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다 미리의 에세이집 중에 '아픈 구두는 이제 신지 않는다'라던가 하는 제목의 책이 있는데 내용은 하나도 마음에 차지 않았지만 제목만큼은 탁월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제목의 변형을 이제는 내 나름대로 삶에서 실천한다. '재미없는 책은 이제 완독하지 않는다' 오기라고 해야 할지, 마지막까지 읽어야 한 권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리란 무모한 기대로 웬만하면 시작한 이상 완독을 다 하곤 했는데 작가가 유명하고 아무리 잘 팔리는 책이라도 나랑 맞지 않다면...작가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기에는 내 시간이 너무 아깝단 생각이 들었다. 나이가 들며 내 시간이 점점 비싸지는 요인도 있겠지? 


올해는 봄에 처음으로 허무함이란 감정을 느꼈다. 늘, 가을과 겨울에 우울하고 봄과 여름에 신나서 사는 삶을 반복하였는데 무척이나 힘든 겨울을 지내고 물이 올라 터질것 같은 봄의 풍경을 바라보다 문득, 아 내가 아무리 잘 해보려고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아둥바둥 거려도 그런 나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는 사계절의 순환은 내 뜻과 관계없이 무심하게 일어날 뿐이고 그러니 그 모든게 허무하단 생각이 들었다. 나 살라고 봄이 오는게 아니다. 사람들이 봄에 자살을 많이 한다는게 이런 뜻인가? 이렇게 또 언젠가 내가 어떤 마음인지와는 관계없이 가을이 오고 겨울이 오겠지. 어제는 봄과 여름의 경계에서 완벽한 녹음과 햇살과 바람 사이로 걸으며 생각했다. 다음 생에는 누구의 자식으로도 태어나지 않게 해주세요. 그렇다면 뭐가 될 수 있을까. 물이나 풀, 운이 좋다면 구름이나 바람? 


나는 내가 늘 그대로인거 같지만, 그리고 가끔 화장도 안하고 옷도 제멋대로 입고 마스크 쓰고 사람들 만나다 보면 나를 제 나이보다 어리게 보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어쩔 수 없이 세월이 선사하는 위엄(이라고 쓰고 존나쎔이라고 읽는다)을 득하게 되었다는 걸 종종 깨닫게 된다. 한 달 전 쯤에 어느 음식점에 가서 결코 싸지 않은 가격의 화이트 와인을 주문했는데 서버가 와서는 "죄송한데 저희 제빙기가 고장나서 얼음이 없어서...." 제빙기도 없으면서 고객 앞에서 와인 오픈부터 한 저의는 무엇인가? 뭐 그 순간엔 나는 그건걸 생각하지도 않았다. 서버의 말이 끝나자 마자 똑바로 말했다. "얼음 주세요." 서버는 사장에게 설명하더니 밖으로 나가 편의점에서 얼음을 사왔다. 오늘은 용역업체에서 우리 업체를 담당하는 담당자가 바뀌어서 새 담당자에게 처음으로 전화를 했다. 아...전화에서부터 느껴지는 이 불길함. 나는 당장 해당 업체 홈페이지에 접속해 그 새 담당자의 이력을 확인하고 씨발이라고 소리내어서 욕했다. 무엇이 자기에게 이득이 될지 매 순간 재고 달고 머리 굴리며 살아온 사람의 인생이 이력의 형태로 그 곳에 고스란히 있었다. 내가 업무를 요청하자 답장이 왔다. '확인하고 이 주 안에 연락드리겠습니다.' 역시 씨발이었다. 나는 답장을 보냈다. '사무실 들어가시면 간단한 것부터 확인해서 보내주세요.' 이틀 기다리고 답장 없으며 바로 헤드에게 담당자 교체하라고 하려 했더니 5분도 되지 않아서 내가 요청한 자료가 튀어나왔다. 머리 굴리면서 열심히 사는 사람이니 행간의 빡침도 잘 읽어냈나 보다. 


그런건 가끔은 당연하게 느껴진다. 나도 나이가 들었으니 그 나이에 어울리는 적당한 모습인 것이 당연하지. 또 가끔은, 피곤하게 느껴진다. 이렇게 서로가 전투하며 살아야만 하는 인간세상이란 것이. 또 가끔은, 내 삶을 되돌아보게 된다. 무엇이 모이고 모여 이런 나를 만든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