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각사 (무선) 웅진지식하우스 일문학선집 시리즈 3
미시마 유키오 지음, 허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황제 부활을 외치며 스스로 할복으로 생을 마감한 일본 극우주의자 미시마 유키오의 책을 몇 권 읽었다. 하지만 정작 탐미주의자로서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금각사>는 읽지 않고 미루고 있었다.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 중의 하나라고 하는데, 내게는 극우적인 마지막 행적 때문일까 왠지 선뜻 정이 가지 않는 그런 작가였다. 오래 동안 미루어 오던 작가의 책이었는데 이번에 웅직지식하우스에서 리커버링해서 새로 출간된 <금각사>에 도전하게 되었다.

 

초반을 읽자마자 <금각사>는 말더듬이였고 병약한 체질의 사나이였던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라는 것을 대번에 느낄 수가 있었다. 소설 속 화자 미조구치의 아버지는 마이즈루 마을의 대처승이었다. 한창 태평양전쟁 중이던 시절 학창시절을 보낸 그에게 아버지는 교토에 있는 금각에 대한 환상을 심어 주었다. 전화 속에 휩싸인 세상이 악이라면, 속세를 떠난 금각은 상대적으로 선이라는 의미일까. 해군기관학교에 다니는 선배가 미래에 중이 될 거라는 그에게 자신의 앞날(전쟁에서 죽음을 예상했던 것 같다)을 부탁하는 장면은 정말 오래 기억될 것 같다. 사람의 생과 사가 그렇게 가듯이.

 

미조구치에게 또다른 영향을 끼친 장면 하나는 마을에서 새침데기로 명성이 자자하던 우이코가 벌인 일대 사건이다. 미조구치는 우이코에게 망신을 당하는데, 그 후유증은 말더듬이라는 선천적 장애와 더불어 여성에 대한 일종의 트라우마로 작용한다. 그랬던 우이코가 탈영병과 사랑에 빠져 도피행각을 벌이다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는 장면에 대한 이야기는 감수성 여린 소년의 마음속에 영원히 자리하게 된 모양이다. 그것은 마치 이루지 못한, 가질 수 없었던 첫사랑에 대한 애달픔이라고나 할까. 한편 미조구치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금각이야말로 지고지선의 미라는 이미지를 각인시킨다. 그리고 미조구치를 금각이 있는 녹원사(로쿠온지) 주지 다야마 도센 스님에게 의탁한다. 녹원사에서 미조구치는 같은 처지의 도제 쓰루카와와 우정을 쌓으면 역설적으로 속세의 삶을 마주하게 된다. 미조구치가 어둠을 상징하는 음화라면, 쓰루카와는 빛을 의미하는 양화라고 했던가. 어찌해서 화자는 그렇게 어둠 속으로 침몰을 거듭하는 걸까? 자신을 너무 사랑해서 그런 걸까? 타인을 품을 줄 모르는 소년은 자신을 너무 사랑하고, 고독을 이상화한 나르시시즘에 빠져 헤어 나올 수가 없었나 보다.

말더듬이란 장애 아닌 장애를 가진 소년 미조구치에게 죽은 아버지가 심어 준 금각이라는 이미지는 도저히 가질 수 없는 환영이면서 동시에 아름다움으로 각인된 무엇이다. 우여곡절 끝에 대학에 진학해서 안짱다리라는 장애를 가진 가시와기의 독설을 두려워하면서도 동시에 그의 현란한 철학적 기만술을 흠모하는 장면은 이율배반적으로 다가온다. 두 번이나 가시와기가 인도한 동정 잃을 순간마다 금각이 떠오르는 장면은 더 이상 전쟁을 할 수 없게된 나라, 패전국 일본의 불능을 상징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어쩌면 미조구치가 자신의 내면세계에서 이상화시킨 금각은 일본 제국주의가 기승을 부리던 시절에 대한 극우주의자의 미학적 향수가 아닐까. 번역을 맡은 허호 씨의 해설을 읽어 보니, 미시마 유키오가 처음부터 극우주의자는 아니었다고 한다. 소설 <금각사> 역시 그가 극우주의자로 변신하기 전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금각사>195072, 교토의 킨카쿠지(금각사) 방화사건을 모티프로 한 작품이다. 미시마 유키오는 녹원사의 사미승이었던 하야시 쇼켄이 무로마치 바쿠후 이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550년 고찰을 방화해 버린 일대사건을 5년간에 걸친 준비 끝에 발표한 역작이다. 사건 조서에서 방화범 쇼켄은 금각이 가진 미에 대한 질투를 비롯한 피해망상 등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밝혔다.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해서 미시마 유키오는 독설가 가시와기가 주장하는 미에 대한 인식, 무력한 자신의 모습을 이겨내기 위한 어떤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화를 선택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그 중에는 속세에는 저명한 고승으로 알려진 노사에 대한 비위를 알게 된 자신과의 갈등도 빠트릴 수 없다. 어디 그 뿐이던가. 자신을 노사의 후계자로 만들겠다는 어머니의 강박적 집념과 불륜, 결국 방화 직전에 노사가 베푼 은혜를 배신으로 보답하는 과정에서 보인 유곽에서의 동정상실 등 복잡한 사건들의 전개가 이어진다.

 

실제와 소설이 다른 점 중의 하나는 방화범 쇼켄은 다량의 수면제를 복용하고, 할복을 선택했지만(살아났지만, 결국 7년 간의 옥고를 산 뒤 죽는다), 소설의 미조구치는 살아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쩌면 아름다움이라는 것이 한낱 부질없는 이미지의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이의 어쩔 수밖에 없는 선택이라는 것일까. 훗날 미시마 유키오가 보여준 어이없는 죽음이 어쩔 수 없이 연상됐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교토를 소설의 공간적 배경으로 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일본 문화에 대한 짧은 이해 때문인지 우리에게 있었던 숭례문 방화사건에 대한 분노가 생기지는 않았다. 반세기도 전의 타국의 문화재에 대한 애착이 없어서였을까. 미시마 유키오가 구사하는 내용들에 대한 좀 더 심오한 이해가 뒷받침됐다면 전후 일본문학 최고의 성취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금각사>가 더 친숙하게 다가오지 않았을까 하는 그런 아쉬움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