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선택의 재검토 - 최상을 꿈꾸던 일은 어떻게 최악이 되었는가
말콤 글래드웰 지음, 이영래 옮김 / 김영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제트 기류에 대해 알게 된 것은 너튜브 <역전다방> 태평양전쟁 편을 통해서였다. 사실 난 해당 프로그램에서 태평양전쟁 당시 곳곳에서 전투에 대한 소개를 기대했지만, 역전다방 4인방은 자세한 전투의 개요 대신, 전쟁의 전반적인 흐름과 새롭게 개발된 전쟁무기 같은 기술을 소개해 주더라.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이 막대한 전비를 들여 개발한 슈퍼포트리스 B-29와 원자폭탄이 과연 전쟁 종결에 도움이 되었는가에 대한 질문을 이 책의 말콤 글래드웰은 묻고 있다.

 

라이트 형제가 만든 비행기의 발전은 전쟁의 흐름까지 바꿀 기세였다. 훗날 미공군의 주축이 되는 맥스웰필드의 이른바 폭격기 마피아들은 상대를 압도하는 공군력만으로도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신조를 가졌다. 과연 그랬을까?

 

지금은 레이더 항법장치와 GPS의 발전으로 정밀폭격이 가능했지만, 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1939년까지만 해도 그것은 불가능했다. 히틀러 정권의 2인자였던 공군원수 헤르만 괴링은 루프트바페를 동원해서 유럽대륙에서 마지막까지 저항하던 영국을 무너뜨리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이런 영국 항공전에서 전혀 교훈을 배우지 못한 미국의 폭격기 마피아들은 공군력을 동원해서 적을 굴복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포기하지 않는다.

 

여기서 등장하는 문제적 인물이 바로 폭격조준기를 발명한 칼 노든이다. 그러고 보니 역사의 진보는 칼 노든 같은 괴짜와 집착의 결합에서 나온 무엇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고고도 정밀폭격이라는 신화에 집착한 폭격기 마피아들은 도무지 포기할 줄 몰랐다.

 

태평양전선에서 일본군을 상대하던 헤이우드 핸셀과 커티스 르메이는 전혀 성향이 다른 캐릭터들이었다. 전자가 폭격기 마피아의 이상을 대변하는 몽상가였다면, 후자는 전형적인 실천적 인물이었다. 적을 패배시킬 수 있다면, 르메이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그런 실전형 장군이었다. 그런 점에서 르메이는 적국의 생산수단을 무력화시키는 고고도 공중폭격이라는 원래의 의미 대신, 하버드 대학에서 개발된 네이팜탄을 이용해서 민간인까지도 쓸어버리겠다는 전쟁광 같은 인물이었다. 결국 미국의 전쟁지도부는 핸셀을 해임하고, 그 자리에 호전적인 르메이를 배치시키면서 일본에 대한 대대적인 공중폭격을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폭격기 마피아들이 독일에서 볼베어링 산업을 마비시켜 나치 독일의 전쟁의지를 꺾기 위해 시도한 슈바인푸르트와 레겐스부르크 폭격의 효과 역시 미비했던 것으로 드러났지만, 그들의 신조는 꺾이지 않았다. 효과적 전쟁의 수행이라는 폭격기 마피아들의 의도는 처음부터 이룰 수 없는 판타지가 아니었을까.

 

폭격기 마피아들의 신조였던 고고도 정밀폭격의 신화는 사실 효과가 없었다는 게 전후에 상세한 보고서로 입증되었다. 르메이크는 인도 콜카타에서부터 험프(히말라야 산맥)를 넘어, 청두 그리고 일본 본토 공격에 나섰지만 폭격의 효과는 미미했다. 특히나 청두에 연료 공급을 위해서는 1리터를 위해 12리터를 사용해야 하는 아이러니와 직면했다. 험프를 넘다가 항공기 손실은 물론이고, 폭격기에 탑승한 항공병들도 무수히 죽어나갔다. 적의 생산시설에 심대한 타격을 가한 것도 아니었다.

 

르메이는 자신의 믿음을 입증하기 위해 무리를 해가면서 작전을 수행해 나갔다. 수십억 달러를 들여 개발한 슈퍼포트리스를 그냥 놀릴 수는 없었다. 이 논리는 나중에 핵폭탄 사용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다. 나중에 수정주의 역사가들의 전후 연구에 따르면, 원자폭탄을 두 방이나 맞고서도 끝까지 저항하던 일본의 항복을 이끌어 낸 결정적 요인은 바로 극동에서 150만 소련군의 참전이었다. 일본의 패전이 뚜렷해져 가는 상황에서, 굳이 원자폭탄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할 이유가 있었을까. 소련군의 참전과 더불어 기존의 해상봉쇄만으로도 충분히 일본의 패망은 예견되었다. 심각한 기아에 직면한 일본 사람들을 위해 파란 눈의 쇼군 맥아더는 1945년 말에 막대한 양의 식량공급으로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책을 통해 네이팜탄이 하버드 대학에서 개발되었다는 사실도 처음으로 알게 됐다. 저자는 광야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유혹한 사탄의 경우를 들어 핸셀과 르메이를 비교하기도 했는데, 기가 막힌 비유가 아닌가 싶다. 몽상가는 유혹을 거부했지만, 당장 실적을 군부와 수년간에 걸친 전쟁에 지친 시민들에게 보여 주어야 했던 실천가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더구나 르메이는 적국에 대한 무차별 폭격에 대해 주저하던 자신의 전임자가 어떻게 되었는가를 직접 목격하지 않았던가. 도교대공습에 나서기에 앞서, 작전 목표를 전달받은 슈퍼포트리스 조종사들의 항의도 주목할 만하다. 물론 우리의 맹목적 실천가는 그들의 항의를 가볍게 무시해 버렸다. 전쟁에서 미국이 졌다면, 바로 전쟁범죄로 처벌받을 만한 그런 명령이 아니었을까.

 

지난달에 사서 조금 읽다 다시 집어 들었는데, 하루 만에 다 읽어 버렸다. 가독성 하나는 가히 최고였다. 그리고 그동안 보고 들은 것들이 시너지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그런 효과도 있었다고 생각한다. 역시 독서는 이런 점에서 종합적 배움과 깨달음의 최고가 아닐까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3-11-06 20: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재밌는가 봅니다. 저는 전쟁사는 영...ㅠ
이러고 저러고 지간에 전쟁이나 어떻게 좀 빨리 끝났으면 좋겠습니다.
소식을 듣는 것도 괴롭더군요. 덕분인지 러-우 전쟁은 잠잠한 것 같기도 한데...
말에 의하면 전쟁은 그동안 만든 무기를 소모시키기 위한 거란 말도 있던데
그러기엔 인간은 참 무모하고 어리석은 것 같습니다.ㅠ

레삭매냐 2023-11-07 21:02   좋아요 1 | URL
전쟁사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장르라 종종 읽는답니다 ^^

이 분은 전사가도 아닌데, ‘집착‘
으로 글을 쓰셨다고 하시더라구요.

소위 말하는 전쟁상인들은 항상
자신들이 애써 만든 무기들을 소
진할 그런 전쟁을 원한다고 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전쟁 대신 평화가
오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