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울아 거울아 : 정시안 편
다드래기 지음 / 네오카툰 / 2016년 2월
평점 :
알라딘에 책 팔러 갔다가 우연히 만난 책이다. 원래 다른 아랍권을 다룬 만화에 눈길이 더 갔지만 점심시간에 들른 것이라 오래 있을 수가 없어 고른 책이 바로 옆에 꽂혀 있던 다드래기 그룹의 <거울아 거울아>였다. 내가 아는 최근의 <거울아 거울아>는 포미닛의 노래 밖에 없는데, 표지를 들춰 보니 성 소수자에 대한 이야기란다.
그래픽노블의 배경은 청암대 캠퍼스다. 요즘 캠퍼스 이슈는 무언지 모르겠다. 내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에는 이 무렵이면 등투로 시작되어 5월이 참 뜨거웠었던 것 같은데 시절이 시절이다 보니 아마 요즘엔 그런 이슈들은 그들의 관심 밖이겠지. 만화의 주인공은 분명 정시안으로 보이는데, 읽어 보니 남자가 되고 싶은 여자 정시안 보다 여자가 되고 싶은 강호수 혹은 강석호가 실제 주인공처럼 보인다. 아마 최근 유행했던 만화원작 드라마의 스토리처럼 주인공 역전 현상이 대세가 된 걸까.
지난 8년간의 보수정권 아래 사회의 다양성은 철저히 무시되고 소통조차 불필요하다고 역설하는 소위 역주행의 시대에 사회적 편견에 맞서는 <거울아 거울아>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만화의 주인공들은 그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고 싶을 뿐인데, 그들에게 쏟아지는 편견의 세례는 가혹하고 그들을 옥죄는 사회적 제약과 벽은 높기만 하다. 성 소수자들에 대해 유연한 사고를 가진 서구사회에 비해 완고한 동양적 윤리질서와 규범으로 무장한 우리 사회는 여전히 변화의 조짐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예의 편견이 언제라도 그저 차가운 시선을 넘어 폭력의 형태로 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교재판이라는 폭력적 수단으로 사회적 약자를 억누른 중세의 종교적 광기조차 엿보이는 것 같다.
서구사회에서 진행된 꾸준한 성 소수자의 인권개선을 위한 사회적 비판과 노력을 상대적으로 조견하는 대신 현재의 조건만을 비교대상으로 삼은 건 만화의 전략적 착오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족구성원의 성적 정체성에 대한 거부감이라는 설정 역시 너무 도식적인 게 아닌가 싶다. 동서양 어디고 가족내 구성원이 커밍아웃을 한다면 반발하지 않을까. 최근 읽은 앤 타일러의 <파란 실타래>에서도 말썽꾼 아들 데니의 느닷없는 게이 선언으로 집안이 뒤집히지 않았던가. 강호수/석호의 돈벌이 수단이 술집이라는 설정도 스테레오타입으로 비춰질 수밖에 없다. 어쩌면 성 소수자에게 열린 취업문이 그만큼 협소하다는 사실의 방증일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아직 다른 시리즈들을 읽어 보지 못했지만 소셜 펀딩으로 시작된 다드래기 프로젝트의 순항을 빌어 본다. 나와 다른 것이 나쁜 것이 아니라는 단순한 결론에 도달하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