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페르노 1 로버트 랭던 시리즈
댄 브라운 지음, 안종설 옮김 / 문학수첩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댄 브라운이 돌아왔다. 오래전 <다빈치 코드>를 읽고 가히 충격에 빠졌었다. 중세 르네상스 시기의 걸작 <최후의 만찬>에 숨겨진 기호도상학적 코드를 바탕으로 비밀결사 조직인 시온 수도회 그리고 중세 말의 알비 십자군 전쟁에 이르는 정말 기상천외한 전개와 숨막히는 추격 등등 그야말로 재밌는 소설이 갖추어야 할 모든 요소를 갖춘 읽는 재미를 흠뻑 느낄 수 있는 책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소설을 이끌어 가는 주인공으로 나선 하버드대 출신의 패션 감각 넘치는 중년의 독신남이자 기호도상학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로버트 랭던 교수의 활약까지 더해지면서 댄 브라운 소설은 그야말로 탄력을 받았다.

 

댄 브라운은 신작 <인페르노>는 모두가 주지하다시피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피렌체 출신의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을 이루는 한 파트로 우리말로 하면 지옥편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작가는 성공한 자기 전작의 패턴을 <인페르노>에서도 그대로 반복한다. 어쩌면 진부할 정도로 말이다. 미스터리한 인물의 죽음으로 시작되는 <인페르노>에서 영화 버전에서 주인공을 맡은 탐 행크스의 이미지를 떠올릴 수 밖에 없는 로버트 랭던 교수의 재기용은 물론이다. 여기에 영국 출신의 IQ208의 천재 시에나 브룩스를 사이드킥으로 장착했다. 바로 이 두 인물이 닥터 이블(Doctor Evil)의 인류 종말 프로젝트를 막는 메시야로 분한다.

 

아 한 가지 패턴이 빠졌다. 시온 수도회 같은 역할을 하는 집단으로 컨소시엄이 등장하는데, 소설의 초반 총상을 입고 기억상실에 빠진 랭던을 집요하게 추격하면서 소설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임무를 수행한다. , 다음 요소로는 공간적 배경인 피렌체다. 피렌체에 한 번이라도 가봤더라면 좀 더 구체적인 묘사를 할 수 있겠지만 아쉽게도 소설과 인터넷 블로그 정도로 만족하자. 중세 르네상스의 발원지이자 메디치 가의 후원으로 양성된 수많은 예술가들의 흔적이 남아 있는 장소이자 동시에 소설의 미스터리를 증폭시키는 핵심인 단테의 고향으로 앞으로 영화화될 때 어떻게 그려질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이렇게 철저하게 준비된 진용을 바탕으로 랭던 교수에게 벌어진 사건의 단서를 찾는 것으로 소설은 숨 가쁘게 달려간다. 마치 모든 시내가 강에서 만나 바다로 흐르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실체는 산드로 보티첼리의 <지옥의 지도>를 거쳐, 베키오 궁전의 <마르시아노 전투> 그리고 단테의 데스마스크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보통 사람들은 상상할 수도 없는 도상학적 전문 지식으로 독자를 휘몰아쳐 간다. 과연 작가 댄 브라운에게 그런 도상학적 분석 능력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그쪽 분야에 거의 문외한인 독자로서는 작가의 권위에 그대로 복종할 수밖에 없다. 기호와 도상이 보여주는 비유(parable)가 늘 그렇듯, 자의적 해석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어째 입맛이 씁쓸해지는 기분을 지울 수가 없다.

 

어찌어찌해서 랭던 교수와 그의 조수 시에나는 이 모든 사건의 중심에 젊은 나이에 생물학 특허로 엄청난 돈을 번 생화학자 버트런드 조브리스트가 있다는 것에 도달한다. 안타깝게도 조브리스트는 바로 소설의 맨 처음에 죽는 것으로 나왔고, 그가 남긴 인류 종말 프로젝트의 가동을 둘만의 노력으로 막아야 하는 절체절명의 임무가 기다린다.

 

<다빈치 코드>에서 이미 선보인바 있는 모종의 음모이론은 전작 <천사와 악마>, <다빈치 코드> 그리고 <로스트 심벌>에 의해 더 정교해진 느낌이다. 그것은 아마도 무명의 작가 시절 그가 접할 수 있었던 정보와 자료에 비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이 시점에서 그가 모을 수 있는 그것의 양의 차이일 것 같다. 그런 자산을 바탕으로, 댄 브라운은 성공신화의 반복에 재도전한다. 그리고 확실히 스케일도 더 커졌다. 그동안 로버트 랭던이 소규모의 음모에 맞섰다면, 이번 <인페르노>에서는 인류라는 종의 구원을 위해 역설적으로 자신이 개발한 인류 멸망 방정식으로 인류를 파멸시켜야 한다는 정신 나간 닥터 이블을 막아야 한다. 문제는 이 닥터 이블이 그런 능력과 충분한 자금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니 스케일은 더 커지고, 그에 맞서는 대응 또한 스펙터클해질 수밖에.

 

<인페르노>에 등장하는 여러 텍스트(도상 포함) 중에 에센스는 역시 단테의 <신곡>이다. 신곡 3부작 중에서 특히 지옥(인페르노)에 대한 선명한 묘사는 기존의 추상적 개념의 지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면서 교회로부터 멀어져 가던 대중의 발걸음을 되돌리는데 일조했다고 한다. 소설에 나오는 닥터 이블 조브리스트는 현세를 우리가 인지 못하는 인페르노로 간주하고, 자신이 창안한 솎아내기야말로 모든 문제의 해답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그 생각이 소설 <인페르노>를 추동하는 힘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산드로 보티첼리의 <지옥의 지도>의 상세를 보고 싶어 인터넷으로 검색해 봤지만, 심지어 출판사에서 제공한 이미지조차 너무 작아서 책에서 묘사된 부분을 대조할 수가 없었다. 단테의 <신곡>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다 보니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롱펠로우가 번역한 영문 전문을 귀스타브 도레의 삽화와 함께 무상으로 서비스하는 것을 보고 왜 우리나라의 대학은 이런 서비스를 하지 않을까라는 엉뚱한 질문에 도달하게 됐다.

 

어쨌거나 댄 브라운의 신작 <인페르노>는 읽는 재미가 있는 책이다. 읽는 동안에는 만사 제쳐두고 읽을만하다. 문제는 그렇게 열심히 다 읽고 나서 인기작가의 자신만만한 성공신화 반복이 어째 불편하게 느껴졌다는 점이다. 물론 이 소설도 영화화가 될 것이고, 탐 행크스가 주연하는 로버트 랭던의 이미지도 되살아나겠지. 하지만 같은 작가가 계속해서 반복하는 클리셰이(cliche)가 더 이상 반갑지 않은 건 나만의 생각이려나.

 

[뱀다리]

지옥의 가장 암울한 자리는 도덕적 위기의 순간에

중립을 지킨 자들을 위해 예비되어 있다.“도대체 이 문구는 어디에서 온 걸까? 원서 미리보기를 봐도 나오지 않던데.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신곡을 패러프레이즈한 문구라고 하던데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