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백년 가게
이인우 지음 / 꼼지락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여행사에서 주도하는 단체여행 외에 개별적인 배낭여행이나 유학 등의 이유로 해외에 거주하는 이들의 일상 블로그 등을 통해 도쿄나 교토 같은 일본의 유서 깊은 도시나 유럽의 오래된 도시에 숨어있는 듯 드러난 노포(老鋪)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이런 노포들을 볼 때마다 부러운 생각이 드는데이는 이들 노포들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니다오히려 시간의 풍파 속에서 숙성된해당 가게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가게들이 위치한 골목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기 때문이다다시 말해사람이 살지 않아 껍데기만 남은 유물이 아니라 살아 있는 문화재로서 해당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오래된 수도인 서울에도 그런 가게가 존재하지 않을까이 책에서 소개하는 가게들이 바로 그런 가게라고 할 수 있다.

 

가보지는 못했더라도 이름은 귀에 익어 친숙한 학림(學林다방은 그 이름을 사용한 지 100년도 안 되었지만스토리텔링이 살아있는 제법 오래된 가게에 속한다. 1956년 학림(鶴林)’이라는 이름으로 이 다방을 시작했던 신선희가 이민을 떠난 후경영난 속에 자주 주인이 바뀌는 혼란기를 거쳐 1987년 현재의 주인인 이충렬의 손에 들어가면서 노포의 품격을 유지하고 있는 가게다그래서인지 이 책에서도 가장 먼저 소개하고 있다. “동숭동 대학로 ‘학림다방’은 서울에서(어쩌면 한국에서가장 오래된 다방이다그 이름을 얻은 지 63년째다. 1975년까지는 주로 서울대생들의 ‘살롱’이었고, 1980년대에는 이른바 ‘학림사건’을 통해 “학생과 노동자들이 혁명을 모의한 장소”로 이름이 났다한때는 경영난 때문에 레스토랑으로 ‘전락’했다는 소리를 들었고송강호전인권 등 현재 유명해진 배우와 가수들이 평범한 손님마냥 드나들던 때도 있었다. 21세기에는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덕분에 중국인들까지 찾는 관광 코스가 되었고커피 맛이 좋아 바야흐로 ‘학림커피’라는 브랜드의 꿈까지 익어가는 중이다.” [p. 13]

 

노포하면 떠올리는 대를 이어 음식 장사를 하는 곳도 여기에 소개되어 있다. 1932 20대 초반의 새댁 홍기녀가 창업한 추탕집 ‘용금옥(湧金屋)’은 그녀의 사후 막내 며느리 한정자에게 이어졌다그리고 지금은 큰아들의 손자 신동민이 맡은 다동 용금옥과 한정자가 맡은 통인동 용금옥으로 갈라졌다각자의 사정은 있겠지만 이미 각자 다음 대로의 가업 승계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아래에 소개된 것처럼 한 시대의 대명사가 될 정도의 노포라면 그 자체로 소중히 유지해야 할 문화재가 아닐까?

지금은 절판된 <용금옥 시대>(이용상서울신문사, 1993)라는 책이 있다해방 후 김일성의 동생 김영주가 김일선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에서 귀국해 서울에서 추어탕 한 그릇을 먹고 서울역에서 기차로 평양에 간 이야기가 담겨 있다수주 변영로와 공초 오상순 등 당대 기인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기행 기담도 수두룩하다책을 쓴 중국 항일유격대 출신의 시인 이용상은 이렇게 적고 있다. “8.15 해방이 되고 양풍이 불어 닥치고 우리 고유의 송편보다는 초콜릿으로 입맛이 변해가던 시대에도 끝까지 추탕으로 버티고 있는 노포 용금옥은 그 자체가 우리의 저항처럼 보인다때문에 나는 해방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를 용금옥 시대라고 구분 지은 것이다.” 한 개인의 회고담이라지만 일개 음식점이 한 시대의 대명사로 당당히 명명된 것은 영광이 아닐 수 없다.” [p. 47]

 

의외의 노포도 존재한다바로 대장간이다풍속화 속에서나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사람의 손으로 쇠를 다루는 대장간이 지금 이 시대에그것도 서울에 떡 하니 자리 잡고 있다그런 대장간 가운데 역사성과 희소성을 평가 받아 서울 미래유산에 선정된 대장간만 해도 동광 대장간불광대장간형제 대장간동명 대장간 네 곳이나 된다이 책에서 소개한 곳은 그 중 하나로 천호사거리에 자리잡은 동명(東明대장간이다. 1956년 서울 동쪽에서 제일가는 대장간을 꿈꾸며 시작한 대장간은 벌써 3대째 이어가고 있다. 3대인 강단호가 건축회사를 다니다가 위암으로 고생하는 아버지를 보다 못해 가업을 잇기로 결심하지 않았다면 사라졌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짠한 느낌도 든다.

 

여기에 소개된 가게 가운데 개인적인 추억이 얽혀있는 곳도 있다대학 생활을 하면서 종종 약속 장소로 잡았던 신촌의 홍익문고’, 아버지와 몇 번 들렸던 안동국시 전문점 소호정’, 복학 전에 후배가 소개해 준 신촌의 사이폰 커피숍 ‘미네르바’ 등 별 생각 없이 들렸던 곳들이 백 년 이상 회자(膾炙)될 노포라니 왠지 기분이 묘하다.

 

무엇보다 이 책이 좋았던 것은 24곳의 가게를 각각 소개할 때마다 사진이 아니라 일러스트를 먼저 내세우고, 가게의 역사를 보여주는 가게의 과거 사진, 그리고 스토리를 잘 엮어 맛깔 나게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덕분에 나도 지금의 코로나 사태가 지나가고 여행의 자유가 주어진다면 이 책에 실린 곳들을 한 번 방문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