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헌동의 부동산 대폭로, 누가 집값을 끌어올렸나 - 정권, 관료, 재벌에게 날리는 경고장
김헌동.안진이 지음 / 시대의창 / 2020년 11월
평점 :
부동산과 집값 문제 해결을 위한 토털 솔루션이라고 해도 될 정도의 내용을 시민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낸 책,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 정부의 토건 행보, 관료들의 자료 조작, 재벌의 건설 폭리 구조부터 시작해서 왜 단순히 종부세 올리자, 정도의 주장으로는 집값과 부동산을 잡을 수 없는지를 밝히고(종부세 부과 범위가 개인과 주택에 사실상 한정되어 있고, 공시가격도 비정상이라서다. 올해 정부가 종부세를 올렸다고 했지만 결국 부동산 전체 시세에 대한 세율은 0.2가 채 되지 않는다. 세금 부과 구조상 빠져버리는 고가의 토지가 너무 많아서다), 공시가격 정상화부터 원가 공개, 후분양(이 두 가지의 경우 자본주의의 상식이다. 흔한 이야기지만, 우리는 아파트 뼈대를 보지도 않고, 모형을 보고 사고 있다), 상한제 제도 도입, 청약 및 전월세 세입자 보호 정책, 그리고 무엇보다도 재벌 및 법인 등 진짜 부동산 부자(이자 투기왕)에 대한 정상 과세를 주장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기존 주택 거래와 신규 건설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런 걸 무시하고 신규 공급을 늘리자고 산을 깎고 땅을 파헤쳐 아파트를 짓는 건 오히려 집값을 더 상승시킨다. 2기 신도시-판교 등- 분양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문재인 정부의 가장 큰 잘못 중 하나가 주택임대사업자 혜택을 늘려 기존 주택 거래가 얼어붙게 만들어 버린 것(4년, 8년을 들고 있어야 세금이 전면 면제되고 80% 대출 혜택까지 주면서 사재기가 가능해졌고, 보유를 길게 할 수록 이득이 되게 만들었으므로) 등도 이야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목표하는 것은 정책적인 집값 하락을 통한(이 책에서 제시하는 자료들로 보면 한국 30평대 아파트의 적정 가격은 아무리 비싸게 잡아도 땅 포함해서 2억 5천만 원이다) 주거 안정화다. 법, 제도가 갖춰져 있기 때문에(이 책에서는 3대 권한이라고 부르는 토지수용권, 독점개발권, 용도변경권) 정권과 대통령이 뚝심을 가지고 관료들을 통제하면서 정책을 만들면 충분히 개혁이 가능하다고 책에서는 이야기한다(현 정부는 전혀 그런 의지가 없을 뿐더러 역대급 토건 건설 집값 부양 경제 정책을 쓰고 있다고 저자는 보고 있다. ‘촛불에 대한 배신‘이라는 것. 정부 고위직과 관료들은 심지어 자기 자산을 늘렸다).
집값은 재테크 기준으로 봐도 (주식과 달리) 아무나 참전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지 이미 오래다. 사실 기본권의 영역을 과도한 상업화 논리로 상품으로 만들면 대다수 보통 시민들은 박탈감과 소외감, 그리고 실질적인 피해(지금의 전월세 대란이 그러하다. 집값이 오르니 기본적으로 따라 오르지 않을 수 없다)를 본다. 그래서 부동산 문제는 시민 스스로가 알고 행동해야 할, 민생 안정의 중요한 영역이 아닐 수 없다.
대안이야 조금 다르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부동산 문제에 대해 다양한 팩트를 입체적으로 확인하고(이것만 제대로 해도 허황된 ‘공급확대‘론 또는 ‘공급부족‘론이나 ‘세금폭탄‘론이 얼마나 지엽적인 몇몇 사실을 조합해 만든 논리인지 알 수 있다) 진보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넓은 시야를 갖게 해주는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