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 - 정혜윤이 만난 매혹적인 독서가들
정혜윤 지음 / 푸른숲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시사교양 다큐멘터리 프로듀서가 우리 사회의 다양한 11명의 독서가들과 만나 그들의 독서세계를 다뤘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결국은 타인과 소통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타인들과의 소통을 통해 작가가 말하려고 했던 것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됐다.

우리가 영화를 보듯, 다른 이들의 독서세계를 엿보는 것 또한 하나의 관음적 재미를 제공해 줄는지도 모르겠다. 어쩌다가 내가 읽은 책의 제목이라도 나온다면 그 재미는 배가가 된다. 아쉽게도 위의 11명의 독서가들과 나의 교차점은 적은지 거의가 처음 들어 보거나 하는 책들이 많았다.

이 책에 등장하는 11명의 주인공들은 모두 엄청난 양의 독서를 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작가는 한술 더 떠서 그런 이들과 만나면서도 전혀 딸리지 않는 독서내공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독서의 고수가 틀림없을 거란 추측을 해보기도 했다. 개인적으로 얼마 전에 나갔던 오프라인 카페모임에서 리 차일드가 누군지 몰라, 물어 보기도 한 나로서는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는 냉혹한 현실이었다.

각각의 저명한 독서가들과의 이야기에는 테마가 있었다. 이를테면 <달콤한 나의 도시>의 작가인 정이현 씨와의 에피소드에서는 불안이 화두였다. 불안이 아주 존재하지 않을 수는 없고 덜 불안하고, 더 불안하다는 분류에 고개가 끄덕여졌다. 예전에는 좋아하던 작가였는데, 언제부터인가 멀어지기 시작한 공지영 씨의 이야기에서는 다시 한 번 거리감이 느껴졌다. 사실 그녀의 개인적인 삶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는데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사실들도 적지 않았다. 불필요한 오해의 재생산이라고 해야 할까? 그녀는 세상과 ‘화해’하고 싶어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녀와 세상과의 소통에는 여전히 넘어야 할 장애물들이 곳곳에 지뢰처럼 도사리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책을 읽으면서 정말 여러 군데에 연필로 밑줄을 좍좍 긋고 싶다는 강렬한 충동과 싸워야 했다. 특히 로맹 가리의 <새벽의 약속>에 나온다는 누군가의 ‘해피엔드’가 된다는 이야기에서는 가히 충격이었다. 어떻게 보면 짧다고 할 수 있는 이생에서, 누군가의 해피엔드가 될 수 있을까라는 조금은 묻기 어려운 질문에 자신 있게 ‘그렇다’라고 말할 수 있다면 더 바랄게 없을 것 같다.

80년대 후반, 사회구성체 논의를 이끌어냈던 이진경 씨의 책을 좋아해서 고독할 틈도 없었다는 고백 앞에서는 정말 형언할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공감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독서를 통해 책의 주인공들과 만나는 시간, 그 작가들의 생각들을 되짚어 가는 시간들은 내가 있는 공간 속에서 아주 유니크한 개인적 경험들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가.

언제나 그렇듯이, 빛이 강하면 그만큼의 어둠도 짙은 법. 책을 읽는 내내, 개인적으로 이 책을 지은 정혜윤 작가가 온전하게 인터뷰를 하는 사람들에 좀 더 집중을 해주었으면 더 좋았을 걸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자신의 개인적인 감상과 생각보다는 각 에피소드마다 전면에 나서는 이들의 목소리 분량이 부족한 점이 못내 아쉬웠다.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으면서도 이렇게 많은 삶의 군상들의 모습들이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가지고 펼쳐지고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이거야말로 진정으로 준비하지 못한 기쁨과의 만남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