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 타이 생활기 - 쾌락의 도가니에서 살다
다카노 히데유키 지음, 강병혁 옮김 / 시공사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먼저, 이 책의 작가 다카노 히데유키에게 푸욱 빠져 버렸다는 고백으로 이 글을 시작해야만 할 것 같다. 그래봐야 이 책까지 해서 달랑 두 권 읽었을 뿐인데, 책의 표지에서 선전하듯이 일본의 “인디애나 존스‘라는 작가의 좌충우돌 탐험기가 주는 매력에 사로잡혀 버렸다. 그와 나와의 첫 만남은 <별난 친구들의 도쿄 표류기>였는데, 오늘 다 읽은 <극락 타이 생활기>에서는 그 포스가 한층 업그레이드된 것만 같다. 그러니 앞으로 줄줄이 출간될 그의 책들이 어찌 기대가 되지 않겠는가.

이 책은 일본 유수의 대학 중의 하나인 와세다 대학을 졸업한 다카노 히데유키가, 일본이 아니라면 세계 그 어디라도 좋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타이의 치앙마이로 가서 일본어 강사가 되면서부터 시작된다. 모두 4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극락 타이 생활기>는 크고 작은 에피소드들로 작가가 체험한 타이의 모든 것에 대해 낱낱이 파헤친다.

불교국가이면서 여느 동남아시아 국가와 달리 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는 타이는, 아시아에서 일본과 더불어 유이하게 타국의 지배를 받아본 적이 없는 나라라고 한다. 애국심으로 대변되는 국가주의 사고보다는 개인의 편리와 영달만을 추구하는 타이인들의 모습은, 한 때 국가주의의 화신으로 태평양전쟁을 일으켰던 일본인들의 시선으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으리라. 역시 이방인으로서 사물의 본질을 보다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은, 자신 스스로에 대해 냉정하게 판단하는 것보다 훨씬 더 수월하다는 것을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어쩌면 타이인들이 보면 기분이 나빠할 정도로, <극락 타이 생활기>는 타이인들의 “혼네[本音]”를 까발리고 있다. 고작 냉장고나 세탁기 같은 생활 집기를 얻기 위해 자신들의 딸을 유곽으로 팔아넘긴다거나, 자신의 능력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고급 자동차들을 무리해서 사대질 않나 또는 아웃도어 활동보다는 편리하고 쾌적하고 ‘시원한’ 울트라 메가 쇼핑몰에서 ‘몰래츠(mallrats)’처럼 다니는 게 유일한 낙이라고 하니 할 말이 없다.

논리와 이성을 중요시하기 보다는 개인적인 감성적 판단에 근거해서 삶의 방향을 잡는 타이인들이 어쩌면 소위 문명세계에 사는 우리네로선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들이 많을 수밖에. 개인적으로도 만난 타이인들의 경우에 보면, 어떤 일에 있어서 뚜렷하게 자신들의 주장을 내세우는 것을 보지 못했던 것 같다. 하지만 슬렁슬렁 잘만 살아간다. 일본인들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 역시 역설적이기까지 하다. 많은 타이 여자들이 일본인들과 결혼생활을 하게 되었는데, 상당히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일본에 가보고 싶다던가 아니면 일본에 가서 일을 해서 돈을 벌어 싶다는 그 속을 알 수 없는 생각들이 툭툭 튀어 나온다.

그렇다고 해서 작가가 어디 그런 이야기들만을 하겠는가. 그런 어수룩함 가운데서도 자신들의 삶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살아가는 대개의 타이인들에 대한 사랑 또한 숨기질 않고 드러낸다. 1998년 IMF 금융위기를 맞았을 때, 저널리스트들이나 혹은 번듯한 직장에서 일하던 이들이 좌판을 벌이거나 혹은 식당을 차려서 다시 재기를 도모했다는 이야기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어쩌면 남국에 사는 사람들 특유의 낙천성이 한몫했을 수도 있겠지만 우리네의 그것과는 너무나 다른 유연한 사고와 삶에 대한 태도가 엿보였다.

물론 타이에 대한 실제적이면서도 유용한 정보들도 부족함이 없이 제공해 주고 있다. 예를 들면, 조금은 농담에 있어서 심하게 관대한 타이인들이지만 딱 두 가지 금기시되는 분야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국왕과 국교인 불교에 관한 것이다. 아무리 사소한 이야기라고 하더라도, 그 두 가지에 대해서는 정색을 할 정도로 예민한 반응을 한다고 하니 타이인들을 만나거나 혹은 타이를 여행할 계획이 있는 분들이라면 숙지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물론 작가도 학생들을 데리고 떠난 필드트립에서 불상에 대해 농담을 했다가, 낭패를 본 적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어떻게 해도 이방인일 수밖에 없는 작가의 글에서 왠지 모를 동양인에 의한 오리엔탈리즘이 느껴졌다. 큰 메기 요리를 먹겠다고 나선 작가가 라오스와 국경지대의 작은 마을 나콩파노무를 찾은 에피소드에서는 서양인의 눈에 비친 “쇼킹 아시아”식의 식도락 탐험기가 떠올랐다. 그리고 포도가 나지 않는 타이에서 만들어낸 유사와인에 곁들여지는 벌레통조림에서는 그런 신비주의적(혹은 미개한?) 오리엔탈리즘의 냉소가 얼비치는 것 같아 책을 읽으면서 피어난 미소들이 사라지면서 개운찮은 뒷맛이 남았다.

어쨌든 이 ‘미소의 나라’를 찾은 이방인의 눈에 비친 타이 생활기는 나에겐 개인적으로 유쾌한 경험이었다. 당장에 비행기를 잡아타고, 타이에 가볼 수가 없으니 이 정도의 간접체험만으로도 황공할 따름이다. 계속해서 이어질 다카노 히데유키의 괴짜 여행들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