샬럿 퍼킨스 길먼 <누런 벽지>, 에이드리안 리치, 영화 <벌새> 등 인용하면서 수시로 깨워주는 이 책 다 같이 읽어주셨으면.
![](https://image.aladin.co.kr/product/30647/80/cover150/k622830428_1.jpg)
죽은 아기가 그 마을 어떤 성씨의 조상이며, 살았다면 큰 인물이 되었을 거라고 맺기도 한다. 흔히 "비범한 능력에도 불구하고신분적 제약 때문에 좌절과 죽음을 맞게 되는 민중 영웅담"이며, "자신들의 영웅을 수용하지 못한 민중의 통렬한 자기반성이 주제" <한국민속문학사전>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민중이나 영웅과 같이 웅장한 담론으로는 이 작은몸의 안타까운 죽음을 담아 내기 어렵다. 말이 좋아 ‘아기장수‘지, - P92
는 "아기가 바람벽을 기어오르고 천장에 올라가 붙었다."는 진술은 고립무원에 빠진 산모의 비명이다. 샬럿 퍼킨스 길먼의 <노란벽지>에서는 산후우울증으로 공황상태에 빠진 주인공이 벽지의무늬가 살아나 기어다니고 뒤집힌 눈깔들이 사방에서 자신을 노려다고 믿는다. 두 번째는 죽은 아기에 관한 것이다. 아기는 파리나 거미, 노래기처럼 천장에 올라가 붙어 있었다고 한다. 이런 벌레들은 장군감으로 비유되기는커녕 징그럽고 더럽게 여기는 미물들이다. 죽음을 부른 아기의 ‘비범함‘은 기실 자식으로 받아들이지 못할 정도의장애거나 가부장 사회가 허락하지 않는 ‘더러운 핏줄‘을 달리 말한것일 수 있다. - P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