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를 벗어나서 대산세계문학총서 173
캐런 헤스 지음, 서영승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주말, 이번에 새로 문을 열었다는 알라딘 범계점을 방문했다. 이건 뭐 도장깨기라도 하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 참고로 괜찮은 책들을 사냥했던 안산과 북수원점은 문을 닫았다. 이젠 추억이 되었다.

 

딱 일주일 전에 데려온 녀석이 바로 캐런 헤스의 <황야를 벗어나서>였다. 원래 이 책을 사러 출동했지만, 실물을 보고 나서는 한참을 고민했다. 어라, 운문체 소설이야? 내 스타일이 아닌데. 하지만 우리 책쟁이들이 내 스타일이 아니라고 해서 무시할 수는 없지. 고민 끝에 결국 데려왔고, 오늘 아침에 다 읽었을 때 탁월한 선택이었다고 스스로 칭찬했다.

 

이러저러한 일들로 심경이 복잡했는데, 나보다 훨씬 더 고민이 많았던 꼬맹이 빌리 조 켈비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힐링이 되었달까. 1952년에 태어난 작가 캐런 헤스는 마치 대공황과 황사로 뒤덮인 1930년대 미국 팬핸들 지역을 살아보기라도 한 듯한 묘사로 독자의 염통을 사로잡는다.

 

이제부터 어쩔 수 없는 스포가 다수 출현하니, 원하지 않는 분들께서는... 1차 세계대전 참전용사인 빌리 조의 아버지 베이어드는 농부다. 켈비 가족이 사는 땅인 팬핸들은 황사와 가뭄 그리고 대공황의 여파로 가난으로 찌든 그런 동네다. 마치 한국에서 벼농사를 포기하지 못하듯 베이어드 역시 밀농사를 포기하지 않는다. 정부에서는 작물의 다양화 타령을 해대지만, 현지의 농부들에게는 씨도 먹히지 않는 소리일 뿐이다. 그리고 팬핸들 주민을 위협하는 황사는 그들의 모든 것을 앗아가 버린다. 심지어 목숨까지도. 갑자기 들이닥친 황사에 질식사하는 장면은 정말 공포스러웠다.

 

그런데도 그들은 자신들이 나고 자란 땅을 포기하지 못한다. 땅과 얽힌 애증의 관계라고 해야 할까. 어머니에게 피아노 연주를 배운 빌리 조는 피아노 연주의 꿈을 꾼다. 노래 잘하는 또래친구 매드 도그에게는 호감을 갖기도 한다. 선생님의 응원에 힘입어 빌리 조의 피아노 실력은 나날이 향상된다.

 

그러다 불의의 사고로 임신한 어머니와 남동생이 프랭클린이 죽는다. 밀농사마저 제대로 되지 않는 마당에 도대체 희망이 보이지 않는 상황들이 이어진다. 빌리 조는 손에 입은 화상으로 그 좋아하는 피아노 연주마저 할 수가 없게 된다. 어린 소녀에게 어머니의 부재가 주는 고통과 시련은 상상 이상이다. 그런 점에서 캐런 헤스가 설정한 이야기틀은 어쩌면 성장소설이라는 방식일 지도 모르겠다.

 

빌리 조의 아버지 베이어드는 삶의 의미를 상실하고, 연못을 파겠다고 나선다. 그가 파는 연못은 사랑하는 아내와 빛도 보지 못하고 져버린 자식을 따라가겠다는 그런 상징처럼도 읽힌다. 매도 도그가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면서 그를 응원할 수 없는 빌리 조의 모습에 얼마나 공감이 갔는지 모른다. 이것도 물론 저자의 설정이겠지만, 그렇다면 캐런 헤스는 정말 탁월한 이야기꾼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졸업식에 초청받아 피아노 연주에 나서지만, 빌리 조는 연주를 하지 못하고 졸업식장을 떠난다.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가슴 저미게 받아들인 장면이었다. 너무 슬펐다. 꼬맹이 빌리 조가 받아들이기엔 삶의 무게가 너무 무겁지 않았을까.

 

결국 빌리 조는 지긋지긋한 팬핸들과 아버지 곁을 떠나기로 마음먹는다. 전에 등장한 더 나은 삶의 기회를 찾아 서부로 간 이들처럼 빌리 조 역시 서부행 기차에 몸을 싣는다. 그리고 조금은 진부하지만, 그 기차에서 만난 어느 아저씨와의 오랜 대화를 마치고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 팬핸들에 내린 비가 힐링의 상징이 되는 것처럼, 새엄마 예비후보 루이즈가 등장하면서 우리 꼬맹이 빌리 조에게도 희망이 빛이 보이기 시작한다.

 

캐런 헤스의 <황사를 벗어나서>는 단순한 성장소설이 아니다. 우리에게는 낯선 땅인 오클라호마 팬핸들 지역에 사는 이들이 한 세기 전에 겪은 가난과 시련 그리고 희망에 대한 메시지다. 그들에게 황사는 고난과 시련을 그리고 한줄기 비는 희망과 꿈을 상징한다. 아무도 고난과 시련을 원하지 않지만, 우리 삶에서 그것들은 피할 수 없는 숙명이기도 하다. 그것들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의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다.

 

전세계를 강타한 대공황을 참사로 규정한 프릴랜드 선생님의 간단한 설명은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세계대전 후, 잠시 동안 모두를 행복하게 만들었던 경제 번영과 호황의 추억은 과잉공급과 생산을 초래했고 그렇게 부풀려진 풍선은 어느 순간 펑하고 터져 버렸다. 대형 참사는 어느 순간 갑자기 터지는 게 아니라 그전부터 숱한 징조/시그널을 보낸다는 저자의 말이 예언처럼 다가왔다.

 

어떤 작가의 좋은 작품을 만나면 언제나 그렇듯, 이번에도 캐런 헤스의 다른 작품들이 만나고 싶어졌다. 이제부터 기다림의 시간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목련 2023-05-30 09: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또 처음 드는 작가, 궁금한 작가와 소설은 자꾸 늘어납니다. ㅎ

레삭매냐 2023-05-30 11:20   좋아요 0 | URL
그게 바로 이곳
북플의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서로 자극하는 선순환
의 모델이라고 생각하
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