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러건트 유니버스
브라이언 그린 지음, 박병철 옮김 / 승산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연 대중과학의 거두라 할만하다. 이 책이 번역되어 나온지 20년 가까이 됐음에도 여전히 얻어갈 아이디어가 많다. 무엇보다 난해하고 복잡한 물리학의 미시적 매커니즘을 대중의 언어로 풀어썼다는건 기적 같은 일이다.

저자는 오랫동안 끈이론을 연구한 학자다. 이 책 역시 그간 학계에서 논의되었던 끈이론을 중심골자로 하고 있다. 끈이론은 물질, 질량, 힘 등이 아주 짧고 진동하는 고리형 끈으로부터 비롯된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이 끈은 각각 다른 '장력'과 진동수를 갖고 있다.

읽다보면 끈이론에 너무 과한 기대를 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theory of everything, 즉 만물을 설명하는 '궁극의 원리'를 찾는데 끈이론을 능가하는 모델은 아직까지 없다.

앞으로 '중력자'를 발견할 수 있을까? 시공간을 넘어선 다른 차원의 영역을 실험적으로 탐구할 수 있을까? 이런 문제 앞에 과학은 아직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 그럼에도 과학이 여전히 매력적인건 이 모든 것에 열려있다는 점이다. 모든걸 신이 했다고 하면 아무것도 설명할게 없다. 그러나 인간은 설명하기 위해 끝없이 도전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초의 3분 - 우주의 기원에 관한 현대적 견해
스티븐 와인버그 지음, 신상진 옮김 / 양문 / 2005년 2월
평점 :
품절


현대우주론 교양서의 고전이다. 왜 미립자 연구가 이리도 거대한 우주를 설명하는데 중요한지 알려주는 책이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나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보다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럼에도 저자가 일반독자를 위해 얼마나 배려했는지 알 수 있다. 수식을 거의 쓰지않고 감각적인 표현을 주로 사용했다. 이런 방식으로 우주의 1/100초부터 3분(정확히는 3분 45초)까지 기술했다는게 놀랍다.

저자가 말하는 표준모델은 현재도 쓰이지만, 디테일면에서는 약간 변형이 있다. 또한, 저자가 책을 쓴 당시에 검출하지 못한 미립자들도 현재는 검출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감안해서 읽어야한다. 그럼에도 이 책을 제대로 소화한다면 큰 오류 없이 현대 우주론을 익히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퀀텀스토리 - 양자역학 100년 역사의 결정적 순간들 퀀텀 시리즈
짐 배것 지음, 박병철 옮김, 이강영 해제 / 반니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교양서 수준을 가뿐히 넘는다. 외면과는 달리 물리학부 이상은 공부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솔직히 말해, 나는 이 책을 완전히 소화하지는 못했다. 간신히 흐름만 따라갔다. 훗날 이 책을 다시 읽기 위해 좀더 공부해야겠다. 그럼에도 파인만이 말했던바 '양자역학을 완전히 이해한 사람은 없다'는 말에 위로를 얻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자 역학이란 무엇인가 - 원자부터 우주까지 밝히는 완전한 이론
마이클 워커 지음, 조진혁 옮김, 이강영 감수 / 처음북스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짐 배것의 '퀀텀스토리'가 교양서치곤 좀 하드하다면, 이 책은 확실히 교양서 수준에 맞춰져있다. 가능한한 수학을 덜 쓰고, 이야기로 이론을 풀어간다. 그러니 책 제목은 '양자(이)론이란 무엇인가'로 고치는게 낫겠다. 양자역학이란 양자세계를 '수학적'으로 정리하는 학문 분야만을 일컫기 때문이다.
책의 내용은 굉장히 좋다. 양자론에 기여한 과학자들의 간략한 개인사부터, 실생활에 응용하고 있는 양자론까지 포괄적으로 다뤘다. 책 내용을 뽑아먹는 재미가 있다.
양자론은 이제 과학자들의 공상적 가설이 아니다. 우리 실생활과 너무 가까이 맞닿아 있다. 고전 물리학으로 해결하지 못한 부분을 양자론이 풀어나갈 때마다 우리 삶의 방식은 급변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