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무사 이성계 - 운명을 바꾼 단 하루의 전쟁
서권 지음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팩션을 즐겨 읽는 편이다. 팩션 장르에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역사와 픽션이라는 두 가지 소재가 다 들어 있기 때문이다. 서권 작가의 팩션 <시골무사 이성계>는 고려왕조의 국운이 쇠해가던 1380년 실제로 있었던 황산대첩을 배경으로 한다. 일본 남북조 시대 걸출한 무장 아지발도가 이끄는 1만 명에 달하는 정규 무장을 갖춘 왜군의 침략 앞에 고려 조정은 가별치라 불리는 이성계 사병집단을 주축으로 한 토벌군을 파견한다. 왜군을 상대로 혁혁한 전과를 올린 황산대첩의 서막이 그렇게 오른다.

 

소설은 외적의 침입에 맞서 싸우는 상승장군으로 불혹의 나이에 접어든 노장 이성계의 내면세계에 초점을 맞춘다. 소설을 읽다 보니 자연 역사적 사실에 관심을 둘 수밖에 없었다. 체찰사로 고려 정규군을 이끄는 친원주의자이자 정적으로 등장하는 변안열, 그를 따르는 고려 최고의 문인이자 굴지의 외교관으로 자신의 실력을 유감없이 보여줬던 포은 정몽주 그리고 훗날 고려를 대신해서 들어선 조선의 실제적인 설계자였던 삼봉 정도전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한 시대를 풍미한 문제적 인물들이 잇달아 등장한다. 이성계를 위시한 이 정도가 주인공이라면, 이성계를 언니라 부르며 항상 전선의 최전방을 맡았던 퉁두란(이지란)과 처명, 황산대첩 초기 왜구의 진공을 막는데 역시 빼어난 공을 세웠던 배극렴 등도 빼놓을 수 없는 조연이다. 다만, 이성계와 정도전의 실제 만남을 조금 앞당긴 작가의 조정이 마음에 걸렸다. 가능하면 역사적 사실은 유지했으면 좋았겠으련만.

 

고려군의 진용이 이렇다면, 상대방은 어떨까? 스러져 가는 남조를 살리기 위해 고려를 기반으로 새로운 전역을 만들기 위해 대규모 선단을 이끌고 고려를 침공한 동안의 가미쇼(神將) 아지발도와 그의 탁월한 군사 슈겐부츠가 악역을 자처하고 나선다. 여말 약탈과 방화, 살상을 그야말로 밥 먹듯이 저지른 왜구의 상징이라고나 할까. 동시에 국가의 근간이 되는 백성을 지켜내지 못한 무능한 고려 조정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국가의 영이 바로 서고, 외적에 대한 방비가 철통같았다면 어찌 외적들이 고려를 침략할 생각을 했겠는가 말이다.

 

무신 집권기를 거쳐, 친원사대주의자들이 득세하면서 왕권의 추락은 불가피했고 권문세족으로 대표되는 기득권층은 토지겸병과 백서에 대한 수탈을 통해 사적 이익의 추구에만 관심이 있었다. 소설에서는 궁성이 있는 개경 방어에만 신경을 쓰고, 국가의 남부를 침입한 왜적 소탕에 국가 정예군을 동원하지 않는 중앙정부를 이성계의 입을 빌어 신랄하게 비판한다. 그렇다고 해서 개인적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찬탈하고, 결국 역성혁명을 통해 새로운 왕조국가를 세운 이성계를 두둔하고 싶은 마음도 없다. 새로운 시대의 어쩔 수 없는 역사적 흐름이었다고 한다면 할 말이 없겠지만 과연 그것이 최선의 방법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역시 회의적이다. 어쩌면 포은의 체제 내의 개혁에 더 호감이 가는 건 인지상정일지도 모르겠다.

 

이성계와 아지발도 간의 물리적 사투를 중심으로 슈겐부츠와 삼봉 두 군사(軍師)들의 대결로 대변되는 정보전도 육탄전 못지않게 관심을 끈다. 세작을 통해 쉴 새 없이 적의 동태를 살피고, 역공작으로 적을 교란시키는 과정에 대한 묘사는 <삼국지>급 포스를 자랑한다. 중앙귀족을 대변하는 체찰사 변안열과 가별치 부대장으로 변방의 시골무사에서 거병해서 국가 최고지도자의 위치에 오르는 이성계의 갈등 구조 역시 소설의 재미를 더한다. 소설 초반에서 엄청난 양의 풍등을 만드는 삼봉의 깊이를 알 수 없는 심모원려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지 못내 궁금했었는데 최후의 결전을 위한 것이었다는 설정도 자못 흥미로웠다. 예의 장관은 어쩔 수 없이 영화 <삼국지>에서 비슷한 장면을 떠올렸다.

 

개인적으로 이 소설에서는 단역으로 잠깐 등장하지만, 가장 강렬한 인상을 남긴 캐릭터는 바로 편조 신돈이었다. 그는 공민왕 시절 전격적으로 왕에게 발탁되어, 말 그대로 개혁의 최전선에서 백성을 위해 토지제도와 노비제도를 혁파하려다가 자신들의 기득권 박탈에 위기를 느낀 권문세족의 총반격으로 결국 주살되고 만 비운의 혁명가였다. 역사에 가정은 소용없다지만, 백성에게는 성인 그리고 귀족들에게는 요승으로 불리던 신돈의 혁명적 개혁이 성공했다면 이성계와 신흥사대부의 왕조교체 역성혁명은 그 당위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었으리라.

 

<시골무사 이성계>에서는 그리는 황산대첩은 북쪽 변방 출신의 일개 무장 이성계가 압도적인 왜적을 쳐부수고, 바야흐로 거물로 성장하게 되는 결정적 전환점이었다. 그 다음은 누구나 알고 있듯이, 이성계 그룹으로 대표되는 무인집단과 신흥사대부로 상징되는 문인집단이 새로운 국가를 만들었다는 역사적 사실이다. 그 모든 것을 뒤로 하고, 은퇴한 상왕 삼총사가 노병은 죽지 않는다라는 방식의 에필로그로 끝을 맺는 것도 마음에 들었다. 누구나 개혁과 혁신을 외쳐 대지만, 현실의 변화는 여전히 요원하다는 상념에 책을 접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