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겨울 이불
안녕달 지음 / 창비 / 2023년 1월
평점 :
아이는 아랫목을 모른다. 책에서 말하는 이불 속 방바닥의 뜨끈함과 안락. 무엇보다 그걸 마련해 두고 기다리는 할머니집. 안타깝게도 그런 경험을 우리는 공유하지 못한다. 당연한 거지. 서로가 살아온, 살 시간대가 교차하고 갈라지는 것이 우리 관계의 특별함이니까. 그런데 영유아들을 키우다 보면 가끔 느끼는, 세대 차이라고만 설명하기엔 부족한 것들이 있다. 아이들 세대는 우리보다 더 많은 것을 누리면서도 한편으론 어떤 경험들은 영영 못해보고 살게 될까, 세상에 우연이 조금씩 없어지는 거 같아 아쉬워, 두려워, 엄마가 되기 전에 친구가 이야기했던 기억이 난다. 나 역시 고개를 주억거리며 같은 감정을 나눴는데 이제 와 보면 그런 상실감은 기실 아이들보다는 내 인생에서 멀어져버린 어떤 것들을 향한 건지도 모르겠다.
<겨울이불>은 학교에서 돌아온 듯한 아이가 눈 쌓인 마당을 가로지르며 시작한다. 빈 귤 껍질이 구석에 뒹구는 방에 들어가 겨울 이불을 들추면 전혀 다른 세상이 있다. 눈길을 홀로 걸어 집에 돌아왔던 바깥세상과는 온도도 빛깔도 다르다. 간식을 파는 매점은 흰 곰이 운영하고 여기저기 널부러져 잠든 동물들, 잠꼬대하다 배고파서 깬 다람쥐, 신나게 넌센스 퀴즈 내며 깔깔대는 친구들이 있다. 수건은 대중소 크기별로, 밥공기는 언제 먹어도 뜨끈할 수 있도록 뚜껑 덮여 이불 속에서 데워진다. 모두가 제모습으로, 저마다의 방식으로 몸을 녹인다. 간식을 배불리 먹고 할머니 무릎을 베고 누워 학교에서 있었던 일이라도 얘기할라 치면 살살 머리를 쓸어내리는 손길에 까무룩 잠들어버리고 마는 장판 위의 세상.
소리 내어 책을 읽어주면서 속으론 내 할머니가 보고 싶어서 마음이 저릿했다. 읽을 때마다 나는 그럴 것이다. 아이에게는 구운 계란과 식혜를 몇날며칠 만들어 줘야했다. 각자 다른 이유로, 함께, 몸이 뭉근히 데워지는 경험이었고 이제 어떤 아쉬움은 내려놓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