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락방의 미친 여자> 10장은 다시 읽어도 재밌다. 다른 부분보다 쉽게 읽혀서 그렇게 느끼는 것 실토한다. ㅋㅋㅋㅋ

진짜 바이런은 로체스터가 아니라 제인 에어라는 점이 빅토리아 시대 평론가들을 화나게 한 이유라는 지적도 후련하고(600) 제인이 억압에 대처하는 방식은 자기 포기가 아니라 여전히 불처럼 반항하는 프로메테우스의 방식(615)이라는 규정 또한 “왜 페미니즘적 인식 이전부터 이 소설이 매력적이었을까”라는 개인적인 궁금증을 어느 정도 설명해주는 것 같다.
다만 마지막 결혼의 의미를 언급하는 부분에서 명쾌하게 머릿속이 정리되지 않았는데.. 저자들은 (펀딘 영지에서의) 결혼이라는 제인 에어의 선택은 ”제한되고 고립되어 있더라도 진정한 마음으로 결합“한 “길”(에밀리 디킨슨 재인용)이며 희망이라 평가하면서 브론테는 이후에는 이런 낙관주의를 벗는다고 분석한다. 653쪽

저자들은 버사를 어둡지만 진실된 자아, 제인 에어의 또 다른 화신이라고 힘주어 짚는데 제인 에어가 그런 버사가 죽고 나서 불구가 된 로체스터와 결혼하는 결말이 과연 “평등주의적 관계”를 그린 브론테의 낙관이라는 설명과 양립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든다. 제인 에어가 버사가 죽고 나서야, 사회적 위장이 벗겨진 로체스터와, 그것도 펀딘이라는 소외된 장소에서..결혼하는 것은 그 자체로 또다른 비극의 시작 같다고 하면 오바일까 ㅋㅋㅋ 본인의 기혼 상태에서 허덕이는 아줌마의 “으그.. 저거저거.. 내 동생(동생 없음)이면 도시락 싸들고 다니면서 말리지(남 잘 못 말림)..”류의 오지랖인가ㅋㅋㅋ

에이드리언 리치는 책의 다른 여성들(템플 선생님, 다이애나)처럼 제인에어의 결혼도 삶의 완성이지만 적어도 구별되는 점은 이 결혼이 “단순 해결책이나 하나의 목적이 아니라 급진적으로 이해된 형태, 여성이 자신을 창조해나가는 과정의 연장선으로서의 결혼”이라는 점이라고 말한다. 76쪽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

이거 읽고 나니 아, 나의 도시락 오지랖이 맞는 거 같다. 빅토리아 시대니, 집안의 천사니, 이런 말이 무색하게 지금도 “여성이 자신을 창조해나가는 과정의 연장선으로서의 결혼” 같은 것은 아득하지 싶은데. (제가 못한다는 거고 그렇게 하고 계시는 분들께 존경을..) 동일한 말로 결혼의 환상을 조장, 압박하는 세태는 여전하지만 말이다.

제인 에어를 다룬 리치의 비평, 부제는 어머니 없는 여성의 유혹이다. 읽어보면 고아 여성이 “들게” 되는 유혹인 셈인데 여기서 리치는 제인 에어를 설화로 정의하면서 그동안의 비평을 다시 구조화하고, 이 설화의 관심사가 “인간 행동으로 바꿀 수 있는 주어진 것의 영역과 인간의 통제 밖에 있는 운명적인 것의 영역 사이”에 있다고 말한다. 글에 따르면 제인 에어가 빠지는 세가지 유혹은 1. 피해자성의 유혹(숙모 리드 부인 저택) 2. 자기 혐오와 자기 희생이라는 유혹(로우드 학교) 3. 낭만적 사랑과 굴복이라는 유혹(손필드 저택)

리치가 마지막에 이르러 제인 에어의 결혼을 저렇게 높이 평가한 이유는 이 세 가지에 대한 대안이 소설 속에서 연결되면서 “가부장제 개념을 버리고 로체스터의 고난을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을 독자에게 제시한다는 것 때문인 듯하다. “이 여성에게 어떤 종류의 결혼이 가능한가”라는 리치의 질문은 결국 사회는 어떤 여성성을 수용하는지, 그 폭에서 사회가 얼마나 나아졌는지를 돌아보게 만들고 다시 나는 기분이 별로…ㅋㅋㅋㅋ

<다락방의 미친 여자>로 돌아가서.. 로체스터에 대한 평가 보고 섬뜩했다. “로체스터가 제인의 주인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가 주인이기 때문이라거나, 매너가 왕자답기 때문이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 그녀와 동등하기 때문에, 또 그녀의 미술과 영혼을 알아보는 유일한 비평가이기 때문에 제인은 로체스터에게 사랑을 느끼기 시작한다.” 책에서 말하듯 남성과의 독점적 인간 관계에서 헤녀가 빠지기 쉬운 함정이고, 얼마전에도 친구랑 나를 알아보는 사람과 사랑에 빠지지 않기가 어려웠던 어린 시절에 대해서 비슷한 얘기했던 게 떠올랐다. 그러면서 내가 당시에 의미있다고 생각했던 바보다 훨씬 더 가치있었고 힘있게 나를 떠받쳐준 사람들과의 관계, “두 사람 다 어떤 의미에서는 제인에게는 어머니다.”614 문장에서처럼 어머니같은(!!) 우정들을 생각했다.

앞으로 브론테의 다른 작품을 읽을 때 염두에 두려고 리치의 문장을 통째로 옮겨둔다. “샬럿 브론테는 인간관계란 꽤 다른 것을 요구한다고 생각한 게 틀림없다. 이 작가에게 인간관계란 ‘고통스러운 수치심이나 풀죽은 굴욕감을 느끼지 않는’ 사람들 사이의 거래, 그리고 누구도 타인에게 이용 가능한 대상이 되지 않는 거래를 말한다.”(75)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2-12-05 19:5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앗!! 유수님 글 너무 좋네요!
근데 저는 이런 결말이 651쪽의 문장에 답이 있다고 생각해요.

가부장제 억압이라는 문제에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그릴 수 없었던 브론테....

저는 브론테가 생각하는 제일 근사한 대답이 동등한 상태에서 재산권을 가진 개인으로서 제인과 로체스터의 결합,이었을거라 추측합니다. 낭만적 사랑의 결실.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의 결혼이 거의 불가능한 시대였으니까요. 다만 제인이 로체스터의 아내이자 간호사가 되어 갖은 돌봄노동으로 힘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은 사실이고요.

아.... 유수님 글이 많이 노출되었으면 좋겠네요. 저도 이제 막 읽었거든요. 앞으로도 우리 같이 읽어요!!

유수 2022-12-06 11:28   좋아요 1 | URL
저도 그래서 651을 읽었는데 책도 더 보고 브론테도 더 봐야 판단력이 생기려나 봐요. 지금 시대에 그릴 수 있는 해결책은 뭘지도 궁금해지고요. 댓글 넘 감사합니다. 단발님💜 불씨를 이어가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