룽산으로의 귀환 - 장다이가 들려주는 명말청초 이야기 이산의 책 50
조너선 스펜스 지음, 이준갑 옮김 / 이산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년 전에 읽은 조너선 스펜스 교수의 <룽산으로의 귀환>을 다시 읽었다. 명말청초라는 시대의 격변기를 살아낸 포의 장다이의 기록은 다시 읽어도 흥미진진했다. 그렇다면 어떤 점에서 그러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명나라 시절, 중국 저장성 사오싱에 장씨네 일족이 살았다. 원래 근거지였던 쓰촨을 떠나 바야흐로 물산의 중심지였던 강남에 자리 잡은 장씨네는 우리의 주인공 장다이의 고조부 시절부터 3대에 걸쳐 그 어렵다는 진사를 배출한 지역 명문이었다. 부잣집 장손으로 태어난 장다이는 무엇 하나 부러울 것 없는 그런 환경에서 자랐다.

 

장다이에게 부족한 것은 개인의 입신이었다. 수당 대에 관료 선발제도로 고착화된 과거제는 중국 신사계급에 있어 통과의례적인 하나의 의식이 되었다. 모든 독서인들은 과거를 통과하기 위해 어려서부터 글을 배우고, 과거에 출제되는 경전을 달달 외워야만 했다. 장다이가 살던 16세기 말이나 지금은 폐지된 사법고시에 이르기까지 본질은 달라 보이지 않는다.

 

문제는 수년간에 걸친 과거 시험을 후원할 수 있는 재력을 가지고 있는가였다. 집안이 총력을 기울여야 중앙정부에서 치르는 최종 관문을 통과해서 비로소 진사가 될 수 있었다. 가난한 집안에서는 꿈도 꿀 수 없는 노릇이었다. 장씨 가문의 다른 사람들처럼 장다이의 부유한 환경은 그를 도락의 세계로 이끌었다. 치열한 과거 공부와 그에 따른 보상보다 장다이는 주위의 쾌락에 전념했다. 등 전문가로 불리기를 좋아했고, 민물 게나 오리고기 먹기를 즐겼고, 연극무대 연출에도 제법 실력을 보였다. 이런 즐거움 대신 방구석에 쳐 박혀서 과거에 출제될 문제들을 연마하는 걸 한량이 즐거워했을 리가 없다.

 

과거에 합격하지 못한 포의 신세는 장다이의 트라우마로 작용한다. 한편, 그의 주변에는 특이한 캐릭터들이 차고 넘쳤다. 사설 역사가의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한 장다이는 <도암몽억>이라는 개인 문집을 통해 화려하고 즐거웠던 시절에 대한 꿈같은 회상을 도모한다. 좀 삐딱하게 보자면, 그것도 다 문인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재물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훗날 명나라가 망하고 가산을 잃게 되면서 노년에 자식들의 주린 배를 채워야 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곤란함이 청년 시절부터 존재했다면 장다이가 노고를 쏟은 <석궤서> 같은 역작들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조너선 스펜스 교수는 거시적인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종래의 중국사 대신, 명말청초라는 격변의 시기를 살았던 강남 지방의 포의 장다이의 시선을 통해 당시를 분석한다. 장다이는 명태조 주원장부터 시작해서 천계제에 이르는 15조에 대한 상세한 기전체 서술을 시도했다. 그에게 태사공 선생은 역사 서술의 전범이었다. 오죽했으면 자신의 저서도 태사공 선생이 자신이 수집한 자료를 넣어 두었던 석궤에서 따왔을까. 중국 문화와 역사에 대한 깊은 조예를 바탕으로 조너선 스펜스는 남북조 시대 활약했던 도연명을 소환한다. 장다이가 기술하는 조정에 진출한 장씨 가문 인사들 역시 안분지족을 알지 못하고 권력의 정점에서 바닥으로 추락하게 되는 것도 모두 그런 이유가 아니었던가.

 

후반에 가서 장다이는 본격적으로 명나라 왕조의 멸망에 대한 예리한 분석을 내놓는다. 한국 만동묘의 주인공이기도 한 만력제 연간으로부터 명나라는 기울기 시작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약관의 나이에 황제의 자리에 오른 만력제는 치세 초기 대학사 장거정의 조력으로 선정을 베풀기도 했지만, 후계자 선정을 두고 조정의 중신들과 충돌을 빚으면서 아예 정치를 태업하기 시작했고 결국 환관이 발호하면서 조정의 부정부패는 일상이 되어 버렸다.

 

명나라 말기를 상징하는 내우외환으로 무거운 세금과 학정 때문에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농민반란과 동북 변방에서 흥기한 만주족 전사들을 명나라 조정을 상대해야 했다. 결국 1644년 명나라는 이자성의 반란으로 멸망하게 되는데, 장다이는 냉정하게 이자성과 청군의 공격이 아닌 내부에서 시작된 중병으로 결국 나라가 망하게 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자성의 일격은 우연일 따름이었다.

 

망국의 신민에게 주어진 선택은 두 가지였다. 유교사상에서 그렇게 강조하는 불사이군이라는 대의명분을 쫓아 지기 치뱌오자처럼 순국하거나, 청조에 투항해서 목숨을 연명하고 협력하는 것이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후자를 선택했을 것이다. 장다이의 친구 화가 천훙서우도 변발령을 피해 산으로 도주해서 스님 행세를 했지만, 나중에는 청나라에 부역했다고 매섭게 꼬집지 않았던가.

 

명왕조 부활에 나선 노왕 일행과의 에피소드는 흥미롭다. 감군 복왕에 대한 장다이의 비평은 신랄했고, 장다이가 준비한 연회에서 말술을 들이키던 노왕 역시 명나라 부흥에 적합하지 않은 인물들일 뿐이었다. 어디 그들뿐인가, 전장에서 청군에 맞서 싸워야 할 장군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들의 선동으로 괜히 백성들에게 헛바람만 들게 하고, 일말의 희망도 없이 반청운동에 나선 이들만 억울하게 도륙되었다.

 

망국의 군주 숭정제에 대한 평가는 어떨까. 망국의 모든 책임을 숭정제에게 돌리는 것은 너무 과한 게 아닐까? 하지만 지나친 세금을 거두면서도 정작 돈을 써야 할 때는 쓰지 않았던 황제에 대해 비난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조정의 곳간에는 자금이 가득했지만, 북방의 일선에서 청나라에 맞서 싸우는 병사들에게 지원을 하지 않아 결국 홍타이지가 이끄는 청군에게 연전연패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어쨌든 망국의 유민 장다이의 나라의 흥망성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사명이라고 생각한 <석궤서> 집필에 몰두했다. 역설적으로 장다이가 자신의 조상들처럼 과거에 급제해서 입신양명하고 고위직에 올랐다면, 자의반타의반으로 순국의 길을 걸어야 했을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저장 지방의 포의였던 장다이에게 순국은 선택지가 아니었던 모양이다. 물론 망국의 지식인으로 아주 잠깐 자결할 생각도 없지 않았지만.

 

장다이 인생의 전반부는 분명 실패로 점철된 삶이었다. 그는 자신이 받아들일 수 있는 삶의 부분들은 있는 그대로 받아 들였고, 그렇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노련하게 포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대표가 바로 과거였다. 하지만 한량이자 포의로 얻게 된 고상한 취미는 그가 진정한 의미에서의 독서인이 되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망국의 신민이 된 다음에도 그는 포기하지 않고 저술에 전념했다. 자신이 사는 시대의 역사를 쓰겠다는 장다이의 신념이 돋보이는 순간이 아닐 수 없다. 물론 그도 인간이다 보니 역사에 자기 가족사를 집어 넣고, 균형을 깨뜨리는 실수도 했다. 병란과 망국 그리고 먹고사니즘으로 단련된 노년의 장다이는 그전보다 훨씬 성숙한 면모를 보여준다. 어쩌면 스펜스 교수의 <룽산으로의 귀환>은 인간의 일생을 한 나라의 흥망에 견준 그런 비유가 아닐까 싶다.

 

[뱀다리] 조정에 나가 축재와 비위를 일삼은 장다이의 둘째 숙부는 명조의 멸망에 일조를 했던 게 아닐까? 그렇다면 장다이 일족 역시 부정부패로 망해가는 왕조에 일말에 책임이 없다고 말할 수 없지 않을까. 장다이가 보다 뛰어난 사가였다면 바로 자신에게 불리한 점들도 예리하게 짚어냈을 텐데, 그 점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