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생육기 책세상문고 세계문학 5
심복 지음, 권수전 옮김 / 책세상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시경(詩經)의 가장 첫머리에 사랑을 노래한 관저(關雎)를 두었듯이 심복(沈復)또한 사별한 아내와의 행복했던 추억을 맨 앞장에 두었다. 자전(自傳)문학으로 분류되는 이 작품은 애달픈 부부의 사랑 이야기를 근간으로 18세기 말 청조의 문화와 일상의 소소함, 그리고 중국대륙의 자연 정취,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삶의 즐거움을 펼치고 있다.

외사촌누이 운(芸)과의 사랑과 그리고 아내로 맞이한 이후의 이들 부부의 지극한 배려와 이해는 가슴이 뭉클해지고 눈시울이 붉어질 정도의 감동을 안겨준다. 심복은 자기부부를 후한시대 부부의 본으로 알려진‘양홍과 맹광’에 비유하면서, 금슬을 자랑한다.
아내 운이에게 멋진 풍광과 멋스런 구경을 시켜주려고 밖으로 이끌면, “손을 꼭 잡고 어디 가세요?”하고 묻는 그 사랑스런 모습을 기억한다. 그리곤 “세세무궁토록 부부가 되기를 원합니다(願生生世世爲夫婦)”라는 양각과 음각의 도장을 새겨서 서로 떨어져 편지를 띄울 때면, 이를 정표삼아 찍어 보내기도 한다. 시집을 갓 와서 시댁의 낯설음과 어려움에 말없는 아내 운이를 위해, “나는 그녀가 말을 하게 하려고 울지 않는 귀뚜라미를 갈대풀로 건드려 울게 할 때처럼 했더니 운이도 차츰 말을 하기 시작했다.”라는 구절에서, 사랑하는 이에 대한 그리움의 간절함을 읽는다.

아내 운은 시화(詩畵)를 할 줄 아는 여성으로, 심복과 서로 글을 논하고, 그림을 평하기도 하며. 산수(山水)를 같이 즐길 줄 아는 여성으로 묘사되고 있다. 작자는 이런 아내에 대한 의지가 깊었음을 내내 아쉬워한다. 더구나 침실을 아내의 이름 운(芸)이의 뜻을 풀어‘빈향각(賓香閣)’이라는 이름을 써 넣기도 하고, 친구들과 자연 속에서의 풍류를 즐기려 할 때, 재치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아내를 “규중의 여인들 중에 이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지금 세상에도 아마 찾기 어려울 것이다.”라고 까지 칭찬해대기도 한다.

이처럼 이 자전문은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 진운(陳芸)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이 閨房記樂(행복한 결혼생활), 閑情記趣(아름다운 멋을 찾아서), 坎坷記愁(나를 슬프게 하는 것들), 이렇게 전반부 3편을 중심으로 짙게 표현되고 있으며, 浪遊記快(내 숨결이 묻어나는 곳), 中山記歷(유구국을 다녀와서 ), 養生記道(건강하고 여유롭게 사는 법) 후반부 3편은 작자인 심복 자신의 외유기와 인생의 말년을 정리하는 삶의 경륜이 담겨져 있다.
그러나 이들 글 역시 아내 진운에 대한 상실의 상념이 곳곳에 묻어나고, 멋스런 산수와 드넓은 세상을 보여주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절절하게 흐른다.

코를 막을 정도의 고약한 냄새가 나는 음식으로 개로유부와 하로과가 등장하는데, 죽은 아내 운이가 즐겨하던 음식이었으나 작자는 싫어하였단다. 그러나 아내 운이의 지극한 권유로 코를 막고 씹어보는 모습에서 절로 사랑의 기쁨이 넘치는 광경이 그려진다.“처음에는 싫었는데 자꾸 먹다보니 좋아지게 되었소.”하는 심복이 그때 아내에게 하던 말과, “사랑하는 마음이 깊어지면, 비록 추녀라 할지라도 아름답게 보이는 법이지요.”하는 작자의 마음속 정감이 아내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커다란 것이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옛말에 금슬이 좋은 부부는 백년해로를 못 한다.”고 자기부부의 금슬을 시샘해 아내가 먼저 떠났음을 애처로워하고, 아내가 죽은 후 자신의 호를 매일(梅逸, 매화를 여의다)이라 지었다는 고백은 사랑의 그 심원함에 천박하기 짝이 없는 오늘의 사랑만을 아는 나를 부끄럽게 한다.
임종을 앞둔 아내가 작자에게 재혼을 말할 때, 심복은 다음과 같이 아내에게 시를 선사한다.

『이미 창해를 건넌 사람에게 보통 물은 물이라 하기 어렵고,
무산을 겪은 사람에게 보통 구름은 구름이 아니라네.』

그리움과 외로움, 상실로 인한 번민으로 삶의 지탱이 불가능 할 때, 그리고 세상에 대한 욕망으로 불편함을 멈추지 못하는 노년의 자신을 수양하는 마지막편인 養生記道(양생기도)는 오늘의 가치관과 환경에 비추어 다소 괴리되는 수련도 있으나, “마음의 멈춤과 휴식, 만족을 알고 한가할 수 있으면 이것이 바로 즐거움을 얻는 것”이라는 깨달음은 “마음이 쉴 수 있으면 눈은 저절로 감긴다.”는 손진인의 시구와 어울려 삶의 깊은 맛을 느끼게 해준다.

200여 년 전의 이야기이나, 이 작품은 18~19세기 자전문학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당 시대의 다양한 문화와 유적의 면모를 볼 수 있는 사적 가치, 그리고 당시로는 파격적이라 할 수 있는 사대부의 진솔한 개인사를 드러냈다는 측면에서 높은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도 하다.
작품의 모두에서 작자는 이 자전문(自傳文)을“먼지 낀 거울에서 투명함을 찾는 것처럼 훌륭한 문장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고 겸양을 보이지만, 오늘에도 그 문학적 향취는 사그라지지 않을 정도로 세월의 풍화에 견고하다. 사족 같지만,‘명예와 이익에 얽매이고’, 물질의 욕망에 마음을 멈추지 못하며, 사람의 관계에 대한 연민을 생각조차 갖지 못하는, 그래서 가치의 혼란과 정신의 황폐함에 내몰린 우리들에게 정말 때 묻지 않은 깊은 자연의 청명함을 주는 책이라 감히 추천하고자 한다.

註(주)* 부생(浮生):‘덧없는 인생’이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나, 아득한 추억(꿈)의 삶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