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다독술이 답이다'며 확정적인 제목을 달고 있으니 자기개발서처럼 어떻게 하면 최단시간에 많은 텍스트를 효율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지, 기술1. 기술2 숫자 달아가며 설명해 줄 것 같은 책이지만 사실 인터뷰집이라 무척 편하게 술술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다독이 최고라고 목소리 높이지 않으며 뭘 해라 뭘 해라, 다그치지도 않는다. 다만 난 이렇게 책을 대해왔소, 편하게 이야기 해 준다.

책의 주인공 마쓰오카 세이고는 '독서의 신'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는 사람인데 1500일여 동안 하루에 한권씩 읽은 책을 포스팅하는 '센야센샤쓰'프로젝트를 진행중이고 소장중인 장서는 수만권이며 그 왕성한 독서력을 바탕으로 어떻게 인간이 이렇게 방대하고 광범위한 지식을 축적할 수 있는가?하는 의문을 자아내는 책도 여러권 출판했다고 한다. 그런 사람과의 인터뷰집이라니 어려운 책을 잔뜩 거론하며 알아듣기 힘든 얘기를 할 법도 하건만 이 책은 캐쥬얼하게 그냥 책을 소재로 삼아서 쉽게 '그에게 독서란 무엇인가', '그만의 독서법은 무엇인가' 등을 이야기 하고 있다. 책과의 첫만남으로 시작해 그의 독서편력기를 대충 훓은 후 그만의 다독술에 대한 인터뷰어의 질문이 이어진다. 이에 마쓰오카 세이고는 목차를 먼저 훓고 시작하는 차례 독서법, 책을 하나의 노트라고 여기고 자유롭게 독서와 함께 떠오르는 생각을 책에 정리하는 표시 독서법, 한 저자의 책을 여러권 읽어 봄으로서 저자의 글쓰기 모델을 찾는 독해력 단련법 등을 이야기하는데...........사실 다독이란 게 대가의 인터뷰 한 번 읽어본다고 될 일도 아니고 해서 기술적인 부분의 '유용함'에 대해서는 별로 흥미롭지 않았고, 나는 그저 한 마리의 평범한 독자로서 독서대가의 사고방식과 책을 대하는 태도를 보는 것이 그 자체로 즐거웠다 . 

 "다독과 소독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결국 그 본질은 다르지 않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소독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다독으로 발전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다독에 의해 소독의 의미가 더 깊어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독서란 원래 위험 요소를 동반합니다. 그것이 독서입니다. 따라서 책을 읽으면서 그 책이 자신을 응원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때로는 배신도 하고, 뒤통수를 때리기도 합니다. 부담을 지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것이 독서입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독서가 재미있는 것입니다."     

책을 읽어 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에 그렇취!그렇쿠나! 무릎을 치는 나를 발견. 그리고, 연애 많이 해 본 사람이 여느 경지에 다다르면 연애의 기술을 득도함과 동시에 연애란 행위의 시니컬한 속성을 깨치는 것처럼 것처럼 마쓰오카 세이고 역시 고수답게 '책의 저자들 역시 지가 뭘 쓰는지 모르면서 쓰는 경우가 많다. 못쓰는 걸 고치고 고치고 그걸 편집자가 또 고쳐서 겨우 나오는거다'식으로ㅋㅋㅋ 다독가만의 쿨함을 뿜어낸다. 그치만 중요한 건, 책의 후반부로 갈수록 깊어지고 넓어지는 독서에 대한 마쓰오카 세이고의 철학. 독서라는 행위가 이렇게 입체적으로 조망될 수 있는 것이구나 하는 깨달음. 배울 꺼리가 많은 책이긴 한데 굳이 분류하자면 그래도 자기개발서보다는 대가와의 인터뷰집으로 보고싶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 

*오타- 229p 스탕달의 '적과 흑' 이 '적과 흙'으로 표기되어 있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4-11 13: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4-11 21: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