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모리슨의 오셀로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의 밑줄에 이어, 결국 따라적게 되었던 문장들은

행진은 몸이 걷기를 통해 말하는 때이고, 사적 시민이 공중公衆이라는 저 신비로운 것으로 변하는 때이며, 도시의 거리를 가로지르는 것이 정치적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하나의 방법이 되는 때다. 그 행진은 9 · 11의 살육과 분열의 순간을 전세계적 일체감의 순간으로써, 함께 행진하는 낯선 사람들 간의 신뢰의 순간으로써, 무기와 비밀이 아니라 탁 트인 하늘 아래를 걷는 사람들에 의해 역사가 만들어지는 순간으로써 맞받아쳤다. - P149

대중은 마치 자신이 지닌, 폭력이 아니면서도 강력한 힘을 한껏 즐기고 있는 거대한 한마리 짐승이 된 것 같았다. - P150

역사는 공통된 꿈, 여론의 고조, 전환점, 분수령 등으로 이루어진다. 역사는 상응하는 원인과 결과보다 더 복잡한 것으로 이루어진 풍경이며, 그 평화운동도 부시보다 훨씬 더 멀리 오래전에 뿌리내린 원인에서 비롯됐다.
결과는 원인에 비례하지 않는다. 엄청난 원인이 때로 이렇다 할 결과를 낳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사소한 원인이 때로는 엄청난 결과를 낳기도 하기 때문이다.(…)
‘행동주의 운동은 예상 밖의 결과를 낼 수 있다‘는 법칙이 예상케 하다시피, 노예제 철폐 운동은 최초의 광범위한 여권운동을 촉발하기도 했는데, 여권운동은 노예제 철폐와 거의 같은 시간이 걸려 미국 여성의 투표권을 확보했으며, 뒤이은 84년간 훨씬 더 많은 것을 성취했고 단연코 아직 끝나지 않았다. 행동주의 운동은 익숙한 길모통이 가게로 가는 걸음이 아니라 미지의 것에 몸을 던지는 것이다. 미래는 언제나 어둠 속에 있다. -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다가 암울함은 선물과는 거리가 멀다. 그리고 개인적인 이유로 절망에 빠졌으면서도 그것을 정치적 분석의 결과로 투사하는 사람도 있다. … 그런 시절은 지금은 망가져버린 모든 것이 한때 온전했던 것으로 상상될 수 있는 자리다. 그건 자기성찰을 회피하는 방법이다.”


밑줄 더.


“그같은 언사는 대중을 진정시키고 무력화하며, 좀더 직접적인 폭정이 시민들을 겁주어 고립시키듯, 우리를 무력감의 함정에 빠져 고립된 채 가정에 매몰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 어떤 의미에서 그건 안전한 두려움이라 하겠는데, 왜냐하면 두려움의 진정한 원천을 인정하는 건 그 자체로 무서운 일이며 근본적 문제제기와 근본적 변화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 생각으로는, 이렇게 해서 거짓 희망과 거짓 두려움이 민주주의라는 짐승을 죽음으로 유인하기에 딱 적당한 당근과 채찍이 된다.”


“기쁨은 운동을 배반하는 것이 아니라 지탱해준다. 우리를 겁먹게 하고 소외시키고 고립시키려 드는 정치적 상황과 대면했을 때, 기쁨을 느끼는 것은 항쟁의 근사한 첫 행동이 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12-13 17: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12-13 22: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12-14 00: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포도 꿀꺽
현민경 지음 / 창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 재밌어!! 이 작가님의 다음 그림책은 어떨지 더더 기대하게 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4-12-12 13: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게다가 청포도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 샤인 머스캣 별로고요.
청포도 좋아하는 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유수 2024-12-12 14:17   좋아요 0 | URL
저도 캠벨 파인데 찾아보기 힘들어져서 샤인머스캣에 내적 대항중입니다.. 대항할 일 너무 잦아 힘들다.. 좋아하는 거 드시고 힘내는 하루 되세요 단발님!!

반유행열반인 2024-12-14 0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샤인머스켓만 반년째 아침 맨날 먹고 있어요... 가격 내린 덕에 주식됨ㅋㅋㅋ
 
아픈 몸을 살다
아서 프랭크 지음, 메이 옮김 / 봄날의책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으면 무엇보다도, 겸허해진다. 소멸과 죽음과 상실이 품고 있는 슬픔과 그것들이 이끄는 각성의 과정 때문만이 아니라 저자가 몸소 꺼내어 보인 자신과의 대면 덕분이다. 절묘하게 공명하는 표지그림을 계속 마주하며 나 또한 아주 아래로 내려가 묻어둔 기억 몇 가지도 들추어 볼 용기가 났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수 2024-11-28 22:0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질병의 가치가 병자 본인의 성찰과 의미 찾기에 머무르는 것임이 아님을, 우리가 “질병을 이겨내는” 서사, ”긍정적인 환자“의 이상의 함정에 빠지고 있음을 조목조목 부드러이 짚어내는 동시에 저자 자신이야말로 ”질병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이 놀랍다.

유수 2024-11-28 22:0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100자평은 정말 글자수를 세는 거였구나..

유수 2024-11-28 22:0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김효은 작가님 그림 정말 너무 좋고,. 이 책 읽게 된 계기인 메이님 번역 또한.. 원서 초판으로 30년도 더 된 책이던데 여러 모로 놀랍다.

단발머리 2024-12-12 13: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띄어쓰기 포함일 거에요. 맞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