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을 들으니, 서울시에서 불법 현수막을 제거하면 장당 2,000원을 준다고 하더군요. 공무원만으로는 불법 현수막 제거가 어려워 마련한 대책이라는데, 그렇게 할 정도로 불법 현수막이 많다니, 놀라워요.

 

  불법이든 합법이든 현수막이 많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엔, 그리 좋은 것 같지는 않아요. 현수막은 달리 말하면 구호인데, 구호많은 사회치고 좋은 사회 못봤거든요. 특히 관제 구호가 많은 사회일수록.

 

  오가는 길에 '나, 대단한 봉사를 합니다'라고 홍보하는 거석(巨石)이 있길래 한 장 찍었어요. 이름하여 초아(超我)의 봉사(奉仕).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나의 한계를 뛰어넘는 봉사'인데, 한 마디로 '나, 대단한 봉사를 합니다'이지요. 봉사란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 손이 모르게 해야 할 것 같은데 이렇게 자신(들)의 봉사활동을 요란하게 홍보하다니…  좀 눈쌀이 찌푸려지더군요.

 

  거석 하단에 이 봉사 단체의 이름과 행동 지침(?)이 적혀있는데, 왠지 신뢰가 안가더군요. 제가 너무 결벽증을 보이는 걸까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보실까요? 超는 뛰어넘을초, 我는 나아, 奉은 받들봉, 仕는 섬길사에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죠.

                                                                     

는 走(달릴주)와 召(부를소)의 합자에요. 뛰어넘어 달려간다란 의미에요. 召는 음을 담당하는데(음이 약간 변했죠. 소-->초) 뜻도 일부분 갖고 있어요. 부르면 바로 응하죠. 그같이 지체하지 않고 바로 행동에 옮긴다란 의미로 본뜻을 보충하고 있지요. 뛰어넘어 달려간다란 것은 지체하지 않고 바로 행동에 옳기는거 아니겠어요? 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超越(초월), 超過(초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두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본래 톱을 그린것이다. 톱은 자신 쪽을 향하여 당길 때 제 기능 -- 물체를 써는 -- 을 발휘하기에 '나'란 의미를 갖게 됐다. 둘. 手(손수)와 戈(창과)의 합자로 무기를 소지하고 자신을 지킨다란 의미에서 '나'란 의미를 갖게 됐다. 둘 다 일리가 있죠? 我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彼我(피아), 我軍(아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두 손으로 구슬(혹은 물건)을 받들고 있는 모양을 그린 거에요. 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奉獻(봉헌), 奉養(봉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人(사람인)과 士(선비사)의 합자에요. 예비 관리인 사가 벼슬에 나아가기 위해 공부한다란 의미에요. 여기서 '벼슬하다' '섬기다' 등의 의미가 나왔지요. '섬기다'는 벼슬하여 군주를 섬긴다란 의미에요. 仕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仕宦(사환, 벼슬), 출사(出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허벅지에 써 보시오: 뛰어넘을초, 나아, 받들봉, 섬길사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허벅지에 써 보시오: (   )養, (   )宦, 彼(   ), (   )過

 

3. 가장 기뻤던 봉사의 순간을 말해 보시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봉사활동 점수라는 걸 주고 있죠. 이거, 참 웃긴(!) 제도에요. 모든 걸 계량화해야 안심이 되는 관료의 특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제도같아요. 도대체 이런 발상을 한 관료가 누구인지 궁금해요. 사람의 선심(善心)도 계량화하고 그것을 교육이라고 여기고 있다니… 참, …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뵙겠습니다.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을 산행하면 떠오르는 유명한 한시가 있죠.                                                       

 

가을 산 오르노라니 돌길이 가파라라(遠上寒山石徑斜)                                            

흰구름 아득한 곳에 인가 두어 채(白雲深處有人家)                                                

수레 멈추고 잠시 단풍 구경 하노니(停車坐愛楓林晩)                                              

상엽 붉기가 2월의 꽃보다 더 붉구나(霜葉紅於二月花)                                            

 

 흰색과 붉은 색의 색감을 잘 살려 소슬하면서도 청량한 가을 산행의 풍치를 잘 그린 시지 

  요(지은이는 두목(杜牧, 당나라때의 시인)이에요). 오늘 저도 가을 산행을 갔다 왔어요.    

뭐, 특별한 곳은 아니고 인근의 팔봉산이에요.^ ^ 등산객이 많이 오는 시간대를 피하느라

  일찌감치 갔다 왔어요. 가을 산은 조용한 것이 맛인데 등산객이 많으면 그런 정취를 느끼  

  기가 어렵거든요. 최근엔 등산객들이 소형 음향기기까지 틀고다녀 사람많은 때는 정말     

피하고 싶어요. ^ ^                                                                                       

 

사진은 팔봉산 입구에 있는 자그마한 입석을 찍을 거에요. 팔봉산에 단풍을 식수한 모 단

체에서 마련한 것이더군요. 읽어 볼까요? "홍엽만산지만인락 팔봉산운지세고무(紅葉滿  

 山之萬人樂 八峰山雲之世苦無)" 해석을 해볼까요? "홍엽(단풍)이 산에 가득하니 모든 이 

즐거워 하고, 팔봉산에 구름이니 세상 근심 없어라."                                          

 

그런데 왠지 한문 원문이 좀 어색해 보여요. 之의 쓰임이 그렇고 八峰山雲이 그렇고 世苦

無가 그래요. 之는 불필요한 허사같고, 八峰山雲은 '팔봉산에 구름이 인다'라고 해석하기

에는 좀 부족한 표현같고, 世苦無는 無世苦라고 해야 어법에 맞을 것 같거든요.            

 

하여 이 입석의 글은 이렇게 고치면 어떨까 싶더군요. "홍엽만산만인락 팔봉운심무세고( 

紅葉滿山萬人樂 八峰雲深無世苦)" "단풍이 온 산에 가득하니 찾아오는 모든 이들 즐거워 

하고, 팔봉에 구름 깊으니 세상 근심 모두 사라진 듯 하구나." 잘난체 좀 해봤습니다. ^ ^ 

 

         한자를 한 번 읽어 보실까요? 물론 사진의 한자지요. ^ ^ 붉을홍(紅) 잎사귀엽(葉)  가득할        

만(滿) 뫼산(山) 어조사지(之) 일만만(萬) 사람인(人) 즐거울락(樂) 여덟팔(八) 봉우리봉(

峰) 뫼산(山) 구름운(雲) 어조사지(之) 인간세(世) 쓸고(苦) 없을무(無).                      

 

대부분의 글자들이 전에 다룬 것이군요. ^ ^ 紅하고 苦만 안다뤘군요. 좀 자세히 알아 보 

록 할까요?                                                                                                  

 

糸(실사)와 工(장인공)의 합자에요. 工은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좀 바뀌었죠(  

공 -->홍). 붉은 색의 견직물[糸]이란 의미에요. 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紅衣將軍(홍의장군, 곽재우 장군을 가리키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艹(풀초)와 古(옛고)의 합자에요. 古는 음을 담당하죠. 본래는 도꼬마리란 약재를

가리키는 말이었어요. 그래서 艹로 뜻을 삼았지요. 후에 이 약재의 맛이 써서 '쓰다'라는 

뜻도 갖게 되었지요. 苦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甘呑苦吐(감탄고토, 달면 삼키 

고 쓰면 뱉다란 의미로 세상의 야박한 인심을 가리킬 때 사용하죠), 苦衷(고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붉을홍, 쓸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衣將軍, 甘呑(   )吐           

 

 3. 다음을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紅葉滿山滿人樂                                              

 

        

단풍이 진다는 것은 곧 겨울이 다가온다는 신호이겠지요. 단풍을 즐기는 것도 좋지만 혹 

독한 겨울을 대비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시절이 하수상할때는 더 그렇겠

지요.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이 왜 나보다 건강한 지 그 이유를 알았어!"                                                                          

                                                                      

최근에 아내에게 한 고백이에요. 아내보다 음식도 가려먹고 가급적이면 좋은 것을 먹어보려 노력하는데

이상하게 그렇지 않은 아내보다 특별히 건강하지 않은 이유가 뭘까 오랫동안 생각하다 내린 결론이었어

요. 그러면 아내가 저보다 건강한 이유는 뭘까요? 그건 아내가 저보다 대인 관계가 좋고 매사를 긍정적 

으로 생각한다는 점이에요. 건강은 절대적으로 정신 건강이 우선인 것 같아요. 동의하시는지요? ^ ^     

 

제가 최근에 깨달은 또 하나 건강법은 '가급적 외식 금지'에요. 이건 외식을 해보면 알 수 있어요. 외식 

을 한 날은 이상하게 뒷맛이 개운치 않고 자꾸 물을 찾게 되요. 과다한 조미료 섭취때문이지요. 집밥을 

먹으면 이런 일이 없지요. 소찬일망정 집밥이상의 건강식이 없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됐어요.            

 

그런데 간월도를 찾게 되었던 날 부득이 외식을 하게 되었어요. 일행이 있었기 때문이죠. 간월도의 별미

는 '굴밥'이에요. ㅇㅇㅇ 굴밥 집을 들어서는데 문 입구에 위 사진의 문구가 붙어 있더군요. 읽어 보실  

까요? 그렇죠! ^ ^ 건강식당(建康食堂) 인증점(認證店)이에요. 가운데의 일본어는 '노'라고 읽어요. '~ 

의'라는 뜻이지요. 건강식당이란 인증을 받은 음식점이라 그랬을까요? 먹고난 뒤 비교적 물을 덜 찾았 

고 입맛도 별반 텁텁하지 않았어요. 확실히 조미료를 적게 쓰는 건강식당이란 인증을 받을만 하다는 생 

각이 들더군요. 그랬을까요? 가격은 좀... ㅠ ㅠ  가격 저렴하고 조미료 덜 쓰는 식당은 아무래도 흔치   

않겠죠?                                                                                                                               

 

建康食堂 認證店 한자들의 뜻과 음을 알아 볼까요?                                                                      

 

建은 세울건, 康은 편안할강, 食은 밥(먹을)식, 堂은 집당, 認은 인정할인, 證은 증명(거)증, 店은 가     

  게점이에요. 전에 다루지 않은 建, 食, 認, 證의 네 글자만 좀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할게요. ^ ^                 

           

은 聿(律의 약자, 법률)과 廴(끌인)의 합자에요. 廴은 발을 끈다는 뜻인데, 옳은 것을 따라 간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建은 옳게 여기고 따라야 할 조정의 법도를 세운다는 의미에요. 그런데 건강  

하다의 '건'은 이 建(세울건)을 사용하지 않고 健(굳셀건)을 사용해요. 식당에서 한자를 잘못 사용하    

여 표기했어요. ^ ^ 建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建設(건설), 建築(건축)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A(集(모을집)의 옛 글자)과 皂(쭉정이조)의 합자에요. 여러 종류의 곡식을 모아서 익힌 밥이란 

뜻이에요. '먹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밥을 먹다'란 의미로요. ^ ^ 食이 들어간 예는 무  

엇이 있을까요? 食事(식사), 混食(혼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본래 心을 빼고 言(말씀언)과 刃(칼날인)의 합자 형태로 쓰였었어요. 칼날에 베일까 조심하듯  

말을 함부로 하지 않고 삼가하며 조심한다는 의미에요. 인정하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인정이란 쉽게 하는게 아니잖아요? ^ ^ 認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是認(시인), 認可(인가)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言(말씀언)과 登(오를등)의 합자에요. 실상을 올려(추가하여) 말한다란 의미에요. 증거나 증   

명하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證言, 證人(증인) 등    

 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세울건, 밥(먹을)식, 인정할인, 증명할(거)증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事, 是(    ), (    )設, (    )言                                                                                     

 

3. 다음을 한자로 써 보시오.                                                                                                  

 

건강식당 인증점                                                                                                           

 

 

3번의 '건'은 建으로 쓰시지 말고 健으로 쓰셔야 합니다. ^ ^  님들, 가급적 외식하지 마시고 집밥       

드세요. 설령 혼자 먹더라도요. 그리고 긍정적이고 즐거운 마음을 가지려 노력하셔요. 건강의 지       

름길입니다. 너나 잘 하라고요? 아유, 죄송합니다. 잘 들 하고 계신데.... 내일, 뵐게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허, 저거 물이 끓는다. 구름이 마구 탄다. 둥둥 원구가 검붉은   

불덩이다. 수평선 한 지점 위로 머둔 듯이 접어든다. 큰 바퀴 피로

 물들며 반 남아 잠기었다.                                                   

 

이태극 시인의 '서해상의 낙조' 일부분이에요. 간월도를 찾아, 시 

이  보았던 그만큼의 낙조는 아니어도, 그런대로 한폭의 그림    

아  셔터를 눌렀어요. 얼핏보면 수묵화를 보는 느낌이에요. 고   

  즈녁한  분위기가 오히려 더 낙조다운 느낌이에요. 이런 낙조앞에   

    서면 절로 '삶의 마무리'에 대해 생각하게 되죠. 삶을 마감할 때는     
   고즈녁한 낙조처럼 조용히 그리고 깨끗하게 가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이런, 너무 심각한 얘기를.... ^ ^;;)                               

 

다소 낯선(?) 단어인 '원구'와 '낙조'를 한자로 좀 알아 볼까요?   

 

 둥글원, 球는 공구, 落은 떨어질락, 照는 비출조에요. 圓球는 

근 공, 落照는 저물녘의 해라는 뜻이지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圓은 口(에워쌀위)와 員(둥글원)의 합자에요. 말 그대로 둥글게                        

   에워쌌다는 의미에요. 후에 둥글다란 의미로만 사용하게 됐죠. 둥글

                         다란 의미에는 결함이 없고 온전하다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圓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圓滿(원만), 半圓(반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球는 玉(구슬옥)과 求(裘의 약자, 갖옷구)의 합자에요. 갖옷(안감                       

                         을 짐승의 털가죽으로 댄 옷)이 속을 비우고 사람의 몸을 감싸 추위                       
                       를 막아 주듯 옥의 내부를 비워서 소리를 내게 만든 악기[옥경(玉磬)]                  

                         란 뜻이에요. '공'이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공'은 내부                       

                         가 비어 있잖아요? 球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野球(야구),                      

 球技(구기)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落은 艹(풀초)와 洛(물이름락)의 합자에요. 洛은 음만 담당해요.                       

                         초목이 시들어 떨어진다는 의미에요. 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                      

  까요? 凋落(조락, 시들어 떨어짐), 墜落(추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照는 灬(불화)와 昭(밝을소)의 합자에요. 불빛을 환하게 하여 비춘                     

                        다란 의미에요. 照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照明(조명), 照                      

度(조도,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정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둥글원, 공구, 떨어질락, 비출조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滿, (    )明, (    )技, 墜(    )                                

 

3. 위 사진을 보고 1분간 명상 하시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 졌어요. 감기 조심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끝은 심히 창대하리라."

 

 음식점에 가면 많이 보게 되면 액자입니다. 성경의 잠언 구절인데, 이 말의 진짜 의미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돈 많이 벌어!'이겠지요. 차마 노골적으로 그런 말을 할 수 없어 성경 구절을 빌어 에둘러 표현한 것이지요. 이게 우리 문화인 것 같아요. 긍정적으로 보면 체면을 중시하는 것이고, 부정적으로 보면 이중적인 것 아닌가 싶어요.

 

 "부자되길 축원합니다."

 

 중국 음식점에 가면 많이 보게 되는 글귀에요. 한자로는 恭喜發財(공희발재)라고 표현하지요(사진의 글). 중국어로는 '꽁시파차이'라고 읽어요. 전가통신(錢可通神, 돈은 신과도 통한다)의 고사를 만들어 낸 나라이니, 이 정도의 축원이야 대수롭지 않겠지요. 이게 중국 문화인 것 같아요. 적어도 돈에 관한 한 중국은 이중적인 태도를 안보이는 것 같아요. 그러나 부정적으로 보면 너무 체모(體貌)가 없다는 생각도 들구요.

 

우리 문화가 나을까요? 중국 문화가 나을까요? 돈이 만능인 자본주의 시대이니, 얼핏 생각하면, 중국의 문화가 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지만 전 우리 문화에 더 점수를 주고 싶네요. 돈은 수단이지 목적일 수 없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지요. 체면을 중시하는 것이 결코 돈을 경시하는 것이 아니고, 돈을 부차적으로 생각한다는 것 아니겠어요? 수단으로 여기는 것이지요. 이런 점에서 '개처럼 벌어 정승처럼 쓴다'는 우리 말 속담은 돈에 관한 좋은 교훈을 주는 속담이란 생각이 들어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보실까요? 恭은 공손할공, 喜는 기쁠희, 發은 필발, 財는 재물재에요. 恭喜는 중국어로 '축하하다'는 의미이고, 發財는 '돈을 벌다, 부자가 되다'란 의미에요. 恭喜發財를 굳이 한문식으로 하나씩 풀이하면 '재물이 피어나기를 공손히 기뻐하고 축원합니다' 정도가 되겠네요. ^ ^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은 心(마음심)과 共(함께공)의 합자에요. 여럿이 함께 일을 할 적에 마음을 단속하여 조심하여 행동거지를 바르게 한다란 의미에요. 恭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恭敬(공경), 恭遜(공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壴(鼓의 약자, 칠고. 보통 '북고'로 많이 사용하죠)와 口(입구)의 합자에요. 허벅지를 치면서 크게 웃고 떠든다란 의미에요. 喜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歡喜(환희), 喜喜樂樂(희희낙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弓(활궁)과 癹(짓밟을발)의 합자에요. 풀을 밟아 길을 평탄하게 하듯이 활의 균형을 잘 유지하고 시위를 당겨 화살을 쏜다란 의미에요. '피다'란 의미는 여기서 연역된 것이지요. 화살을 쏘듯이 꽃봉우리를 펼쳐낸다란 의미로요. 發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出發(출발), 發射(발사)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貝(조개패)와 才(재주재)의 합자에요. 才는 본래 초목의 싹을 그린 것인데, 보통 材(재목재)와 같은 의미로 쓰여요. 여기서도 그런 의미로 사용됐지요. 화폐 가치를 지니는[貝] 재목처럼 쓸모있는[才] 물건이란 의미에요. 곡식, 옷감, 보석 등을 아우르는 의미지요. 財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財物(재물), 財閥(재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의 한자를 안보고 쓸 수 있을 때까지 손바닥에 연습하시오.

 

   : 공손할공, : 기쁠희, : 필발, : 재물재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   ), (   ), (   ), (   )

 

3. 본인이 원하는 돈의 액수와 그 돈이 왜 필요한지 말해 보시오.

 

 

인터넷을 찾아보니 전가통신(錢可通神)과 관련한 이야기가 있더군요.

 

"당나라 때 장연상이란 관리가 있었다. 그는 고위층이 연루된 큰 사건을 맡아 부하들에게 10일 안에 조사를 끝마치라는 엄명을 내렸다. 다음 날 누군가 그의 책상에 3만 관의 돈을 뇌물로 놓아두고 사건을 덮어 달라고 부탁했다. 장연상은 크게 노하여 조사에 박차를 가하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그 다음 날에는 5만 관이, 다음 날에는 10만 관의 뇌물이 그의 책상 위에 놓여 있었다. 장연상은 '10만 관이라는 돈은 귀신과도 통할 수 있는 액수이다. 이를 거절했다가는 내게 화가 미칠까 두려우니 그만두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하고 사건을 흐지부지 종결시켰다."

 

이 이야기를 읽으니 문득 재벌에 약한 우리 나라의 법조인들이 떠오르네요. 아마도 장연상처럼 신의 노여움을 살까봐 그런가 봐요. 그러고 보면 '재벌 = 신'이란 등식이 성립하는군요. 괜시리 입맛이 소태처럼...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