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운명 모리스 마테를링크 선집 2
모리스 마테를링크 지음, 성귀수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벨기에 출신 노벨문학상 작가라는 거대한 타이틀을 가진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책 <지혜와 운명>을 읽었다. 우리에게는 <파랑새>의 작가로 더 알려졌다고 하는데, 사실 나이를 먹다 보니 <파랑새>의 내용이 뭔지 기억이 다 가물가물해졌다. <지혜와 운명>은 달랑 200쪽 밖에 되지 않는 분량의 책이라 금세 다 읽을 수 있겠지 하는 생각으로 달려들었다가 악전고투를 경험했다. 아포리즘, 그러니까 작가가 구사하는 잠언류의 단백한 문장은 읽어도 뜻이 바로 와 닿지 않아 한참을 생각하게 만들어주었다. 너무 어려워, 그럴 적마다 다빙 작가의 책으로 심신을 달래곤 했다. 개인적으로 눈에 쏙쏙 들어오고 재밌는 책이야말로 최고의 책이라는 생각을 가져왔었는데, 이번에 마테를링크 작가의 책을 읽으면서 쉽게 읽히지 않는 책도 나의 개인적 수양을 위해 필요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현대판 잠언 <지혜와 운명>은 정말 다양한 층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간단하면서도 울림이 있는 글이라고나 할까. 제목으로도 달았지만, 전체적인 주제는 바로 ‘광활한 삶의 진실 가운데 끊임없이 사랑하라’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다. 작가는 삶에 진실에 도달하는 특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건 아니라고 하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현대를 살아가는 개인의 성찰, 행복 그리고 사랑에 대한 고수가 아니면 불가능한 그런 조언들을 담뿍 책에 담아냈다.

 

어느 특정한 사안에 대한 고찰이 아니라,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생각과 사유를 하게 만들고, 더 나아가 행동하게 만드는 것이야말로 이 세상에 책을 쓰는 이들이 추구하는 꿈이 아닐까. 먼저 자신에게 이런 질문을 던져 보았다. 이타적 자기희생에 기반한 나의 선행에 대한 보답으로 타인의 선행을 기대해도 되는 것일까? 나는 살면서 그것이 얼마나 헛된 소망이라는 것을 수차례의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보답을 구하지 않는 선행이란 과연 불가능한 걸까라는 자문에 도달하기도 했다. 새로운 대통령의 시대를 맞이한 우리는 지난 10년 동안 최소한 정치의 영역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하지 않았던가. 한발 더 나간다면, 지금 이 시대에 과연 의인이 존재하는지 묻고 싶어졌다.

 

진정한 행복에 도달한 사람은 내면의 자유를 얻은 사람이라는 마테를링크의 말에서는 정말 할 말이 없어졌다. 우리는 무의식 중에 다양한 채널로 물질적 풍요가 행복을 담보할 거라고 교육받아 오지 않았던가. 끊임없이 채워지지 않는 욕망을 위한 소비야말로 우리 내면에 도사린 적이 아닐까. 개인적 고백을 하자면, 매주 로또를 산다. 언젠간 나에게도 물질적 대박이 터지지 않을까 하는 허황된 기대심리로 매주 5천원씩을 소비하는 것이다. 누군가에는 나의 그런 행동이 허황된 행복 추구로 보이지 않을까 싶다.

 

또 어디서는 자연의 유일한 관심사는 균형이라고 했는데, 시류에 맞춰 우리나라 정치판에 도입해 보면 좌우 날개로 나는 새가 아니라 언제나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오른쪽으로 뒤뚱거리던 펭귄이 오랜 만에 밸런스를 잡은 셈이라고나 할까. 정권 교체가 된지 며칠이 되었다고 벌써부터 개혁에 대한 저항의 조짐을 보이는 수구언론의 모습에서 행복할 수 없는 뿌리인 오만함을 느끼기도 했다. 이런 균형에 도달하기 위해선 모름지기 심오한 차원의 사색과 사유가 필요한 법인데 과연 나와는 다른 그들을 포함한 우리에게 그런 시간적 여유가 있는지 모르겠다. 뭐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 그런 어둠이 있기 때문에, 찬란한 빛의 순간이 더 돋보이는 게 아닐까. 물론 그러기 위해 지난 겨울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선 이들의 노고가 필요했지만 말이다.


 



마테를링크는 <지혜와 운명>에서 생각하고 사유하는 인간이 지닌 지혜의 중요성에 대해 거듭 강조한다. 그리고 나는 나의 부족함을 고백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일방통행적 사랑이 아니라, 오래 준비한 사랑을 내 삶 가운데 구체적으로 발현할 수 있냐고 누군가 나에게 묻는다면 난 무슨 대답을 하게 될까. 그에 따르면 지혜로운 사람도 다른 이들과 마찬가지로 욕망을 추구한다고 한다. 다만, 욕망을 순화시키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했던가. 무협지에 등장하는 고수들이 무리해서 무공을 연마하다가 주화입마에 빠지는 것과는 달리 지혜로운 이들은 각성의 기회를 갖기에 욕망 자체에 매몰되지 않을 거라는 그의 말이 어쩌면 그렇게 마음에 와 닿는지 모르겠다. 욕망을 순화하고, 각성해서 합리적 욕망을 추구하는 것이야말로 어쩌면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할 삶의 목표일지도 모르겠다.

 

저자는 삶의 순간마다 느끼는 소소한 행복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빠트리지 않는다. 오늘 내가 행복한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 봤다. 어제 회사에서 허리를 삐끗해서 컨디션이 좋지 않지만, 아주 거동을 못할 정도는 아니어서 행복하다. 오늘 두 권의 책을 다 읽을 수 있어서 행복하고, 이렇게 책 읽고 난 뒤에 감상을 적을 수 있어서 행복하다. 그리고 이렇게 책을 읽으면서 사유할 수 있어서 무엇보다 더 행복하다. 나의 이 부족한 글에 진정성을 담을 수 있다면 더 행복할 것이고, 거창한 영웅이 되기보다 경청과 묵상 그리고 침묵이라는 행동을 통해 일상에 충실한 삶을 살 수 있으니 만족할 만하지 않은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5-15 2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파랑새》를 읽어본 적이 없어요. 그냥 그 작품이 유명한 사실만 알고 있어요. ^^

레삭매냐 2017-05-15 20:34   좋아요 0 | URL
전 <파랑새>가 그저 동화일 거라고 생각
했는데, 원전은 희곡이었다네요.

아마 그 내용도 모르고 있는 게 분명합니다.
구해서 읽어야 할까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