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지 1984-1987 1 - 공산 폴란드에서 보낸 어린 시절 세미콜론 그래픽노블
실뱅 사부아 그림, 마르제나 소바 글, 김지현 옮김 / 세미콜론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민음사 북클럽 패밀리 세일에 갔다가 이 책을 사왔다. 그전부터 점찍어 두고 있던 세미콜론의 책이었는데, 때 마침 눈에 띄어서 바로 집으로 데려왔다. 그런데, 만화라 가볍게 생각한 탓일까. 금세 다 읽을 줄 알았는데 읽는데 제법 시간이 걸렸다. 물론 그 동안에 다른 책들과 만나느라 그랬긴 했지만 어쨌든 울림이 있는 책이었다.

 

가장 먼저 부제 공산 폴란드에서 보낸 어린 시절이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이제는 정말 안드로메다처럼 멀게 느껴지는 1980년대 초반에 폴란드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가. 레흐 바웬사가 이끄는 자유노조가 구 소련의 위성국가 폴란드에서 석유파동에 따른 살인적인 물가폭등 때문에 임금인상 투쟁이 벌어지고 있었다. 아마 이런 역사적 사실을 사전에 알고 이 만화를 보면 훨씬 더 이해가 쉬울 것 같다. 나 역시 인터넷의 도움을 받아 당시 계엄령을 선포한 야루젤스키 폴란드 국방장관 겸 총리(그리고 나중에는 대통령)에 관한 기사를 읽었다.

 

약관에 나이에 공산국가 폴란드에서 서방의 프랑스로 넘어온 이 그래픽 노블의 주인공 마르지는 우리에게는 정말 생소한 나라 폴란드의 이모저모를 들려준다. ‘잉어의 날이라고 들어 봤는가? 폴란드에서는 크리스마스가 되면 시장에 나가 통통하게 살이 오른 잉어를 사다가 욕조에 두는 풍습이 있단다. 공산주의도 사람들의 식욕은 이기지 못하나 보다. 프랑스 출신의 만화가 실뱅 사부아는 꼬마소녀 마르지의 시선을 통해 심각한 경제난으로 자동차 연료는 물론이고 만성적 물자부족에 시달리는 폴란드 사람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그렇게 선전하던 물자부족으로 공산국가에 사는 이들은 하다못해 빵을 하나 사려고 해도 줄을 서야 한다는 말이 아주 거짓은 아니었나 보다. 문제는 그렇게라도 빵을 얻을 수가 있는 체제가 좋은지 아니면, 주변에 살 것은 넘쳐 나지만 그 물자를 살 수 있는 재화가 없어 고통 받는 체제가 좋은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된다.

 

아파트에 사는 친구들과 어울려 초인종 놀이를 하고(초인종 누르고 도망가기 놀이는 아마 글로벌한 놀이인가 보다), 텔레비전에 나온 폴란드 국민들의 영웅 요한 바오로 2세 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의 모습에서는 비록 공산주의 국가이긴 하지만 뿌리 깊은 가톨릭 신앙의 정수를 볼 수가 있었다. 마르지 역시 나중에 영성체를 받을 무렵에 온 식구가 나서 준비를 해주고 축하해 준다. 부족한 물자 때문에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시골 농장에 가서 수확한 채소와 작물을 아파트에 싣고 와서 동네 주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는 장면에서는 당시 폴란드의 사회상과 동시에 실패한 계획주의 경제의 단면이 비치기도 한다.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장군이 텔레비전 방송에 나와 선포한 계엄령은 폴란드 역사에서 하나의 분수령이었다. 임금 인상과 자유를 요구하는 자유노조의 주장에 폴란드 공산정부는 이런 식으로 나가다가는 이웃나라 소련이 침공할지도 모른다는 거짓 선전으로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자유노조의 모든 활동을 금지하고, 파업 노동자들, 노조 지도자들과 지식인들의 체포에 나선다. 국가 지도자의 느닷없는 전쟁상태 돌입 선언에 어린 마르지는 당장에라도 전쟁이 벌어질 것 같은 공포를 느낀다.

 

7살 박이 폴란드의 소녀의 눈에 비친 폴란드의 일상은 단조로우면서도 이해가 되지 않는 점이 많다. 왜 우리는 돈이 있어도 원하는 만큼 물건을 살 수가 없는 것일까? 마르지의 아버지는 한 덩이의 고기를 사기 위해 엄동설한에 완전무장을 하고 밖에서 밤새도록 줄을 서야했다. 컬러텔레비전 역시 마찬가지다. 감수성 어린 소녀가 가까스로 산 화장지 목걸이를 목에 걸고 터덜터덜 걷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돈만 있으면 뭐든 살 수 있는 그런 사회가 아니라 무엇을 하나 얻기 위해서는 갖은 증명서와 무궁무진한 인내심을 가져야 하는 나라가 바로 폴란드였다.

 

1편에서 가장 나를 곤혹스럽게 만든 글귀는 맨 끝에 마르지의 글이다. 그녀가 나무에 오르기 좋아하는 것은 세상으로부터 멀어지기 위해서가 아니라, 세상을 좀 더 자세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라고 했던가. 소녀시절의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또 어떤 부분은 성인이 되어서 냉철한 시선으로 그 시절을 되돌아본 회고였구나 하는 생각에 메이트릭스에서 깨어났다. 2편에서는 십대 소녀 버전의 이야기가 나오려나?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