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 가?
장 루이 푸르니에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내가 중학생때 학교 도서실에서 빌려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 향수 때문에 얼마전 대학교 도서관에서 빌리려던 책 근처에서 이 책을 발견하자마자 뽑아들었다.

내 ‘새대가리‘(ㅋㅋ)에는 게이 아빠가 자신의 아들에 대해 쓴 책이라고 저장되어있었는데 전혀 아니었고, 이 책은 장애인 아들을 둔 저자의 자전적 소설이었다. 대체 내 기억은 얼마나 왜곡된거야;;

어떤 이들의 슬픈 삶을 한없이 슬픈 눈으로만 들여다보아서 기어이 영영 슬픈 삶으로 만들어버리는것을 경계해야한다고 신형철평론가가 말했던거 같다.
작가인 장 루이 푸르니에 또한 ˝나는 눈물로 호소하며 동정을 사는 글을 쓰고 싶지 않았다˝ 라고 했는데 오, 정말 그랬다. 이 책은 웃겼다. 이를테면 길거리에서 장애아 모금을 하면 화자는 돈을 내지 않고 ˝장애아요? 이미 줄만큼 줬습니다.˝ 라고 말한다. 시니컬한 유머로 점칠된 책이었는데 그렇다고 결코 가볍게 다룬건 아니었다. 그런 저자의 표현 방식이 너무나 매력적이어서 나는 그만 울어버렸다. 그렇다면 장 루이 푸르니에는 성공한걸까 실패한걸까,

나는 장애에 대해 잘 모른다.
그러나 세상에는 장애에 대한 수많은 편견과 차별이 있고 그 수만큼 미화와 찬미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은 대부분 비장애인들이 만들어낸다.

으음.. 그리고 잘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입을 닫아야한다. 나는 그저.. 이렇게 간접경험해볼뿐이니까. 하지만 생명의 탄생은 언제나 경이롭고 아름다운것입니다! 아가들은 모두 방금 천국에서 내려와 모락모락 김이나는 천사들이지요. 그것이 장애아든 아니든 모두가 그래요. 같은 말들은 못하겠다. 어떤 아이의 탄생은 기적이지만, 다른 어떤 아이의 탄생은 정 반대일수도 있으니까. 다만 ‘그래도‘ 같은 형용사를 붙여 말할 기회를 주신다면 그래도 어쨌거나 누구의 삶이든 아름다운 순간은 존재한다고 말하겠다. 마튜와 토마도 좋아하는 감자튀김을 먹을때, 멋진 자동차를 타고 아빠 어디가? 를 수십번 반복하며 드라이브를 할때 일순간이라도 살아있다는 것의 아름다움을 느끼지않았을까. 이것도 결국 내 좋을대로의 생각일뿐이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새벽에 국수를 삶고 육수와 양념장, 김치까지 볶아 잔치국수를 해먹었다. 입속 한가득 국수를 채우고 또 채워도 끊임없이 들어가는건 경이로운 잔치의 기적인가 면요리의 속성인가? 세대접을 비우고 삶아놓은 국수가 한두가닥 남았다.

먹어도 먹어도 속이 헛헛해 후식까지 찾고 있는건 내 미친 먹성때문이 아니라 아무리 많이 가져도 사람들 속에 공허가 들어차게 만든 자본주의 탓이라치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읽던거 때려치고 또 새책 빌려오는 몹쓸,, 습관,, ㅜ
그치만 숙제처럼 남겨진 책들은 손대기 시른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살 한살 나이를 먹을 수록 독서능력이 쇠약해지는걸 체감한다.

내가 가장 활발하게 책을 읽었던 때는 초등학교 저학년 무렵인 거 같다. 차탈땐 꼭 책 한권씩 들고 타서 멀미를 호소하면서도 책장을 붙잡았고, 열두시 땡 치고 하교할때면 곧장 도서실로 달려가 학교가 문 닫을때까지 책읽는게 꼬마인생의 낙이었다. 게다가 지금의 편독증세 또한 없었는데 나는 4학년때 가장 좋아했던 책이 거미의 생태에 관한 책이었던 사람이다. 엄마 손잡고 백화점엘 가면 서점에 박혀엄마를 기다리는 것이 곧 천국이었던 효녀였는데..

그때는 어떻게 5-600페이지짜리의 책들을 하루새에 거뜬히 읽었는지 의뭉스럽다. 지금은 200페이지 남짓한 책들도 팔아프다는 핑계로 매일 조금씩 나눠읽거늘.. ㅠ 아마도 핸드폰이 내 인생에 큰 지분을 차지하기 시작했을 때부터였던거 같다. 책읽는게 힘겨워진 것은.. 이제는 의식적으로 책을 읽어야지, 생각하는데 무의식적으로 밥먹고 하릴없이 책을 보았던 예전으로 어떻게 돌아갈 수 있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7-02-20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십년 전에는 밤을 새면서 책 한 권 거뜬히 읽을 수 있었어요. 이제는 나이를 점점 먹을수록 새벽까지 밤 새는 일이 힘들어졌어요. 푹 자는 게 건강에 좋아서 잠 안 자고 책 읽으면 새벽 2시까지 읽어요.

너가말해줘야지 2017-02-20 15:31   좋아요 0 | URL
저는 시간날때마다 핸드폰 만지느라... ㅠ ㅠ 이북리더기를 살까 고민중입니다
 
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우.. 이건 정말.

요즈음의 한국 소설과는 판이하게 다른 느낌이다. 최근작들을 읽으면 뚜렷한 서사가 없이 허무와 공허가 이 세계를 대표하는 느낌인데(이런걸 두고 복잡한 현대사회를 반증하는 미니멀 문학이라고 하는건지^^,,) <고래> 는 아주 거대한 대하드라마로 서사의 서사의 서사, 끝없는 내러티브의 향연이다.

작가가 시나리오 작업도 하기 때문일까? 각각의 챕터를 영화로 찍어도 속편이 열두편은 더 나올 수 있을만큼 이야기가 아주 털게 많다. 게다가 흡입력 또한 장난 아니라서 첫장을 편 바로 그자리에서 마지막 장을 펼칠 때까지 궁둥이를 떼고 싶지 않다. 천명관은 정말 탁월한 이야기꾼이다. 만약 그가 조선시대에 태어났다면 틀림없이 저잣거리 제일가는 이야기꾼으로 이름을 날렸을 것이다. 할모니가 들려주는 전래동화 같은 이야기, 라는 사람도 많던데 사실 할머니는 이런 이야기를 들려주지 않는다 ㅎ..

여기엔 인간의 말초신경을 건드는 모든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섹스, 돈, 성공, 죽음, 욕망 다시 섹스. 사실 외람되지만(..) 이 책의 8할은 섹스........ 라고 생각한다. 뭐, 사실 인간의 사고와 표현의 가장 원초적인 토대는 성일지도 모른다.

말 끝마다 그것은 ~~~의 법칙이었다. 하는 표현이 참 맘에 든다!! 어찌 되었든 타고난 글재주를 가진 작가이다. 그치만 결말로 갈수록 읭스러움을 금치 못했는데 춘희가 점보 등타고 bye bye.. 지구..⭐ 하는건 뭐랄까 약간 일본만화스러웠다. 그동안 늘어놓은 이야기들에게 책임지는 결말이 아니었다.

여담으로 <고래>는 원래 <붉은 벽돌의 여왕>이었다는데 출판사에서 반대해 <붉게 구운 슬픔>이 될뻔 하다가 최종적으로 <고래>가 되었다고. 갠적으로는 셋다 별로다 ㅋㅋ 고래로 할거면서 표지 색깔은 왜때문에 벽돌색이지.. ㅎㅎ... 그러고보니 고등학교때 할아버지 영어선생님의 심부름으로 이 책을 빌려다 드렸던 기억이 난다. 그 선생님은 이 책을 읽고 어땠을까, 그 쌤이 이런 자극적인 책을 읽는 모습은 상상이 안간다.

전체적으로 매우 잼나게 읽었지만 몬가 영혼의 울림..⭐ 이런게 있는 책은 아니었다 ㅋㅋㅎ 영혼을 울리는 책을 찾다니.. 팔등에 소름이 끼칠정도로 촌스러운 나,, ㅜ 그치만 책 읽기 싫어!! 한국소설은 노잼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주저 않고 첫번째로 추천하고 싶은 책이 될거 같다. 이것은 추천의 법칙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2-15 08: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너가말해줘야지 2017-02-15 14:56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