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산행하면 떠오르는 유명한 한시가 있죠.                                                       

 

가을 산 오르노라니 돌길이 가파라라(遠上寒山石徑斜)                                            

흰구름 아득한 곳에 인가 두어 채(白雲深處有人家)                                                

수레 멈추고 잠시 단풍 구경 하노니(停車坐愛楓林晩)                                              

상엽 붉기가 2월의 꽃보다 더 붉구나(霜葉紅於二月花)                                            

 

 흰색과 붉은 색의 색감을 잘 살려 소슬하면서도 청량한 가을 산행의 풍치를 잘 그린 시지 

  요(지은이는 두목(杜牧, 당나라때의 시인)이에요). 오늘 저도 가을 산행을 갔다 왔어요.    

뭐, 특별한 곳은 아니고 인근의 팔봉산이에요.^ ^ 등산객이 많이 오는 시간대를 피하느라

  일찌감치 갔다 왔어요. 가을 산은 조용한 것이 맛인데 등산객이 많으면 그런 정취를 느끼  

  기가 어렵거든요. 최근엔 등산객들이 소형 음향기기까지 틀고다녀 사람많은 때는 정말     

피하고 싶어요. ^ ^                                                                                       

 

사진은 팔봉산 입구에 있는 자그마한 입석을 찍을 거에요. 팔봉산에 단풍을 식수한 모 단

체에서 마련한 것이더군요. 읽어 볼까요? "홍엽만산지만인락 팔봉산운지세고무(紅葉滿  

 山之萬人樂 八峰山雲之世苦無)" 해석을 해볼까요? "홍엽(단풍)이 산에 가득하니 모든 이 

즐거워 하고, 팔봉산에 구름이니 세상 근심 없어라."                                          

 

그런데 왠지 한문 원문이 좀 어색해 보여요. 之의 쓰임이 그렇고 八峰山雲이 그렇고 世苦

無가 그래요. 之는 불필요한 허사같고, 八峰山雲은 '팔봉산에 구름이 인다'라고 해석하기

에는 좀 부족한 표현같고, 世苦無는 無世苦라고 해야 어법에 맞을 것 같거든요.            

 

하여 이 입석의 글은 이렇게 고치면 어떨까 싶더군요. "홍엽만산만인락 팔봉운심무세고( 

紅葉滿山萬人樂 八峰雲深無世苦)" "단풍이 온 산에 가득하니 찾아오는 모든 이들 즐거워 

하고, 팔봉에 구름 깊으니 세상 근심 모두 사라진 듯 하구나." 잘난체 좀 해봤습니다. ^ ^ 

 

         한자를 한 번 읽어 보실까요? 물론 사진의 한자지요. ^ ^ 붉을홍(紅) 잎사귀엽(葉)  가득할        

만(滿) 뫼산(山) 어조사지(之) 일만만(萬) 사람인(人) 즐거울락(樂) 여덟팔(八) 봉우리봉(

峰) 뫼산(山) 구름운(雲) 어조사지(之) 인간세(世) 쓸고(苦) 없을무(無).                      

 

대부분의 글자들이 전에 다룬 것이군요. ^ ^ 紅하고 苦만 안다뤘군요. 좀 자세히 알아 보 

록 할까요?                                                                                                  

 

糸(실사)와 工(장인공)의 합자에요. 工은 음을 담당하는데, 음가가 좀 바뀌었죠(  

공 -->홍). 붉은 색의 견직물[糸]이란 의미에요. 紅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紅衣將軍(홍의장군, 곽재우 장군을 가리키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艹(풀초)와 古(옛고)의 합자에요. 古는 음을 담당하죠. 본래는 도꼬마리란 약재를

가리키는 말이었어요. 그래서 艹로 뜻을 삼았지요. 후에 이 약재의 맛이 써서 '쓰다'라는 

뜻도 갖게 되었지요. 苦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甘呑苦吐(감탄고토, 달면 삼키 

고 쓰면 뱉다란 의미로 세상의 야박한 인심을 가리킬 때 사용하죠), 苦衷(고충)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붉을홍, 쓸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衣將軍, 甘呑(   )吐           

 

 3. 다음을 읽고 뜻을 풀이해 보시오: 紅葉滿山滿人樂                                              

 

        

단풍이 진다는 것은 곧 겨울이 다가온다는 신호이겠지요. 단풍을 즐기는 것도 좋지만 혹 

독한 겨울을 대비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시절이 하수상할때는 더 그렇겠

지요.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