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부님은 갈수록 유머러스해진다
모옌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호들갑쟁이다. 무엇보다 책에 관해서 그렇다. 작년 가을, 중국 출신의 작가 모옌이 2012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는 소식에 일단 그의 책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열세 걸음>, <개구리>, <홍까오량 가족>, <모두 변화한다>, <티엔탕 마을 마늘종 노래> 그리고 오늘 이야기할 <사부님은 갈수록 유머러스해진다>까지. 그런데 지금까지 읽은 책은 <사부님> 뿐이다. 호들갑이 지속적인 책읽기로 이어지지 않으니 큰 일이다.

 

모옌과의 첫 만남은 수년전 책을 다시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할 무렵에 만난 중국 현대 소설선 <만사형통>에 실린 단편 <먹는 일에 관한 이야기 둘>이었다. 사실 오래 전이라 무슨 내용인지 기억도 잘 나지 않는다. 그러니 실제적인 첫 만남은 <사부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다. 모두 세 개의 중편이 실린 소설집의 백미는 역시 타이틀인 <사부님은 갈수록 유머러스해진다>가 아닐까 싶다.

 

한 때 잘 나가던 선구적 노동자 딩스커우 사부는 어느날 갑자기 직장에서 강퇴(강제퇴직)을 당한다. 이럴 수가 있나 그래. 중국 노동자의 모범으로 칭송받던 딩 사부 역시 세월의 흐름을 이기지 못하고 구조 조정이라는 미명 아래 길거리로 내몰린다. 시장님을 비롯해서 높은 분들에게 항의해 보지만, 수억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에서 그런 사연 없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별무소용이다. 그러던 차에 도제 샤오후의 기발한 제안으로 딩 사부는 새로운 사업을 하나 시작한다. 어찌어찌해서 장만한 고물 버스를 개조해서, 인공호수 부근을 찾는 연인들에게 러브하우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체면을 앞세워 사양하던 딩 사부도 배고픔 앞에 어쩔 수 없이 승복하고 만다. 문제는 이게 큰 돈벌이가 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각종 연인들의 편의를 위한 제품을 장만하면서 딩 사부의 러브하우스는 상종가를 치기 시작한다. 호사다마라고 좋은 일에는 항사 마가 끼는 법, 과연 딩 사부의 아담한 연인들의 휴게소사업은 어떻게 될까?

 

쇠불알볶음 때문에 이러저러한 에피소드가 끝없이 발생한 두 번 째 이야기 <> 역시 읽을 만하다. 소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생산을 위해 절대 필요한 존재다. 집단생산의 상징인 인민공사 소속 소들도 귀한 대접을 받는다. 문제는 다른 곳에 한눈 팔지 말고 일만 열심히 하도록 거세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작가 모옌은 소를 거세하면서 벌어지는 에피소드에 다양한 유머 코드를 넣으면서 재밌는 전개를 구사한다. 빼어난 기술을 자랑하는 수의사 동지를 소 잡은 우마왕이라고 표현한 장면에서는 절로 웃음티 터져 나온다. 그런데 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지 않을까? 거세된 소처럼 죽어라 일만 하고 자신들의 정치적 목소리는커녕 자신들의 대표조차 마음대로 뽑지 못하는 중국의 인민들이야말로 정치적으로 거세된 존재라고 말이다. 요즘 읽고 있는 샤리아르 만다니푸르의 <이란의 검열과 사랑이야기>에서 이란 정부의 검열관들이 상상을 초월하는 성적 코드 잡아내기에 달인이라면, 중국의 공안들은 이렇게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들을 잡아내는데 달인이 아닐까. 소 솽지를 둘러싼 한바탕 소동은 거세를 잘못해서 살모넬라균에 지독하게 중독된 솽지를 잡아먹은 인민공사 지도급 인사들의 집단 식중독으로 끝난다. 사건 처리를 비꼬면서 이거야말로 프롤레타리아 계급 문화대혁명의 위대한 승리라고 떠벌리며 피날레를 장식한다. 멋지다.

 

마지막 에피소드 <삼십 년 전의 어느 장거리 경주>는 모든 일에 있어 거의 전능한 능력을 보여준 우파분자, 그 중에서도 주충런 선생에 대한 오마쥬다. 1960년대 중국 각지에서 대부분의 우파분자들이 혹독한 시절을 보내는 동안에도 글쓴이의 사는 동네로 추방된 우파분자들은 각자 맡은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며, 쾌활하고 낙천적으로 지냈다고 증언한다. 저자가 다닌 다양한 소학교의 노동절 체육대회와 관련된 현란한 이야기가 쏟아져 나온다. 관람대를 만들기 위해 멀리 장백산에서 운반된 홍송 재목을 훔쳐 어머니 관을 짜려던 얼치기 도둑 이야기, 주 선생이 내로라하는 탁구선수를 완패시킨 이야기하며 하나 같이 모옌의 장기인 리얼리즘에 바탕한 이야기들이다. 이 탁월한 우파분자 주 선생이 참가한 장거리 경주 우승으로 화려한 마무리를 맺는다.

 

인민해방군 출신의 작가 모옌은 철저하게 체제 안에서 허용될 수 있는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다. 그렇다고 미국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하진처럼 폭넓은 표현의 자유가 허용되는 건 아니다. 리얼리즘에 탁월하지만, 항상 경계에 근접해 있을 따름이다. 왜 경계를 뛰어 넘어 곪아 가고 있는 체제의 급소를 찌르지 않는지 궁금하다. 딩 사부의 휴게소 사업 에피소드도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그런 게 가능할지 의문이 들게 만든다. 아무리 노동 계급의 영웅이라고 하더라도, 구조 조정되어 먹고 살 게 없어진 마당에 국가가 책임지지 않는다면 수치스러운 일이라도 감수해야 한다고 모옌은 냉정하게 그린다.

 

무산계급이야말로 공산주의 국가의 기둥이라고 하지만, 권력화된 무산계급의 위선과 타락을 보여주는 <> 역시 마찬가지다. 냉소적으로 사건을 전개해 가며 선을 넘지 않는 기법 역시 탁월하다. 체제 내에서 작품활동을 계속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는 타협이었을까? 모옌의 소설에는 과거의 중국이 아닌 현재의 중국 이야기는 왜 없는 것일까. 그가 중국 정부가 환영하는 어용작가라는 비판 역시 다시 한 번 곱씹어 봐야하지 않을까 싶다. 개인적으로 모옌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같은 인민해방군 출신의 옌롄커 작가의 문화혁명과 대약진 운동에 대한 반성 같은 날선 비판을 그에게 기대하는 건 무리일까. 갈수록 고단수가 되는 딩스커우 사부의 유머가 그저 우습게 읽히지만은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