

                   늑대도 있었고 여우도 있었고

                   까치독사 하이에나도 있었지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리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P.15 )

 

 

 

                     이야기꾼

 

 

                   고담 마니아였던 나의 친 할머니는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구두쇠였지만

                   조웅전, 대봉전, 충렬전, 옥루몽, 숙영낭자전

                   웬만한 고담 책은

                   돈 아끼지 않고 사서 소장하고 있었다

                   글을 깨치지 못했던 할머니는

                   이따금

                   유식한 이웃의 곰보 아저씨 불러다 놓고

                   집안 식구들 모조리 방에 들라 하여

                   소위 낭독회를 열곤 했다

                   책 읽는 소리는 낭랑했고 물 흐르듯

                   듣는 사람들은 모두 숨을 죽인 채

                   그리하여 밤은 깊어만 갔다

 

                   내 어머니도 글 모르는 까막눈이었지만

                   고담 마니아였을 뿐만 아니라

                   책 내용을 줄줄 외는 녹음기였다

                   어느 여름날인가 지금도 생생한 기억

                   동네 사람들이 모여 물맞이하러 가던 날

                   점심은 물론이고 참외며 수박

                   기타 음식을 바리바리 장만하여

                   마메다쿠시를 여러 대 불러서 타고 떠났다

                   어머니는 택시비도 내지 않았고

                   아무 준비 없이 나만 데리고 동행했다

                   그러니까

                   이야기꾼으로 모셔 간 셈이다

 

                   구성진 입담에다가 비상한 암기력

                   그것이 어머니에게는

                   사교적 밑천이었던 것 같다

                   그러나 사람들과 어우러져도

                   노래 한 자리 할 줄 몰랐고

                   춤을 추며 신명 낼줄도 몰랐고

                   술은 입에 대지도 않았다

                   심지어 농담 한마디 못하는 숙맥이었다

                   아마 그러한 점을

                   조금은 내가 닮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P.83 )

 

                                  -박경리 유고시집,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에서

 

 

 

         춥고 서늘한 토요일 아침, 말(言)들의 群舞가 어지러워

         박경리 선생님께서 마지막 순간까지 펜을 놓지 않고

         남아있는 모든 기운을 사르면서  남기신 39편의 詩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를  읽는다.

         그다지 고치시지도 않고 물 흐르듯 써 내셨다는, 시들을 읽으니

         고요하다.  그러면 된 것이다.  고요한 토요일 아침,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01-26 12: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1-26 14: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진 2013-01-26 15:45   좋아요 0 | URL
제 女시반이 가장 좋아하는 시집입니다.
저는 조정래 작가가 쓴 에세이 비슷한 책에서 소설가가 시 쓰는 건 뭐랄까, 눈살이 찌푸려지는 행위이다, 하는 글을 읽은 후라 그런 선입견이 콕 박혀 있었는데, 친구는 크게 항의하더군요.
시반은 이 시집을 읽고 펑펑 울었다고 합디다. 저도 언젠가 읽어보고 싶은데, 트리제님께서 적어주신 시만으로도 눈시울이 촉촉해지네요.

appletreeje 2013-01-26 21:35   좋아요 0 | URL
선입견은 불편해요.^^ 그냥 아무 정보 없이 스스로 느끼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언젠가 기회가 되시면 읽어 보세요~~^^

프레이야 2013-01-26 16:12   좋아요 0 | URL
고요한 토요일 오후, 반가운 시집을 보네요.
제 책장에 꽂혀 있는 그것을 꺼내어 봅니다.
고마워요, 님.^^

appletreeje 2013-01-26 21:34   좋아요 0 | URL
토요일 밤이 되었네요.^^
저도 고맙습니다.
프레이야님, 좋은 밤 되세요.*^^*

보슬비 2013-01-27 12:23   좋아요 0 | URL
순간 '고담 마니아'를 읽을때 '배트맨의 고담시'가 떠오르는... 제 불순함을 탓했어요. -.-;;

appletreeje 2013-01-28 13:22   좋아요 0 | URL
ㅋㅋ, 저도 '고담마니아'란 귀절에서 살짝..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