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그동안 몇 번이나 이정명 작가의 원작 <바람의 화원>을 만날 기회가 있었지만 드라마도, 영화도 다 놓쳐 버리고 결국 책으로 만나게 됐다. 사실 드라마나 영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아서 그런진 몰라도, 소설의 극적인 반전에 대한 기대는 이미 접고 있었나 보다. 특히 드라마 같은 경우에는 주인공 신윤복으로 캐스팅된 배우를 알아서인지 그 반전은 거의 기대할 바가 되지 못하지 않았나 싶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원소스 멀티유스(one-source multi-use)에 대한 문학 작품의 예로 <바람의 화원>은 그 전범으로 꼽을 수가 있을 것 같다. 항상 그렇지만, 팩션 장르에는 소설가의 상상이 개입할 여지가 그야말로 무궁무진하다는 느낌이다. 사실상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혜원 신윤복에 대한 두 줄의 서술로 이렇게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엮어낸 이정명 작가의 내공에 새삼 혀를 내두르게 된다.
바로 직전에 읽은 트레이시 슈발리에의 <진주 귀고리 소녀>와 함께 비슷하면서도 사뭇 다른 양상의 전개가 무척이나 인상적이었다. 두 작품 모두 실재하는 작가들의 그림을 모티프로 삼는다는 점에서 그 공통점을 꼽을 수가 있다. 하지만 좀 더 섬세하면서도 여성작가 특유의 치밀한 심리묘사가 <진주 귀고리 소녀>의 강점이라고 한다면, 이정명의 작가의 글은 아무래도 우리에게 친근한 화가들의 이름과 더불어 초등교육 시절부터 우리들의 뇌리에 각인된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들 그리고 속도감 넘치는 진행이 그 묘미라고 할 수가 있겠다. 게다가 한술 더 떠서 <바람의 화원>에서는 살인에 얽힌 미스터리까지 등장을 한다. 다만 그 수사관이 의금부 출신의 포졸이 아닌 화원(畵員)이라는 점이 다를 뿐.
조선 후기 정조 대의 활약한 것으로 알려진 김홍도와 신윤복의 관계는 사제 간의 설정이면서도 동시에 궁극적인 라이벌 관계로 발전해 나가게 된다. 물론 대개의 서술이 김홍도의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느낌이 정도로 신윤복의 입장은 객체로 다루어지고 있다.
역시 도화서 출신의 화원인 신한평의 둘째 아들로, 어려서부터 천재적인 재능의 소유자로 등장하는 신윤복은 수백년간 정형화된 규격에 얽매인 도화서의 숨막힐 듯한 형식과 규율에 일대 반란을 일으킨 자유인으로 그려진다. 도화서 생도 시절, 외유사생에서 파격적인 그림을 그림으로써 자신의 자유의지를 알리지만, 모난 돌이 정맞는다는 식으로 체제에 도전적인 신윤복의 그림은 도화서를 좌지우지하는 원로 화원들의 눈에 날 뿐이다. 결국 그를 대신해서 그의 가형인 신영복이 모든 죄를 뒤집어쓰고 스스로 자진해서 단청쟁이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하지만 그는 누구나 하찮게 생각하는 단청칠을 하면서, 자신의 동생이 필요로 할 색을 만들어내기 위한 위대한 장도에 들어선다.
누구나 다 알다시피, 조선이라는 왕조국가는 철저한 신분제 사회로 신분의 자유로운 이동을 엄격하게 금하고 있었다. 화원들의 신분은 중인으로, 과거제를 통한 신분상승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었다. 그 결과 소설에서는 자신의 스승인 강수항의 죽음에 대한 의문을 캐는 김홍도의 수사를 조정의 신료가 된 강수항의 자제들이 조직적으로 방해하는 모습을 보여 주게 된다. 마치 자신들의 과거를 절대로 밝히고 싶지 않다는 그들의 강력의 의지의 표명처럼 다가온다.
한편 자유분방한 필치와 색을 구사하는 신윤복의 스승으로 나오는 김홍도 역시 한 세대에 나올까 말까한 명인이지만, 세상과 타협하는 길을 걷는다. 하지만 제자 신윤복에게서 자신을 능가할만한 재능을 본 김홍도는 신윤복을 위해, 아니 어쩌면 자신 스스로를 위해 위기의 순간마다 신윤복을 위한 변호를 마다하지 않는다.
이 두 천재에 더불어, 등장하는 또 한 명의 천재가 있으니 그가 바로 절대군주 정조다. 아버지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을 가슴을 안고 사는 청년 군주 정조는 즉위 일성으로 자신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밝히면서, 선대왕 영조대를 주름잡은 노론 벽파에 대한 선전포고를 한다. 정조 연간에 그 어느 때보다 군신간의 치열했던 권력의 암투에는 이런 역사적 배경을 뒤로 하고 있다.
정조는 이 두 천재화가에게 세속의 모습을 담아오라는 주제를 내려 주고, 김홍도와 신윤복은 같은 소재를 바탕으로 다른 그림으로 정조에게 어필한다. 아마 1권을 통틀어 이 동제각화 그림 배틀이야말로 압권이었다. 김홍도는 사실적 리얼리즘에 기초한 그림을 그려 오지만, 신윤복은 항상 메시지가 담긴 그림으로 정조에게 도전한다. 물론 그 둘에 비해 못지않은 천재로 그려지는 정조 역시 바로 바로 그 메시지를 잡아내면서 관계의 정풍운동을 불러일으킨다. 이정명 작가가 직접 서술한 대로, 백 장의 상소보다도 한 장 그림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가에 대한 반증이었다.
특히 정조의 어진화사를 두고 나오는 이야기는 정말로 있을법한 이야기로,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인 신윤복이 파국으로 나가는 계기가 된다. 개인적으로 의문이 드는 점 중의 하나는, 정조는 완고한 보수주의자로 자신의 치세 기간에 문체반정으로 세간에 떠도는 참신하긴 하지만 파격적인 문장들을 규제했던 정조가 어진화사에 있어, 신윤복의 파격을 용인했다는 작가의 서술은 그 설득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다. 동일한 캐릭터가 어떤 일에는 용인을 하지만, 다른 일에는 절대 용인을 하지 못한다는 설정이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리고 소설의 초반에 등장하는 강수항과 서징의 죽음에 대한 김홍도의 탐문조사 이야기가 어느 순간 실종되었다가 말미에 가서 다시 등장하는 개연성에 대해서도 불만이다. 지속적인 긴장감의 조성을 위해서라도 소설 진행 중에 이에 대한 언급이 있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18세기 후반, 전통적인 농업국가에서 상공업의 발달로 치부한 상인 계급의 등장과 더불어 공고하게 유지되어 오던 신분제의 이반현상에 즈음한 시대상 묘사 역시 주목할 만하다. 예인으로 취급되면서, 역사소설에서 주인공으로 각광받지 못한 도화서의 화원들을 주인공으로 전면에 내세운 설정 역시 인상적이다. 하지만 역시 이 책의 장점은 뭐니 뭐니 해도 재밌다는 점이 아닐까? 과연 2편에서 어떻게 마무리가 지어질지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