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상에 내려온 천상의 미 - 보살, 여신 그리고 비천의 세계 ㅣ 아시아의 미 (Asian beauty) 3
강희정 지음 / 서해문집 / 2015년 10월
평점 :
보살상 중에는 예쁜 상이 많다.
‘생긴 모양이 아름다워 눈으로 보기에 좋’은 것이 여성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닐 터.
그럼에도 어쨌든, 불교미술 속에는 여성성을 보이는 상이 많다.
그 정체와 유래를 톺아보는 것이 이 책의 주제이다.
본래 보살은 여성일 수 없다. 초기에는 오로지 남성의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그런데,
6세기 인도에서 어떤 이유에서인지 여성의 기운을 대변하는 여신 신앙이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여성의 에너지와 여성적 원리를 숭상하는 샥티즘이 생겨나 인도의 종교 조각에서 중성적인 성격이 강해졌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기에 측천무후나 양귀비의 사회적 성공?을 보면서 당시 많은 사람들이 딸을 낳는 것을 선호하게 되었고, 여성에 대한 가치 판단이 좋아지자 적극적으로 여성을 묘사하거나 모델로 삼아 ‘중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게 되었다고 본다.
앞 두 근거로 보살상의 중성적 아름다움을 설명한다.
이 책의 재미는 그 이후에 시작된다. 앞 내용이 2부에서 끝나는데, 3부부터 등장하는 정말 여성의 모습인 존재들을 소개한다.
인도 귀신의 하나인 약시에 불과했다가 모성의 여신이 된 하리티.
그가 중국으로 건너가 귀자모란 이름으로 의역되고 아들 낳기를 기원하는 마음과 관음이 합쳐져 아들 보내주는 관음인 송자관음이 된다.
여신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동남아의 반야바라밀
전쟁의 신이었다가 온화롭게도 변하는 두르가.
신인지 아닌지 요정인지 애매한 압사라. 그게 동북아로 건너가면 비천.
그 아름다움의 세계가 실로 대단하다.
역시 여성의 몸으로 형상화되는 타라보살을 언급하기는 했으나, 그 유래와 차이를 다른 존재와 비교하며 설명해주지 않은 것은 아쉽다.
그럼에도 이 책이 ’아시아의 미‘ 연작 중의 하나인 점에서 굉장히 기획에 부합하는 책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7/pimg_728790165431897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7/pimg_728790165431897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7/pimg_728790165431897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7/pimg_728790165431897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