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을 먹다 - 제13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황하지 않은 그리고 자칫 진부할 수 있음을 참신(斬新)한 언어로, 또한 압축적 시간의 진행으로 세대의 공감을 형성 할 수 있는 속도감이 느껴지는, 그러나 알지 못하는 느릿한 흐름 속에 짙은 한과 안타까움이 파격적으로 뭉쳐진 사랑의 이야기이다.

작품의 시대적 배경이 조선 정조전후를 하고 있으나 독서시장의 시류를 형성하는 역사소설은 아니다. 대제학, 좌의정등 조선 사대부 최고 집안의 혈연으로 얽힌 중인, 평민을 아우르는 사회계층의 총합적 시선을 갖는 조명과 3세대에 이르는 시간의 흐름은 수천 쪽에 달하는 대하소설을 압축한 듯하다.

작품의 초반부는 심사평에서 누군가 고인이 된 작가 최명희의 ‘혼불’을 보는 듯하다 했으나 당해 작품의 망라된‘청암 부인’의 제례의식에서 보는 생경한 용어와 같이 예스러움과 민속학적 더듬이가 수반되는 긴장을 주긴 하지만 그렇듯 사전을 끼고 읽어야 할 정도는 아니며, 오히려 이야기의 양념처럼 여성의 섬세한 관찰력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한다 할 수 있다.

혹독하고 처절한 사랑이야기이지만 표현 어디에도 천박하거나 자극적 묘사를 사용하여 의미를 과장하고 있지 않다. 등장인물들의 서신인 듯 일기인 듯 각자의 단편적 이야기로 그녀와 그들의 관계를 하나하나 풀어가게 한다. 장안의 난봉꾼인 대제학의 아들, 그를 아비로 하는 딸 묘연의 증오와 연민이 섞인 통증으로 이야기는 시작된다. 순간 우리 여성작가들 작품의 한결같은 소재인 아비에 대한 아련한 비애감과 결핍의 증오가 반복 되듯이 다가와 읽기를 중단 할까하는 식상함의 충동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내 향이의 이야기, 여문의 이야기, 후인의 이야기, 설희의 이야기와 같이 낯선 인물들의 등장에서 이이는 누구의 이야기에 나왔던 자인데, 하며 더듬 수를 놓는 순간 작품에 푹 빠져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할아버지는 같으나 할머니가 다른 희우와 난이. 두 어린 야릇한 남매의 관계에서 그 끈질긴 인간 욕망의 절정을 보게 된다. 이를 근친상간(近親相姦)적 관계라 하는 것인가? 그래서 애닯다. 설희 어미와 묘연 아비에서 후평과 향이 어미, 향이와 여문, 희우와 난이에 이르는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사랑의 이야기가 낮은 시내 소리처럼 잔잔히 흘러내린다.

작가의 어휘 하나, 문장 하나를 놓치지 않는 치밀한 표현들은 스토리와 주제의식, 구성의 정교함을 뛰어넘어 읽는 이들에게 신선한 생동감과 우리 문학의 풍요로움에 자긍을 불러일으킬 정도이다. 작품 전면에 흐르는 비통함, 비릿함, 정말 치명적인, 그리고 쓸쓸한 저녁 노을아래의 움울한 사랑이 책을 손에 놓고서도 시리다. 작가 김진규의 처녀작에 송두리째 마음을 빼앗기고 말았다. 심사하는 마음이 아니어야 한다. 비평하는 마음이어서도 아니 된다. 모처럼 우리 문단에 걸출한 작가가 탄생한 듯하다. 갈채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