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의 서평을 보내주세요.
-
-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지극히 개인적 일상사를 다루고 있어 독서로서의 감흥을 표현하기 불편할 정도로 흔한 이야기들이다.
누구나 첫 사랑의 기억을 더듬으면 시시콜콜한 사연이 쌓여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부모에 대한 이렇고 저런 후회와 사랑, 죄송스러움이 존재치 않은 사람도 없다.
자신에게는 소중하고 절절한 애틋함이 있는지 모르겠으나 새롭게 공감하거나 의미를 부여할 그 무엇도 발견하기 어렵고, 다만 자신의 사회생활에서 자기를 알리기 위한 수단 이상으로서 읽히기 어려운 신변(身邊)적 단상들로 모여진 잡 글 모음이다. 버려주어 고마움을 전해야 하는 유일한 한사람은 대상이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굳이 출생의 기억들이 잘못 들려지든 말든 작가 자신의 주변인들과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달해야 할 의무가 발생했는지 모를 일이나, 일반 독자들에게 무슨 의미를 전달하려 한 것인지? 단지, 알아 달라는 것인지? 사랑과 억지스럽게 연결고리를 찾아내야 할 어떤 것이 있는지? 처음부터 끝말에 이르기까지 자기연민만 무성하고 또 무성하다.
이 몇 글자 되지 않는 신변잡기적 이야기는 드라마의 작품성에 대한 이해에서도 세월의 변화가 사유의 성숙을 주었다고 시선의 전환을 합리화하는 자기애처럼 횡설수설, 사랑의 이해에서도 오락가락, 제아무리 생각이 닿는 대로 붓 가는 대로 쓰는 글이 수필이라지만, 정말 드라마 시나리오의 편의성 처럼 융통성 넘치는 사유의 천박함이 적나라하다.
사랑의 모습이 진정 무엇인지, 언급한 적도 없는 그 알 수 없는 모습에서 왜 유죄를 인정해야 하는지? PD와 인연, 몇몇 연예인들과의 친밀성에 대한 개별사적 이야기가 보편성을 획득할 것이라는 발상은 경박하다는 말 이외에는 할 언어가 마땅찮다. 이 책을 읽어내면서 우리사회의 눈높이를 이해하게 되었다면 그걸 수확이랄 수 있을 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