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랑이 너를 붙잡지 못해도
서영은 지음 / 해냄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도서관에서 우연히 이 책을 발견했다. 대충 훑어보니 알라딘에서 서영은에 대한 기사를 본 기억이 났다. 30살도 더 많은 남자의 뭐가 그리 좋았냐고 물었더니 "우린 몸이 잘 맞았다" 라고 답했다던 그녀. 그냥 쌍년 라이프만으론 내 소중한 독서시간을 할애할 이유가 없지만 글이 확실히 요즘의 수필과는 다른 맛이 있어서 읽게 되었다. 소설가가 쓴 글이라서, 그리고 30년대 생이 쓴 글이라서 요즘 사람들과는 쓰는 단어도 다르고 자신의 생각을 형상화하는 방식도 다르다. 김동리가 서영은의 소설을 평할 때 수필적이라는 말을 했다는 데 거꾸로 그녀의 소설엔 어느정도 소설적인 면이 있다. 수필의 소재인 그녀의 삶 자체가 드라마틱하고, 또 소설가가 쓰는 수필이다 보니...


책은 여러장을 나눠 삶을 기록하고 있는데 그녀의 일상은 아무리 글을 잘 쓴다고 해봐야 그닥 끌릴 것 없는 내용들이었다. 할머니가 고양이를 예뻐하는 일상 같은 이야기 말이다. 결국 볼만한 건 그녀와 김동리의 이야기들. 그녀에게도 그런 듯, 김동리와의 일은 수십년도 더 전의 일인데 그녀가 느낀 감정이 생생하게 글로 전해진다. 남들이 보기엔 말도 안되고 기형적인 관계인데 그녀의 기술을 따르자면 그녀는 애초에 그런 삶을 살기 위해 준비된 사람이었다.


이 다음에 커서 바람둥이 깡패한테 시집가면 좋겠다. 
좀 더 일찍 태어나 기생이 되었더라면 좋을 텐데. 

스무 살이 되었을 때 사랑에 대해서 나는 참으로 위험한 환상을 품고 있었다. 

나는...나밖에 모르는 남자에겐 관심이 없다. 사랑을 나눈 대상들이 열 명쯤, 또는 그보다 더 많아도 좋다. 그런 남자에게 마지막으로 선택된 여자이고 싶다. 나의 사랑을 얻으려는 남자는 그런 모험을 해야 한다. 가정을 가졌든, 수도승이든, 아편에 미쳤든, 노름에 미쳤든, 사랑을 얻기 위해 그가 치르는 대가가 크면 클수록 좋은 것이다.


학교에서 직장에서 내 동년배 청년들이 보여주는 관심이 내 마음을 전혀 움직이지 못한 것은 그 때문이었다. 그들에겐 사랑을 위해 무릅써야 할 위험이 아무것도 없었다. 그냥 펼쳐져 있는 가슴속으로 뛰어드는 연인을 끌어안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사랑이 그렇게 쉬운 것일 리가...? 타넘을 담도 없고, 피해야 할 눈도 없고, 버려야 할 값진 것도 없고, 대적해야 할 적들도 없이, 어떻게 사랑이 이루어질 수 있을까. 

단지 가로막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이유만으로, 나는 내 나이의 꽃다움을 스스로 져버렸고, 동년배 남자들의 눈부신 젊음을 하찮게 여겼다. 


결국 나는 어린시절부터 자기 내면의 이 신비로운 넘침을 이미 감지하고 있었던 셈이다. 기생이 되고 싶다든가, 깡패한테 시집가겠든가 하는 철부지한 생각 속에 이미 파란 많은 운명의 불씨가 묻히어 있었던 것이다.


김동리에게 헤어지자고 했다가 얻어터진 이야기를 보면 정말 코피가 왈칵 내 입으로 흘러드는 것 같은 비릿함이 느껴진다. 그녀는 그 필력으로 얼마나 그를 절절히 사랑했는가를 말한다. 얻어 맞으면서도 그가 나를 이렇게나 사랑하는구나 느끼고 새삼 그를 더 사랑하게 되었다는 그녀. 이 정도쯤 되면 마누라 있는 남자를 탐하고 심지어 불륜사실을 속인 채 마누라 앞에서 태연히 조수로서 일을 거드는 삶도 운명적 쌍년질이란 이름으로 어느정도는 이해받을 수 있는 것일까. 부인과는 결혼생활을 지키고 자신과는 사랑을 지키는 김동리의 방식을 진심으로 존경한다는 그녀의 글은 진짜라서 읽는 내 가치관이 혼란스러울 지경이다.


뭐 자기팔자 자기가 산다는데 어쩌겠는가. 그런데 그 지난한 역사를 거쳐 결국은 김동리 사후 김동리 자식들과 재산분쟁에 휘말리고 혼자 낡은 아파트에서 고양이를 키우며 살게 된 그녀를 보면. 뭐 물론 그녀는 살고 싶은대로 살아 여한이 없겠지만 결국 최후의 승자는 김동리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스스로 첫째부인에게선 자식을 얻고, 둘째 부인에게선 재산을 얻고, 셋째 부인에게선 사랑을 받았다고 말했다는 그. 그 셋째부인이 바로 서영은이고 그녀는 수십년의 정부생활 끝에 70대의 김동리와 결혼하지만 겨우 3년을 살고 나머지 8년여는 병상의 김동리 병수발을 하며 지냈다 한다. 정말 징글징글한 소설보다 더한 인생사... 그냥 이 간략한 설명만으로도 넌덜머리가 난다. 그 이해가 하나도 안되는 누군가의 삶을 이 책을 통해 아주 아주 조금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이 수확이다. 예술가로 태어났단 이유로 많은 이들이 자신의 삶을 단지 예술 하나를 위해 던진다. 곤궁함을 참고 비굴함까지 참아내며 무언가를 만들어내기 위해 분투하는 예술가들처럼 그녀에게는 이 사랑이 하나의 예술이 아니었을까 싶다. 예술이고 종교이고 삶의 이유인 그런 사랑. 그래 그런 삶도 있겠지. 하지만 이 이후의 어떤 여자도 이런 삶을 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것이 나의 솔직한 바람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붉은돼지 2015-08-05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저 신문기사보고 조금 놀랬습니다. 머리 희끗한 여류소설가가 ˝우리는 몸이 잘 맞았어요˝라고 하는데는 인터뷰한 기자도 좀 당황한 듯 했구요...

그분의 삶에 대해 뭐라 가부를 왈왈거릴 수는 없지만, 엄연히 `본처`와 가정이 있는 남자의 말하자면 `첩`으로 20여년을 살고...때때로 주어터지고,,,,나중에는 병수발 몇년이나하고...김동리 사후에는 본처의 자식들과 재산 소송하고.... 님 말씀대로 징글징글합니다....

결론은 김동리가 나쁜 놈이에요...깔끔하지가 못했습니다.

LAYLA 2015-08-05 13:20   좋아요 0 | URL
어느 기자는 그걸 `에너지가 강했어요`란 말로 써놨더군요. 자체 순화를 한 거 같은데 그게 또 자체 순화를 할 말이 아니다 싶구요 ㅎㅎㅎ 둘 다 특이하고 세상의 사고방식으론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이기에 잘 맞았나 싶습니다. 또 잘 드러나진 않지만 둘의 관계를 인정(?)했다는 두번째 부인의 존재도 대단하구요.

글샘 2015-08-06 0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 왜 북플에 읽기싫어요는 없을까요
막장인 넘들이 정력만 쎄가지고 여러여자 울리죠
현모 양처는 이해가 가지만 깡패 기생 운운에는 참 나...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