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중력 증후군 - 제13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윤고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키워드는 바로 “무중력”이다. 무중력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지구가 밑으로 끌어당기는 중력이 없다는 점일 것이다. 바로 이런 이분법적 사고에 기인해서 이야기들이 전개된다. 아, 한 가지 더 중요한 것이 빠졌다. 바로 달이 날이 갈수록 증식되어 간다는 점이다. 태고 이래로, 달은 하나였다는 고정관념에 빠져 살던 우리는 달이 두 개로 늘어나면서 갖은 혼란 속으로 빠져든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을 본다면, 아마 판타지 소설 계통으로 분류가 가능할 것 같다.

책 표지를 넘기면서 모델 뺨치는 자태의 윤고은 작가 사진에 놀랐고, 이런 놀라운 상상을 바탕으로 주변의 일상과도 같은 이야기들이 천연덕스럽게 진행된다는 사실에 다시 한 번 놀라게 됐다. 또 하나 작게 놀란 점은, 대개의 여류작가들이 자신과 소설의 주인공을 동성으로 배치시키는데 반해 <무중력증후군>의 작가는 대담하게 부동산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남자 노시보(그의 친구로 등장하는 구보와 대구를 이루는 이름인가 싶다)를 주인공으로 전면에 내세운다.

일단 달이 증식된다는 기발한 상상에서 비롯된 아이디어들이 곳곳에서 빛나고 있다. 먼저 달이 늘어나면서 불안정을 이유로, 무중력자들이라는 이름으로 대담하게 지구의 ‘연약권’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주인공의 어머니는 달구경을 가겠다고 집을 나간다. 달의 증식은 부인할 수 없는 현상으로, 평범하게 지내던 우리들에게 ‘위기’(위험과 기회)를 부여한다. 노시보의 형 대보는 고시원에 살면서, 요리사의 꿈을 꾸고 있다.

게다가 주인공 노시보는 마치 우디 앨런의 영화에 줄기차게 등장하는 소시민적 모습을 지닌 하이퍼콘드리액(hypochondriac:건강 염려증 환자)이다. 지난 6개월 동안 병원에 들락거린 횟수만도 자그마치 180건이 넘는다. 어느 신문사의 여기자 ‘퓰리처’는 뉴스의 발굴이 아니라 직접 그를 소재로 한 기사를 만들려고 한다. 이만하면, 어떤 이야기든지 풀어 나가기에 적합한 환경이라고 할 수 있을지 않을까.

새로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창작을 꿈꾸던 그의 친구 구보는, 자신의 꿈 대신 세태의 흐름에 맞춰 우주적 경험들을 원하는 수많은 이들을 위해 성인기구 “무중력 판타지아”의 판매에 나서게 된다. 그런 구보도 성형미인들이 넘쳐 나는 세상에서, ‘순두부’ 같이 맑고 착한 여자를 만나기를 원하는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보여 준다. 소설 안에서 펼쳐지는 인물들의 가치관과 세상을 바라보는 눈들은 온통 모순으로 가득 차 있다.

윤고은 작가가 평범남 이하의 인물로 설정한 노시보는 예상대로 우리네 보통의 남성상을 보여준다. 달이 두 개가 뜨건, 세 개가 뜨건 간에 뉴스에 집착하며 보통의 욕망의 바다에서 발기하는 자신의 ‘미니미’가 지속적으로 지구의 중력과 싸워야 하는 현실 속에서 주인공은 자신이 기존의 중력자들의 무리에 속해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새로 등장한 신인류하고 할 수 있는 무중력자들 가운데 하나인지 도통 혼란스럽기만 하다.

여느 판타지가 그렇듯, 작가는 적당한 선에서 기존의 달의 증식이 가져온 사태들에 대해 그건 다 뻥이었어! 아니 어쩌면 그런건(달의 증식)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다는 선언 한 방으로 사태를 종결시킨다. 이 선언은 기존의 혼란들을 단박에 매조지하면서 모두를 일상의 삶으로 되돌려놓은 비아그라 같은 약효를 가져온다.

<무중력증후군>은 확실히 재밌다. 분명 많은 시간들을 들여서 작가가 벼렸을 이야기들이며, 소설의 전개 그리고 많이 닦아낸 흔적이 엿보이는 캐릭터들의 배치에서 그런 점을 여실히 느낄 수가 있었다. 좀 더 나가서, 아예 이 소설을 안드로메다로 보내 버렸으면 어땠을까 하는 엉뚱한 상상을 해보며, 작가의 다음번 작품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