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림
하 진 지음, 김연수 옮김 / 시공사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오랜 주저거림 후에 얻은 연인과의 삶, 그리고 뒤안길에 세워진 아내, 긴 인생길을 걸어 궁극에는 오롯이 회한만 남겨지는 것일까? 걸어오면서 가졌던 많은 감정과 경험은 어떠한 의미도 없는 것일까? 작가의 수필같은 잔잔한 문체와 사실적 묘사는 이내 독자의 감성을 몰입시킨다.

중국의 문화대혁명기, 우리시대로 1960년에서 1970년대쯤으로 보면 될 것 같다. 부모님의 소망에 끝내 저항치 못하고 이루어진 전족을 한 전통적 시골 아낙을 아내로 맞이한 쿵린, 그는 군의관이다. 아내 수위와는 같이 살지 않는다. 그리곤 간호장교인 우만나와의 애틋한 인연이 시작되고 그녀와의 만남은 아내와의 이혼을 종용케 한다. 군법률에 따라 아내와 18년이상의 별거가 인정되면 이혼을 합법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매년 아내와의 이혼을 위해 고향법정에 아내와 서지만 아내는 법정에서 이혼에 동의 하지 않는다.

18년만에 얻은 이혼의 승인과 연인 만나와의 결혼이 이루어진다. 법제도와 도덕율등 사회규범에 순응하는 주인공 쿵린의 우유부단과 소극적인 심성은 연인 만나에게 커다란 형벌 이상이었으리라. 오랜 기다림끝에 만나는 사랑하는 남자 쿵린과 비로소 함께 할 수 있게 된다.

당시 중국의 이성 결합에 대한 사회적 제도와 그 시대 인간들의 관습이 안타깝고 낯설지만, 그러한 삶속에서 피어나는 연인들의 건조한 듯한 감성의 흐름은 친근하게 느껴진다.

아내 수위와 이혼하고 새로운 결혼이 시작되었을 때 만나는 이미 40대의 나이에 접어들었다. 수위와 쿵린 사이에 유일한 자식인 딸 쿵화도 18살 아가씨로 성장했다. 결혼할때까지 쿵린과 만나는 성적 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만나는 그런 중년의 남자를 기다렸다. 만나에게 돌을 던질 수 있을까? 쿵린에게 조강지처를 버렸다고 도덕적 비난의 화살을 돌릴 수 있을까? 그렇다면 아내 수위는? 새로운 결합으로 쿵린과 만나는 들뜬 결합의 시간을 갖는다. 만나의 집착적인 섹스는 그녀의 설움으로만 느껴진다. 애처로움과 그녀의 많은 날의 고통의 보상심리이리라.

그러나 쌍둥이가 태어나고 인생에서 가장으로서의 일상생활을 중년의 쿵린은 비로소 겪게되고 그 기다림 끝에 얻어진 그의 선택인 여자, 만나는 심장질환으로 오랜 삶을 계속 할 수 없게 된다. 일상에 지친 쿵린의 자기연민에 휩싸인 내면의 대화는 이기적이게만 비친다. 명절을 앞둔 어느날 옛아내 수위와 딸 화가 있는 기숙사로 찾아든다. 모처럼의 가정으로서의 평온을 느끼는 쿵린, 얼마남지 않은 마지막 생에 스스로 힘이라도 넣는 듯 큰소리로 명랑하게 외치는 만나의 목소리, 지치고 늙은 남편이 돌아오리라 기쁨에 겨워하는 수위의 생기가 마지막으로 교차한다. 이제 쿵린은 일상의 번민에서 삶의 기다림을 이해하는 걸까?

기다림은 누구의 기다림이었을까? 연인을 위한 만나의 기다림, 언제가 돌아오리라 믿는 수위의 기다림, 이혼이 목적이 되어 버렸던 쿵린의 이혼에 대한 기다림? 사랑을 얻기 위해 매마를 대로 말라버린 만나의 기다림과 그녀의 죽음으로의 이행은 한 여성의 삶에 깊은 연민을 가져다 준다. 지극히 중국적인 사건과 사상, 삶의 의식과 이해의 방법이 세련된 필치로 잔잔하게 펼쳐진다. 오랜만에 진지한 순수 문학작품과 같이했다는 느낌이 상쾌한 충만감을 그득 불어넣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